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dose

검색결과 950건 처리시간 0.022초

피부 병변에 대한 VMAT 치료 시 열가소성 bolus의 유용성 평가: case review (Usability assessment of thermoplastic Bolus for skin VMAT radiotherapy)

  • 김민수;김주호;신현경;조민석;박가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2권
    • /
    • pp.85-92
    • /
    • 2020
  • 목 적: 열가소성(thermoplastic) bolus가 가지는 이점을 알아보고자 이를 사용하여 치료한 두 건의 case를 선량과 위치 재현성 측면으로 나누어 피부 병변 VMAT 치료에서의 열가소성 bolus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좌측 유방 피부 병변 치료 환자 두 명을 대상으로 열가소성 Bolus를 사용하여 simulation 하였고 2 arc VMAT으로 계획하였다. 각 치료 계획은 처방선량(Prescription dose)이 표적 체적의 95% 이상 조사되도록 설계하였다. CBCT(Cone Beam CT) 영상에서 air gap의 길이를 측정하여 bolus 위치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선량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Plan에서의 선량 분포와 CBCT에서의 선량 분포를 비교하였고 환자 2에 대해 in vivo 측정을 하였다. 결 과: 환자 1의 치료계획용 CT에서의 air gap과 CBCT image에서 10회 치료 동안 생긴 평균 air gap(M1)의 차이는 -0.42±1.24mm였다. 환자 2에서 14회 치료 동안 생긴 skin과 bolus 사이의 평균 air gap(M2)과 치료계획용 CT의 air gap의 차이는 -1.08±1.3mm, 두 bolus 사이의 air gap(M3)과의 차이는 0.49±1.16으로 나타났다. 치료계획용 CT와 CBCT의 선량 분포 차이는 환자 1에서 PTV1 D95가 -1.38%, Skin(max)가 0.39%의 차이를 보였고 환자 2에서 PTV1 D95가 0.63%, SKIN(max)가 -0.53%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in vivo 측정 결과 계획된 선량과 -1.47% 차이를 보였다. 결 론: 열가소성 Bolus는 3D printer로 제작한 것과 비교하여 제작 과정이 단순하고 소요 시간이 길지 않으며, set up 측면에서 재현성 있는 결과를 보였고 선량 측면에서도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어 불규칙한 표면의 피부 병변 치료에서 그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양성자 치료에서 생체 내 선량측정 검출기(In-vivo dosimety)의 정확성과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uracy and Usefulness of In-vivo Dosimetry in Proton Therapy)

  • 김선영;최재혁;원희수;홍주완;조재환;이선엽;박철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71-180
    • /
    • 2014
  • 본 연구는 양성자 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수모세포종 환자의 양성자 치료 시 환자들의 Skin에서 홍반이나 피부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Phantom에서 실제 환자와 동일한 치료계획 후 생체 내 선량측정 검출기(In-vivo dosimetry)로 사용되는 열 형광선량계(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와 EBT3 Film으로 실제선량을 조사 측정한다. 측정된 선량값을 치료계획 된 피부선량과 비교 분석하여 양성자 치료 시 임상적으로 피부선량 측정 사용에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Phantom을 수모세포종의 전뇌척수치료(Cranio-spinal irradiation, CSI) Set-up position으로 위치하여 Brain에서 부터 Pelvis까지 CT촬영하고 양성자 치료계획 후 치료실에서 디지털 영상 포지셔닝 시스템(Digital Imaging Positioning System, DIPS)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치료 Isocenter지점을 맞춘다. 양성자 빔이 들어가는 5부위의 치료 Isocenter 지점과 CT촬영 시 Phantom에 표시한 Marker 2부위, 모두 7지점에 미리 교정을 마친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을 교차해가면서 위치하여 붙이고 치료 계획된 양성자 빔을 각각 10회씩 조사한다. 10회 반복 측정하여 얻은 값을 평균산출하여 치료계획 시스템 에서 측정된 Skin Dose와 비교 분석한 결과, 측정위치의 어려움이 있는 정확한 측정이 결여된 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6지점의 측정 선량값은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 모두 절대 선량값과 ${\pm}2%$이내의 분포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의 양성자 치료에서 Enterance skin dose 측정을 위한 In-vivo dosimetry로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의 임상적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콘빔CT 촬영 시 mAs의 변화에 따른 피부선량과 영상 품질에 관한 평가 (Evaluation of Skin Dose and Image Quality o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안종호;홍채선;김진만;장준영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23
    • /
    • 2008
  • 목 적: 선형가속기에 부착된 온보드영상장치(On-Board Imager)를 이용한 콘빔CT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는 환자의 셋업 오차 확인 및 보정, 장기 및 표적의 움직임 확인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영상유도방사선 치료 장비이다. 하지만 촬영 시 받게 되는 imaging dose는 2차 암 발생위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저자는 촬영조건(mAs)을 변화시킨 4가지 촬영 mode로 피부선량과 영상 품질을 비교 평가하여 적정한 촬영 mode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체 모형 팬톰(RANDO phantom)을 사용하여 열형광선량계(TLD-100, Harshaw)를 두부, 흉부, 복부로 나누어 각 부위별로 8개씩 위치시킨 후 4가지의 촬영 mode (A: 125 kvp 80 mA 25 ms, B: 125 kvp 40 mA, 25 ms, C: 125 kvp 80 mA 10 ms, D: 125 kvp 40 mA, 10 ms)로 피부선량(skin dose)을 각각 3회씩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얻어 평가하였고 catphan 504 phantom을 이용하여 장비 제조사의 영상 품질 정도관리 protocol에 따라서 각 촬영 mode 별 영상품질(image quality)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피부선량을 측정한 결과 두부에서는 A mode: 8.96 cGy, B mode: 4.59 cGy, C mode: 3.46 cGy, D mode: 1.76 cGy였고, 흉부는 A mode: 9.42 cGy, B mode: 4.58 cGy, C mode: 3.65 cGy, D mode: 1.85 cGy가 복부에서는 A mode: 9.97 cGy, B mode: 5.12 cGy, C mode: 4.03 cGy, D mode: 2.21 cGy의 값으로 측정이 되었다. 이는 A mode를 기준으로 약 B mode는 50%, C mode 60%, D mode는 80%의 선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영상품질 평가 항목인 HU reproducibility, Low contrast resolution, Spatial resolution (high contrast resolution), HU uniformity를 분석한 결과 모든 촬영mode에서 장비제조사에서 제시하는 tolerance 이내의 값으로 평가되었다. 결 론: 콘빔CT에 있어서 좋은 영상품질을 유지하면서 imaging dose를 줄이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soft tissue가 관심영역일 경우는 A mode로 두부 촬영 시 bone이 관심영역일 경우 D mode가 일반적인 경우에는 B, C mode가 적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콘빔CT촬영으로 인해 증가되는 2차 암 발생위험은 낮은 mAs의 촬영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영상 기반 치료 장비용 팬톰을 이용한 토모테라피 피부 선량 검증 (Verification of Skin Dose in Tomotherapy Using the Developed Phantom for Image Based Radiation Treatment System)

  • 박지연;장지나;오승종;강대규;정원균;이정우;장홍석;김회남;박혜진;김성환;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0권2호
    • /
    • pp.88-96
    • /
    • 2009
  • 최근 토모테라피의 빗면 조사 빔(tangential beam)을 이용하여 전자 빔과 광자 빔의 인접 조사 없이도 치료에 필요한 선량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면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피부암 치료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토모테라피 치료 빔은 선형가속기 빔과는 다른 물리적인 특성을 갖고 있으며, 여러 가지 동적 요소들이 결합되어 빔을 조사하므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팬톰 이외의 독립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피부 선량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피부 선량 검증을 위하여 영상 기반 치료용 팬톰에 선량 측정 기능을 추가한 새로운 팬톰을 개발하였으며, 열형광선량계(LiF, TLD-100)와 GafChromic EBT필름을 팬톰에 삽입하여 전달된 피부 선량을 측정하였다. 팬톰의 반지름 방향으로 피부 영역을 포함하여 깊이 35 mm 영역까지 균일한 선량을 전달했을 때, 필름으로 측정한 특정 점에서의 선량은 계산 선량에 대하여 평균 약 2% 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처방 선량보다 최대 ${\pm}14%$까지 더 높거나 낮은 선량이 전달된 영역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치료 계획 시스템의 계산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조사 영역에서 측정한 선량 분포의 균일성이 감소하였으며 팬톰 내에 삽입한 테플론에 의한 선량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토모테라피의 치료 빔을 이용하여 피부암과 같이 굴곡이 있는 낮은 깊이에 위치한 표적에 선량을 전달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조사되는 빗면 조사 빔의 특성과 치료 계획 시스템의 선량 계산 방식에 따라서 피부 선량의 오차가 허용 범위보다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치료전 측정을 통한 피부 선량 검증이 필요하다.

  • PDF

가미온청음(加味溫淸飮) 추출물이 항염증, 항산화 및 미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amioncheong-decoction Water-extract on Anti-inflammation, Anti-oxidation and Skin Whitening)

  • 최유진;노정두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117-126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n analysis of the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d skin whitening properties of Gamioncheong-decoctione(GMOCD) extract. Methods : GMOCD(96 g) and 2 L of distilled water were heated at $100^{\circ}C$ for four hours and then concentrated, frozen, freeze-dried,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nd filtered.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mpleted: cell cytotoxic effect using MTT assay, oxidative products of NO by griess assay, concentration of prostaglandin $E_2(PGE_2)$ by commercially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and cytokines($IL-1{\beta}$, IL-6 and TNF-${\alpha}$) by Bio-Plex$^{(R)}$ Suspension Array System's Bio-Plex Pro$^{TM}$ mouse cytokine, chemokine, and growth factor assay. Anti-oxidative effect was measured using the DPPH method and skin whitening effect using tyrosinase inhibition assay. Results : GMOCD water-extract did not show any toxicity at all doses and cell viability was more than 90 % at all doses. GMOCD water-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at doses of 100, 200, $4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PGE_2$ production at doses of 200 and $400{\mu}g/ml$ and reduced the LPS-induced IL-$1{\beta}$, IL-6 and TNF-${\alpha}$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L-1{\beta}$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a dose of $400{\mu}g/ml$ and IL-6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doses of 200 and $400{\mu}g/m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had a skin whitening effect rate of more than 50%.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as appar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GMOCD water-extract suppressed NO and $PGE_2$ production and inhibited cytokines($IL-1{\beta}$, IL-6 and TNF-${\alpha}$). GMOCD also improv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GMOCD water-extract increas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this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방사선치료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마스크의 산란선 감소를 위한 마스크 변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rmoplastic Masks Deformation for Reducing Scattered Ray in Radiation Therapy)

  • 이성민;이준영;김재현;정경환;서정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3-69
    • /
    • 2023
  • 두·경부 방사선치료에서 환자자세 고정과 재현성을 위하여 사용하는 열가소성플라스틱 마스크는 피부와 밀착되어 산란선을 유발한다. 고정용구 마스크에서 발생되는 산란선으로 인한 피부선량의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정용구의 피부밀착 부위를 감소시킴에 따른 산란선의 감소를 CT 스캔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산화치료계획 시스템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고정용구의 커버 부위 감소에 따른 셋업의 재현성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DRR과 CT영상을 이용하여 셋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고정용구로 커버하는 부위를 감소시킴에 따라 피부표면의 선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얼굴 전체를 커버하여 고정하지 않아도 재현성에 재현성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FPD System에서 상.하지 촬영 시 격자에 따른 환자 선량 및 화질 평가 (Entrance Skin Dose and Image Quality Evaluation According to Use Grid Radiography for the Extremity in FPD System)

  • 이인자;여영복;이태성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4호
    • /
    • pp.341-348
    • /
    • 2010
  • 상 하지 촬영 시 서울 경기지역 병원의 FPD(Flat Pannel Detector) System 사용 실태와 격자 사용에 따른 환자 선량 및 C-D Phantom에 의한 화질평가, 임상 평가자들에 의한 영상평가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PD system(12대)의 사용 실태 조사결과 격자비는 8 : 1에서 13 : 1까지이며, 12 : 1이 6대로 가장 많았다. 이 중 격자의 탈 부착이 가능한 장비는 8대이지만, 사용하지 않는 것이 5대(62.5%)로 격자를 그대로 사용하는 곳이 9곳(75.5%)이었다. 2. 실험에 사용된 장비에서 격자사용으로 환자가 받은 선량이 4.13배에서 4.79배까지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노출조건(mAs)의 변화(0.5배나 2.0배)에 따라 환자가 받는 선량의 차이는 환자 두께에 따라 크게 차이 나지는 않았다. 4. C-D Phantom에 따른 영상의 화질평가는 격자 사용 시와 노출량이 많아질 때 영상의 식별은 잘 되었다. 5. 임상 평가는 두께가 얇은 Hand PA 영상에서는 격자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더 좋았다. 두께가 두꺼운 Knee AP 영상에서는 격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환자선량이 적어진다면 격자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5명 중 3명으로 더 많았다.

양파로부터 추출한 천연염료의 피부자극성 시험 (Skin Irritation of Natural Dyes Extracted from Onion (Allium cepa))

  • 배순이;오태광;박승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1_2호
    • /
    • pp.161-165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kin irritation by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the three dyes. These dyes were originated from onion by using extraction method. By the order of extraction from onion, A-dye was obtained from onion by using water at 90-100$\circ$C. B-dye was extracted from A-dye with ethylacetate. After ethylacetate extraction from A-dye, the lower layer named as C-dye. Twenty-four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each groups was consisted of two subgroups according to high dose (extracted dyes) and low dose (the 100-fold dilutions of A-, Band C-dye). In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of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body temperature and weight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nd blood cells were positioned in normal blood cell ranges of health rabbits. Primary irritation index was "0" in the test and control sites of all animals used in this study. By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test, all dyes were evaluated as a non-irritant on the basis of the criteria of Draize.of Draize.

  • PDF

치료 보조기구 사용 시 후 방향 피부선량 측정 (Measurement of Skin Dose from Using the Treatment Immobilization Devices)

  • 제재용;박철우;노경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1호
    • /
    • pp.107-110
    • /
    • 2009
  • 본 연구는 인체 팬텀(alderson rando phantom)의 등쪽에 원통형 전리함을 부착하여 방사선 치료 조사야내 환자와의 접촉 물질과 조사 야의 크기, 방사선 입사각도에 따른 피부 후 방향 선량 변화를 조사하 다. 연구 결과 테니스 라켓 줄(tennis racket)의 마일러(mylar)를 기준으로 첫째 : 조사야 $10{\times}10\;cm^2$ 기준으로 면(cotton)은 약 2%, breast board는 약 8%, $15{times}15\;cm^2$에서는 약 6%, $20{\times}20\;cm^2$는 약 10% 증가하였으며, $5{\times}5\;cm^2$에서는 약 13% 정도 감소하였다. 둘째 : 방사선 입사각도가 $0^{\circ}$로 기준으로 하여 $5^{\circ}$에서는 breast board 0.4%, tennis racket 0.5%, cotton 1.1%, $10^{\circ}$에서는 breast board 1.5%, tennis racket 1.9%, cotton 2.6%, $15^{\circ}$에서는 breast board 3.9%, tennis racket 2.6%, cotton 3.86%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carbon 재질의 치료보조기구는 피부표면선량의 크게 증가하므로 치료조사야 내에서는 피부와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 PDF

An Empirical Approach to Dosimetric Effect of Carbon Fiber Couch for Flattening Filter Free Beam of Elekta LINAC

  • Ahn, Sohyun;Park, Kwangwoo;Kim, Jinsung;Lee, Ho;Yoon, Jeongmin;Lee, Eungman;Park, Sohyun;Park, Jeongeun;Kim, Juhye;Keum, Ki Chang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4호
    • /
    • pp.220-223
    • /
    • 2016
  • Gener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dosimetric effect of carbon fiber couch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for an intensity-modulated therapy with a large portion of monitor units from posterior angles. Even a flattening filter free (FFF) beam has been used for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the effect of carbon fiber couch for FFF beam is not well known. This work is an effort to evaluate the dosimetric effect of carbon fiber couch for flattened and FFF beam of Elekta linac empirically. The absorbed doses were measured with Farmer type chamber and water-equivalent phantoms with and without couch. And differences of the absorbed doses between with and without couch defined as "couch effect". By comparing calculated dose in treatment planning system (TPS) with measured dose, the optimal density of couch was evaluated. Finally, differences on patient's skin dose and target dose by couch were evaluated in TPS. As a result, the couch effect for 6 and 10 MV flattened beam were -2.71% and -2.32%,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agreed with provided data by vendor within 0.5%. The couch effect for 6 and 10 MV FFF beam were -3.75% and -2.80%, respectively. The patient's skin dose was increased as 18.6% and target dose was decreased as 0.87%, respectively. It was realized that the couch effect of FFF beam was more severe than that of flattened beam. Patient's skin dose and target dose were changed by the couch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