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conductance respons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2초

백색소음하에서 단어암기 및 재인검사 수행시의 경악 및 정향반사 특성 : 스트레스/정서연구에의 시사점 (STARTLE AND ORIENTING REFLEX COMPONENTS MODULATION BY ATTENTION TO TASK AND PERFORMANCE OF MENTAL TEST WITH NOISE FOREGROUND)

  • ;이임갑;박경진;손진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논문집
    • /
    • pp.139-145
    • /
    • 1999
  • In current study on 8 college students there was examined modulation of eyeblink (as measured by integrated EMG of m.orbicularis oculi) and skin conductance response (SCR) to an acoustic startle probe (85 dB[A] white noise) by attending to task presented in auditory modality (to memorize words for further recognition) and entire performance of the word recognition test. Both eyeblink magnitude and SCR amplitude and rise time to startle probes were modified (larger magnitude of EMG peak, lower amplitude and shorter rise time of SCR) during attending to task as compared to performance on test. Results are interpreted n terms of modification of electrodermal and eyeblink components of startle and orienting reflexes by task characteristics (passive versus active efforts), attentional demands and aversiveness of experimental situation. However, eyeblink startle response manifested potentiation during attending to task, while SCR demonstrated attenuation. There are discussed implications of startle modulatioas a potentially sensitive probe of situational demands in stress research and also are considered prospects for further studies.

  • PDF

심상자극과 GSR의 관계에 대한 예비연구 - 쾌.불쾌를 유발하는 심상자극과 암산과제에 대한 SCL 반응비교 (Prelimina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duced Mental Imagery and GSR - Comparison among Mental Imageries Inducing Pleasantness or Unpleasantness and Mental Arithmetic)

  • 이봉건;정인원;김재진;신철진
    • 감성과학
    • /
    • 제5권2호
    • /
    • pp.11-22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적 쾌 또는 불쾌 자극의 생리적 반응지표로서의 전기 피부반응[electrodermal response(EDR) 또는 Galvanic Skin Response(GSR)로 총칭의 유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자료수집 절차를 확립하기 위한 예비연구의 수행에 있다. 이를 위해 쾌 또는 불쾌를 유발하는 미약한 심상자극과 인지적 암산과제가 피부 전도도(skin conductance level : SCL)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9명의 대학생(남자 5명, 여자 4명)이었다. 쾌 불쾌 자극의 선정방법으로서 각 피험자에게 일련의 단어를 제시하고 머리 속에 떠오르는 대로 좋아하는 대상과 싫어하는 대상을 적게 한 후 그 중 가장 좋아하는 대상과 싫어하는 대상을 선택하게 하였다 이 대상을 각각 쾌\ulcorner불쾌를 유발하는 심상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세 번째로 제시된 정신적 내면자극은 전통적으로 그 효과가 입증된 인지적 암산과제(숫자 빼기)였다. 자극자료 수집절차는 기저수준 기간, 쾌를 유발하는 심상, 기저수준, 불쾌심상, 기저수준, 암산과제의 순으로 진행되면서 매 10초 간격으로 SCL을 기록하였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전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심상의 미세한 심리적 효과가 보다 잘 드러나도록 자료수집 절차가 수정 \ulcorner보완되었다. 즉, 심상자극을 상상한 후 심상자극에 몰입을 충실히 하면서 잡음신호(Irtifact)를 극소화하기 위하여 생생한 심상에 몰입하고 나면 손가락을 살짝 들어서 실험자에게 신호를 보내도륵 하였으며, 기저수준으로의 원상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완의 수준을 깊게 해 주는 데 초점을 둔 지시문을 읽어 주었다. 연구결과, 3회의 기저수준의 SCL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절차와 달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절차가 여러 자극의 효과비교에 필요한 기저수준의 안정성을 달성하였음을 알려 준다. 또한 암산과제시의 SCL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괴로운 심상자극의 경우보다도 SCL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산과제가 가장 큰 생리적 흥분을 일으킴을 시사한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절차와 자극과제는 장차 내면의 심리자극의 정신생리적 효과를 연구할 때 좀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적용해 볼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PDF

경막외마취에 따른 생체신호 변화의 분석 (Analysis of Biosignal Variations caused by Epidural Anesthesia)

  • 전영주;임재중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5-283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tract and analyze the biosignal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nesthesia and the variations of physiological parameters during epidural anesthesia. Seven male and twenty female patients(ages from 45 to 70 years old) were participated for the experiment, and ECGs, PPGs, SKTs, SCRs were obtained during anesthesia. As results, the HF/LF ratios of HRV were decreased after the injection anesthetics. For skin temperatures, values measured from the palm was reduced and the temperatures from four channels, measured from armpit through the right side of the body, were increased. SCRs were decreased for all channels after the injection of anesthetics. However the heart rate and PPG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t was concluded that the injection of anesthetics result the changes in biosignals, and it could be explained by the degree of the sympathetic and/or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ie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estimation of level for the spinal and general anesthesia, and could be extended to the development of a system which could quantify the level of anesthesia.

  • PDF

그림 자료의 제시여부와 읽기모드에 따른 인지부하와 GSR의 차이 (Impact of Picture and Reading Mode on Cognitive Load and Galvanic Skin Response)

  • 류지헌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21-32
    • /
    • 2010
  • 이 연구는 그림 자료의 근접성(고근접 vs. 저근접)에 따른 제시여부와 읽기모드(단순읽기 vs. 요약읽기)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부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전기피부반응을 통하여 인지부하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참가자는 34명(통제집단=17명, 실험집단=17명)이었으며 고근접 조건과 저근접 조건에 대한 반복구획요인설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각 실험조건에서 측정된 과제난이도 지각점수를 공변량으로 투입하여 학습자의 사전지식에 의한 영향력을 통제하였다. 그림 자료의 근접성의 정도에 따라서 고근접 그림 자료와 저근접 그림 자료가 순차적으로 제시되었다. 처음에는 단순읽기 모드가 제시되었고 이후에 요약읽기를 수행하였다. 전기피부반응은 단순읽기와 요약읽기에서 모두 측정되었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전기피부반응과 지각된 난이도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근접 자료가 제시된 조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저근접 조건에서는 그림 자료의 제시여부 및 읽기모드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저근접 조건에서는 텍스트만 제시하는 것보다는 그림 자료가 제시될 때 전기피부반응이 올라갔다. 또한 단순 읽기 보다 요약읽기에서 더 높은 전기피부반응이 측정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저근접 그림은 인지부하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읽기모드가 복잡해지면 인지부하가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일한 자료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인지과정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서 인지부하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습성취과 같은 과제수행 요인과 더 높은 난이도에서의 인지부하 측정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운전 중 돌발 상황과 관련된 인지 처리 및 감정 반응의 피부전도수준 해석 (Analysis of Skin Conductance Level for Cognitional and Emotional Responses associated with Unexpected Situation during Driving)

  • 이수정;양재웅;김지혜;최미현;문경률;김한수;최진승;지두환;민병찬;탁계래;정순철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69-87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kin conductance level (SCL) induced by unexpected situation which reflected the emotional and cognitional responses during driving. The participants included 57 college graduates; 28 males aged $24.5{\pm}1.3$ with $2.3{\pm}1.5$ 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nd 29 females aged $23.6{\pm}2.6$ with $2.2{\pm}1.7$ years of driving experience. Reaction time of brake, averaged SCL, maximum SCL, and rising time to maximum amplitude were measured. They were analysed according to condition (crash, non-crash) and gender (male, female). The reaction time of brake was more faster and averaged SCL was greater during non-crash condition than during crash con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drivers in the reaction time of brake and averaged SCL whether or not it cras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rash and non-crash conditions in the maximum SCL and rising time to maximum amplitud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m.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averaged SCL is more related to cognitional response and maximum SCL and rising time to maximum amplitude are more related to emotional responses.

Half-Against-Half Multi-class SVM Classify Physiological Response-based Emotion Recognition

  • ;고광은;박승민;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62-267
    • /
    • 2013
  • The recognition of human emotional st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for efficient human-human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In this paper, four emotions such as fear, disgust, joy, and neutral was a main problem of classifying emotion recognition and an approach of visual-stimuli for eliciting emotion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of skin conductance (SC), skin temperature (SKT), and blood volume pulse (BVP) was used to design the experiment. In order to reach the goal of solving this problem, half-against-half (HAH) multi-class support vector machine (SVM) with Gaussian radial basis function (RBF) kernel was proposed showing the effective techniques to improve the accuracy rate of emotion classific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proved that the proposed was an efficient method for solving the emotion recognition problems with the accuracy rate of 90% of neutral, 86.67% of joy, 85% of disgust, and 80% of fear.

휴대용 불안 증후 측정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mbulatory Monitoring of Vital Signs for Anxiety)

  • 윤형로;김광준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5-242
    • /
    • 1991
  • This research has reported that the selection and assessment of treatment in anxiety disorders depend to a large extend on patient reports of somatic symptomatology. Howev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such reports and actual physiological data Is unknown as the physiological measures used were taken in laboratory. The purpose of the ambulatory momboring device is, therefore, to present for analysis physiological data derived from the sub jects during their daily activities.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of interest are heart rate, respiratory rate, skin conductance level/response, skin temperature, and activity level. This device had an microcomputer based data acquisition unit, Interfaced to it for the purpose of data collection. The data is collected usually over a period of 12 hours. The data from the ambulatory monitoring device can be used to assess the psychophysiology of anxiety in the field. The data from the device will also reveal if patients who report different sets of symptoms differ physiologically too. Thls will help physicians for the right kind of treatment and also solve the many uncertainties that have existed thus far in quantizing anxiety.

  • PDF

무료함, 통증, 그리고 놀람 정서 간 자율신경계 반응의 차이 (Differenc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among Boredom, Pain, and Surprise)

  • 장은혜;음영지;박병준;김상협;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503-512
    • /
    • 2011
  • 최근 HCI 분야에서 정서 인식은 정서 지능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단계 중의 하나이다.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정서 인식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기본 정서 이외의 다른 정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료함, 통증, 그리고 놀람의 세 가지 정서 간 자율신경계 반응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자는 217명의 실험참여자(남 96명)들을 대상으로 시/청각 자극을 조합하여 무료함과 놀람 정서를 유발하였고, 혈압기를 이용하여 통증 정서를 유발하였다. 정서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 피부전기활동, 피부온도, 심전도와 광혈량도를 측정하였고, 실험참여자들이 경험한 정서 범주와 강도를 정서평가척도 상에 평정하게 하였다. 정서 자극에 대한 평가 결과, 사용된 정서 자극은 평균 92.5%의 적합성과 5.43의 효과성을 보였는데, 이는 각 정서 자극이 해당 정서를 효과적으로 유발한 것을 의미한다. 자율신경계 측정 결과, 피부전기활동, 피부온도, 심박률, 심박률의 저주파수 성분과 평균 혈류량은 안정 상태와 정서 상태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각 정서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 반응은 정서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이론의 확장과 자율신경계 반응 측정 지표를 활용하여 정서를 인식하는 알고리즘 및 인간 정서를 변별하는 컴퓨터 시스템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이다.

  • PDF

뉴로피드백 훈련이 후기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심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비무작위 연구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Physical,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for Late Adolescence: A Non-Randomized Trial)

  • 최문지;박완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08-220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for reducing stress and enhancing self-regulation in late adolescence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se for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78 late adolesce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39) that received the neurofeedback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n=39). Data were collected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skin conductance level (SCL) to assess stress-biomarker response. The questionnaire contained 164 items fro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nd Self-regulatory Ability scale. The neurofeedback training was based on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and body-mind medicine.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0 sessions for 30 minutes per session with high-beta, theta and sensory motor rhythm training on scalp at central zero.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to normal interval (p=.036) in HRV and SCL (p=.029) of stress-biomarker response between the two groups. Negative affect (p=.036) in PANAS and obsessive compulsive (p=.023) and depression (p<.001) in SCL-90-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regulation mode (p=.004) in self-regulation ability sc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urofeedback training is effective in stress-biomarkers,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Therefore, neurofeedback training using neuroscientific approach based on brain-mind-body mode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late adolescents in clinics and communities for effective stress responses.

정서시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 반응패턴: 유발정서에 따른 피부전도반응, 심박률 및 호흡률 변화 (Patterns of Autonomic Responses to Affective Visual Stimulation: Skin Conductance Response,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Vary Across Discrete Elicited-Emotions)

  • 손진훈;;이임갑;이경화;최상섭
    • 감성과학
    • /
    • 제1권1호
    • /
    • pp.79-91
    • /
    • 1998
  • 이 연구의 목적은 IAPS(국제정저사진체계) 사진자극에 의해 유발된 각각의 주관적 정서상태에 특정적인 자율신경계 반응이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부정적 정서(분노, 슬픔, 놀람)와 긍정적 정서(행복, 흥분)를 유발하는 IAPS사진을 각 60초 동안 제시하였을 때 유발되는 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을 측정하였다. 시각자극이 주어진 초리 30초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심박률 감속 및 호흡률 감소를 보여주었으며, 뚜렷한 피부전도반응이 출현하였다. 심박률 감속은 혐오보다 흥분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피부전도반응의 진폭은 혐오보다 흥분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피부전도반응의 진폭이 상승하는 시간은 슬픔, 행복, 놀람보다 혐오에서 더 짧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자율신경계 반응(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은 정서상태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며, 특정 정서상태에서 자율신경계 반응은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매우 전형적인 반응패턴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 특정적인 자율신경계 반응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해주며, 생리신호분석을 통해서 심리적 정서를 결정할 수 있는 형판(template)의 구성을 위해서 다양한 자율신경계 정서반응의 지표를 포괄적으로 측정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