• 제목/요약/키워드: Skin pathogen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8초

동의병리학에서의 병리전변이론(病理傳變理論) 고찰 및 교육의 필요성 (Investigation of the Transforming Theories of Diseases and the Need of Teaching Them in the Pathology Class)

  • 지규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05-1111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bases of transforming theories of diseases(病傳論), several relevant theories were collected from medical books since . The outside-to-inside changing process(pyoree jeon) was the fundamental pattern in febrile diseases regardless of slang han and wen bing after Han dynasty. But in case of numb disease the three exogenous pathogenic factors of wind, cold and dampness got into each viscera through five tissues like skin, vessesl, flesh, tendons, bones respectively. It was called corresponding changing process(sanghap jeon) here. The pathogenic changing process(byungsa jeon) had complicated details to explain pathologic processes, but could give useful informations on evaluating relative strength of pathogens and tendency ahead. The changing process of diseases of internal injuries were explained in case of emotional distress which is outbroken abruptly didn't follow regular order of viscera-emotion relations. So it was named random changing process(bulcha jeon) after 's usage. And marasmus and asthenic disease followed top-to-down or down-to-top changing process(sangha jeon) based on . There are many types of changing process of diseases between viscera and viscera or viscera and bowels like generation changing process, restriction changing process, changing process between couple, changing process of mutual transmission based on attributions of each element by the theory of 5 phases(五行論). And changing process to a neighbor doesn't have any special relations within two organs but has anatomical contiguity and physiological continuity between them. The transforming theories of diseases bring forth useful understanding on comings and goings of pathogenic factors and tendency and prognosis of disease, so they are needed to be taught in the course of pathology class.

IoT 오존수 변기 수질 개선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IoT Ozone Water Apparatus for Toilet Water Sterilization)

  • 한민덕;김준민;윤상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5-20
    • /
    • 2022
  • 본 연구는 오존수를 이용해 변기의 수질을 개선함으로써 세균의 확산 및 악취 물질을 감소시키는 장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에서는 다양한 오염물질과 병원균이 변기에 존재한다. 인체에 유해한 이러한 물질들은 변기 물 내림을 통해 공기 중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확산된다. 각종 오염물을 내포한 에어로졸은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거나 피부와 피복에 전이되어 각종 질병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화장실 내부의 청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장실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변기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오존수를 활용하였다. 변기 수조에 장착되어 지속적으로 오존수를 생성함으로써 변기 내부의 오염물질을 개선하는 장치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복부 연조직 농양 환자에서 농양 배양을 혈액배양병으로 했을 때의 성과 1예 (Diagnostic Performance of Blood Culture Bottles for Abscess Culture in Patient with Abdominal Soft Tissue Abscess)

  • 조교진;장철훈;황재연;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2호
    • /
    • pp.118-123
    • /
    • 2021
  • 세균 감염에서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려면 배양검사가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복부 연조직 감염의 농양을 혈액배양병을 사용하여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Actinomyces radingae와 Clostridium ramosum이 배양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전에 건강하였던 13세 남자 환자가 배꼽주변에 발생한 통증, 발적 및 발열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아는 복부 수술 및 외상의 병력은 없었다.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배꼽주위에 농양을 동반한 피부 연조직염이 확인되었고 선천성 기형은 없었다. 초음파 유도 흡인을 하여 8.5 mL의 화농성 농양이 흡인되었고, 농양은 혈액배양병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농양 배양검사에서 A. radingae와 C. ramosum이 확인되었다. 감염증의 원인이 드문 세균일 가능성이 있는 경우 농양 배양을 할 때 일반적인 농양배양의 방법 보다는 혈액배양병을 사용하는 것이 원인균이 분리될 가능성을 높이고 더 빨리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sistance Patterns of Frequently Applied Antimicrobials and Occurrence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in Edwardsiella tarda Detected in Edwardsiellosis-Infected Tilapia Species of Fish Farms of Punjab in Pakistan

  • Kashif Manzoor;Fayyaz Rasool;Noor Khan;Khalid Mahmood Anjum;Shakeela Parvee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5호
    • /
    • pp.668-679
    • /
    • 2023
  • Edwardsiella tarda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sh pathogens, causes edwardsiellosis in a variety of freshwater fish species, and its antibiotic resistance against multiple drugs has made it a health risk worldwide.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biotic resistance (ABR) genes of E. tarda and establish its antibiotic susceptibility. Thus, 540 fish (299 Oreochromis niloticus, 138 O. mossambicus, and 103 O. aureus) were collected randomly from twelve fish farms in three districts of Punjab in Pakistan. E. tarda was recovered from 147 fish showing symptoms of exophthalmia, hemorrhages, skin depigmentation, ascites, and bacteria-filled nodules in enlarged liver and kidney.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proved chloramphenicol, ciprofloxacin, and streptomycin effective, but amoxicillin, erythromycin, and flumequine ineffective in controlling edwardsiellosis. Maximum occurrence of qnrA, blaTEM, and sul3 genes of E. tarda was detected in 45% in the liver, 58%, and 42% respectively in the intestine; 46.5%, 67.2%, and 55.9% respectively in O. niloticus; 24%, 36%, and 23% respectively in summer with respect to fish organs, species, and season, respectively. Motility, H2S, indole, methyl red, and glucose tests gave positive results. Overall, E. tarda infected 27.2% of fish, which ultimately caused 7.69% mortality. The Chi-squared test of independ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ABR genes of E. tarda with respect to sampling sites. In conclusion, the misuse of antibacterial agent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ABR genes in E. tarda, which in association with high temperatures cause multiple abnormalities in infected fish and ultimately resulting in massive mortality.

인플루엔자 A 및 폐렴미코플라스마 감염과 병발한 가와사끼병 1례 (Kawasaki Disease with Influenza A Virus and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문혁수;허재성;김미경;람버트 모리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2호
    • /
    • pp.149-154
    • /
    • 2016
  • 그 동안 다양한 병원체와 가와사끼병의 관련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아직 확실한 원인으로 증명된 것은 없다. 본 증례는 가와사끼병과 폐렴미코플라스마, 인플루엔자 감염이 동시에 병발한 환자를 소개한다. 27개월 남아가 발열과 기침, 콧물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외래에서 인플루엔자 A 감염을 확인하고 oseltamivir를 복용하였으나 발열이 지속되고 경부 림프절 비대, 양측성 결막 충혈, 입술의 발적과 갈라짐, 딸기혀, BCG 접종 부위의 발진을 보였다. 이에 가와사끼병으로 진단하고 면역글로불린을 정맥주사 하였다. 환아는 혈청 항미코플라스마 IgM 항체가 양성이었고 비인두 도말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에서 폐렴미코플라스마 양성으로 나타났다. 본 증례와 더불어 가와사끼병과의 연관성이 거론되었던 병원체들을 살펴보고 가와사끼병의 병인에 대한 가설들을 고찰하여 가와사끼병의 증상이나 관상동맥 병변이 폐렴미코플라스마와 인플루엔자 뿐 아니라 다양한 감염에서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향어에서의 oxolinic acid 흡수와 배설속도 (The absorption and excretion times of carp, Cyprinus carpio, treatment with oxolinic acid)

  • 정현도;하재이;허민도;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5-142
    • /
    • 1992
  • 새로운 수산용 항생제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OX의 흡수 및 배설속도를 측정하고 수온, 급이등의 외적 환경이 이들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동시에 OTC에 대비한 OX의 항균성 그리고 어류 혈장내 단백질과의 결합도 비교검토하였다. OX는 조사된 13균주중 11균주에 대해 OTC보다 10배이하의 낮은 MIC치를 보였고 향어나 틸라피아의 혈장내 단백질과의 complex 형성에 의한 역가 감소도 OTC에 비교해서 나타나지 않아 일반적인 세균성어병의 치료제로서 OTC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어에의 OX 투여를 경구, 근육주사, 정맥주사, 약욕등의 방법으로 실시하여 혈중 농도를 비교 측정하였을 때, i.v와 약욕법은 높은 초기 혈중 농도와 빠른 배설 속도를 보였다. 경구 투여와 근육 주사시는 24~28시간 후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고 이후 천천히 배설되었으며, 특히 i.m 투여에서의 OX bioavailability는 경구 투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약동력학적인 특성은 수온이 $30^{\circ}C$$20^{\circ}C$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주일 절식을 시킨 향어에 약욕방법으로 항생제 투여를 하면 절식어에서의 초기 혈중 농도가 정상급이어에 비해 훨씬 낮게 나타나 어류 표피나 아가미의 생리 활성도에 따른 항생제의 흡수율 변화를 추정케 해 주었다.

  • PDF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녹나무과 10종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en Lauraceae Species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조주성;지래원;장보국;정헌상;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23-432
    • /
    • 2018
  • 본 연구는 녹나무과 10종의 추출물이 Propionibacterium acnes의 억제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새로운 천연 항균소재를 개발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는 완도와 제주도에서 채집하였으며, 부위(잎, 가지), 용매(증류수, 80% 에탄올, 100% 메탄올) 및 초음파 추출시간(15, 30, 45분)에 따른 조추출물의 항균활성을 agar diffusion method로 조사하였다. 대조구로는 합성항균제인 methylparaben과 phenoxyethanol 0.4, 1, 2, 4 mg/disc를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10종의 모든 추출물에서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월계수는 80% 에탄올에 45분간 추출한 조건에서 20.2 mm의 생육억제환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월계수 잎을 100% 메탄올을 용매로 초음파 30분 추출한 다음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그리고 water 순으로 용매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butanol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10.0 mm 이상의 억제환이 형성되었다. 그중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억제환이 13.3 mm로 가장 컸으며, 조 추출물(10.2 mm)과 대조구인 phenoxyethanol (12.5 mm)에 비해서도 유의적으로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Expression Analysis of Lily Type Lectin Isotypes in the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in the Tissue, Developmental Stage and Viral Infection

  • Lee, Young Mee;Yang, In Jung;Noh, Jae Koo;Kim, Hyun Chul;Park, Choul-Ji;Park, Jong-Won;Noh, Gyeong Eon;Kim, Woo-Jin;Kim, Kyung-Kil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4호
    • /
    • pp.297-304
    • /
    • 2016
  • Lectins belong to the pattern-recognition receptors (PRRs) class and play important roles in the recognition and elimination of pathogens via the innate immune system.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lily-type lectin-1 is involved when a pathogen attacks in the early immune response of fish.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information that the lectin is involved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against viral infec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lily-type lectin-2 and -3 of Oplegnathus fasciatus (OfLTL-2 and 3) have been presented to be included B-lectin domain and two D-mannose binding sites in the amino acid sequence that an important feature for the fundamental structure.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OfLTLs, the tissue distribution in the healthy rock bream and temporal expression during early developmental stage analysis are perform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OfLTL-2 and 3 are predominantly expressed in the liver and skin, but rarely expressed in other organ. Also, the transcripts of OfLTLs are not expressed during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but its transcripts are increased after immune-related organs which are fully formed. In the challenge experiment with RBIV (rock bream iridovirus), the expression of OfLTLs was increased much more strongly in the late response than the early, unlike previously know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fLTLs a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immune-related tissues when those organs are fully formed 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re intensively involved in the second half to the virus infection.

Salvage of Infected Breast Implants

  • Song, Joon Ho;Kim, Young Seok;Jung, Bok Ki;Lee, Dong Won;Song, Seung Yong;Roh, Tai Suk;Lew, Dae Hyu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6호
    • /
    • pp.516-522
    • /
    • 2017
  • Background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is being performed more frequently, and implants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infection. We reviewed the clinical features of cases of implant infection and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for breast device salvage failur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771 patients who underwent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6. Age, body mass index, chemotherapy history, radiation exposure, and smoking history were assessed as potential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infection. We also evaluated the presence and onset of infection symptoms, wound culture pathogens, and other complications, including seroma, hematoma, and mastectomy skin necrosis.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mastectomy type, the use of acellular dermal matrix, the presence of an underlying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or diabetes, and axillary node dissection. Results The total infection rate was 4.99% (58 of 1,163 cases) and the total salvage rate was 58.6% (34 of 58). The postoperative duration to closed suction drain remova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ellulitis and implant removal groups.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was most frequently found, with methicillin resistance in 37.5% of the cases of explantation. Explantation after infection was performed more often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2-stage expander/implant reconstruction than in those who had undergone direct-to-implant reconstruction. Conclusions Preventing infection is essential in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The high salvage rate argues against early implant removal. However, when infection is due to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and the patient's clinical symptoms do not improve, surgeons should consider implant removal.

세토카 가지 정유의 성분 분석 및 생리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Setoka' Branches)

  • 현주미;김정은;염현숙;송정민;김미량;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7-23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세토카 가지 정유의 주요 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항균, 항염 및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토카는 제주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감귤류의 품종이다. 세토카 나무의 가지는 간벌 작업으로 인해 대부분 폐기되고 있고, 이러한 폐자원의 활용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정유 성분은 세토카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을 호호바오일로 처리하여 얻었다. 세토카 정유의 주요 성분은 ethyl linoleate (64.1%), ethyl palmitate(16.5%), neophytadiene (11.1%) 및 ${\beta}$-citronellol (5.1%)임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관련 미생물에 대한 paper disc 확산법을 실시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 및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좋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염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이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세토카 정유 성분은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하였다. WST-1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RAW 264.7 macrophage 및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무처리 대조군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토카 가지 정유는 세포독성이 없으면서 염증억제 및 항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응용한 화장품소재로써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