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pattern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인 여학생 상악 치조골의 성장 양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GROWTH PATTERN OF MAXILLARY ALVEOLAR BONE OF THE KOREAN GIRLS)

  • 박수진;이승표;이유미;김정욱;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1-169
    • /
    • 2011
  • 상악 치조골은 상악골의 일부로 치근을 감싸고 지자하는 역할을 하며 치아의 결손 시 지지구조물로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지금까지 치조골의 성장에 관한 연구는 교정적 치료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영구치 결손을 위한 치료법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에 있는 한국인 여학생들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들을 연도 별로 수집하여 상악 치조골의 성장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국인 여학생들의 만 8세에서 만 14세까지 2년 간격으로 측모두부규격방사선 사진, 키, 역연령을 수집하였다. 여섯 항목을 계측하여 각 항목의 평균 최소값 및 최대값을 구하고 각 예측 항목과 역연령, 키 사이의 상관관계 및 동일 항목에서 나이 군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성장량 예측을 위한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상악 치조골은 14세까지 계속 성장하였으나 성장속도는 점차 감소하여 키의 성장 양상과 차이를 보였다. 역연령 및 키와 치조골 높이 사이의 상관 계수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역연령 군 사이의 상관계수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역연령을 기초로 하는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14세 때의 치조골 높이 예측 공식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아 상악 치조골의 성장 양상 이해와 성장량을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임플란트 시술과 같은 적극적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교정환자의 분포양상에 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PATIENTS 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구용한;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50-555
    • /
    • 2009
  • 과거에 비해 소아 및 청소년기에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소아치과에서 교정치료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환자 중 교정 진단 받은 79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 진단을 받은 환자의 연령 분포는 8세가 22%로 가장 많았고 7세(19%), 9세(16%) 순서로 나타났다. 2. 골격 분포는 골격성 1급 부정교합이 52%로 가장 많았고 3급(29%), 2급(19%)순서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3급 부정교합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총 792명의 환자 중 28%인 218명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였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그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Posi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in different skeletal facial types: First radiographic evaluation in a group of Iranian patients

  • Shokri, Abbas;Mahmoudzadeh, Majid;Baharvand, Maryam;Mortazavi, Hamed;Faradmal, Javad;Khajeh, Samira;Yousefi, Faezeh;Noruzi-Gangachin, Maruf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4권1호
    • /
    • pp.61-6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i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in different skeletal facial types among a group of Irani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00 mandibular third molars in 200 subjects with different types of facial growth were radiographically investigated for their positions according to their types of facial growth on the basis of the ${\beta}$ angl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lass I, II, and III) according to ANB angle, representing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the maxilla to the mandible. Meanwhile, the subjects were also divided into three groups (long, normal, and short face) according to the angle between the stella-nasion and mandibular plane (SNGoGn angle).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an ${\beta}$ ang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s (df=2, F=0.669, p=0.513). The same results were also found in short, normal, and long faces (df=1.842, F=2, p=0.160). The mesioangular position was the most frequent one in almost all of the facial growth patterns. Distoangular and horizontal positions of impaction were not found in the subjects with class III and normal faces. In the long facial growth pattern, the frequency of vertical and distoangular positions were not different. Conclusion: In almost all of the skeletal facial types, the mesioangular imp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as the most prevalent position, followed by the horizontal position. In addition, ${\beta}$ ang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t types of facial growth.

상악골 급속확장술식 전후 두경부 자세와 설골위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head posture and hyoid bone position before and after rapid maxillary expansions)

  • 배현철;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69-584
    • /
    • 1997
  • 본 연구는 상악골 급속확장술식 후 호흡변화와 연관된 두경부 자세의 변화와 이에 따른 설골 위치 변화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평균연령이 12세 9개월이고 Hellman stage IIIc에서 adult stage까지의 인두강이 정상적이며 상악골 급속확장술식을 시행 한 Angle씨 III급 골격 양상의 남녀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중 상악골 급속확장술식 시행 후 두경부각도가 증가된 군을 A군으로, 감소된 군을 B군으로 분류하였고 대조군은 연구대상과 동일한 Hellman stage이며 평균연령 12세 7개월의 Angle씨 I급 골격양상을 띠는 남녀환자 23명으로 이들을 C군으로 하여 골격양상과 인두강크기, 두경부 자세, 설골 위치에 대한 항목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양상과 인두강 비교 1) A, B군의 치료 전후 비교에서, 두 군 공히 하악이 하방경사되었고 인두강 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2) 세 군간의 치료 전후를 각각 비교한 결과, A, B군의 PMV에 대한 골격 양상과 인두강 크기는 정상이었다. 2. 두경부 자세 비교 1) A, B군의 치료 전후 비교에서, A군에서는 두경부 각도가 상방으로 B군은 두경부 각도와 하악하연이 하방으로 경사됨을 보였다. 2) 세 군간의 치료 전후를 각각 비교한 결과, 치료전에 두경부 각도가 A군은 정상적이었으며, B군은 정상보다 상방 경사짐을 보였다. 치료후에는 A, B군 모두 정상적인 두경부각도를 보였다. 3. 설골 위치 비교 1) A, B군의 치료 전후 비교에서, 두 군 공히 설골장축 각도의 변화가 없었고 전후방적으로 A군은 설골이 후방위치 되었으며 B군은 변화가 없었다. 수직적으로는 A군의 APHFH가 증가되었을 뿐 나머지 항목에서는 두 군 모두 변화가 없었다. 2) 세 군의 치료 전후를 각각 비교한 결과, 설골장축 각도는 A, B군 모두 정상적이었으며, 전후방적으로 치료전에 A군이 B, C군보다 설골이 전방에 위치되었으나 치료후에는 A, B군 공히 정상적 위치였었다.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치료 전후에 A, B군 모두가 정상적이었다.

  • PDF

소아에서 상하악골의 위치에 따른 상기도의 시상평면상 계측값의 연관성 (Evaluation of Upper Airway Depth with Different Anteroposterior Skeletal Patterns in Children)

  • 김숙희;고미자;남옥형;김미선;이효설;김광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07-313
    • /
    • 2018
  • 본 연구는 소아에서 상하악의 전후방적인 골격적 위치 관계에 따른 기도의 너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 8월31일까지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한 소아 중 정상적인 안면골격의 수직적 성장 양상을 보이는 7세부터 11세(평균연령 8.5세) 어린이 74명(남아 36명, 여아 38명)을 A point-Nasion-B point (ANB) 각도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을 통해 기도 너비를 비교평가하였다. 중기도너비, 하기도너비 및 기능적교합평면상에서의 기도너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큰 ANB각도를 지니는 군이 다른 군보다 기도너비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골격성 2급 부정교합을 지닌 소아들이 1급이나 3급 부정교합을 지닌 소아보다 기도너비가 더 작은 것으로 사료된다.

비발치로 치료된 I 급 부정교합의 형태적 특성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CLASS I, NON-EXTRACTION PATIENTS)

  • 장영일;신수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3-351
    • /
    • 1998
  • 본 연구는 비발치로 치료된 I급 부정교합 환자의 형태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비발치로 치료된 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전과 치료후 안면형태를 평가하고 이를 교정치료를 받지 않은 정상군과 4개의 제 1소구치를 발거하고 치료한 I 급 부정교합 환자군과 비교하였다. Edgewise appliance와 MEAW를 사용하여 비발치로 치료한 환자로 치료후 비교적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갖는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14.7세 였고 평균 치료기간은 2.6년이었다 치료전과 치료후의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에서 32개의 계측점을 사용하여 24항목의 각도와 거리를 측정하였다. Student t-test를 시행하여 비발치군의 치료전과 치료후의 변화, 비발치군과 정상군의 차이, 그리고 비발치군과 발치군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p{\leq}0.05$),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비발치로 치료한 I 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전 ODI는 $69.9^{\circ}$, APDI는 $82.1^{\circ}$, CF는$152^{\circ}$, EI는 $152^{\circ}$ 였다. 2. 비발치군의 골격형태는 정상군과 유사하였으나 정상군보다 큰 절치간각을 보였다. 3. 발치군은 비발치군보다 돌출된 안모와 작은 절치간각, 그리고 낮은 EI를 가지고 있었다. 4. 비발치군의 치료전,후 골격형태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치료후 상,하악 구치의 직립과 절치간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성장기 아동에서 Cervical Headgear사용시 골격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SKELETAL CHANCE FOLLOWING CERVICAL HEADGEAR THERAPY IN GROWING CHILDREN)

  • 현하영;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3-534
    • /
    • 1996
  • 성장기 아동의 ClassII 부정교합에서 과도한 성장의 억제, 미약한 성장의 촉진으로 성장 시기에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좋은 치료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중 가장 적절히 쓰이는 장치 중 Cervical headgear의 사용을 들수 있으며 악골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장치의 부작용이라 할 수 있는 수직적 성장의 과잉을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많은 선학들의 연구가 시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Cervial headgear의 상하악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Lover facial height를 기준으로 증가군(>0)과 증가하지 않은 군 (${\leq}0$)으로 나누어 골격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국대학교 부속 치과병원에 내원한 성장기 아동의 II급 부정교합환자 25명을 대상으로 cervical headgear를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이 다소의 지 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상악골의 전방 성분이 억제되었고, 구개 평면의 전방이 하방으로 tipping되었으며 상악 제 1대구치의 후방 이동이 있었다. 2. 하악골의 두개저에 대한 상대적인 전방 이동이 있었으며 상악에 대한 하악 제 1대구치의 상대적인 전방 이동이있었고 하악골의 alveolar growth에 의한 수직적인 증가가 있었다. 3. 전안면 고경과 후안면 고경이 각기 유의하게 증가했으나 안면 고경 비율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4. Lower facial height가 증가한 group이 증가하지 않은 group보다 ramus의 길이가 짧고 palatal plane angle이 더 작았으며 상악 제 1대구치의 후방 이동량이 더 많았다

  • PDF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FILE CHANGE AND STABILITY OF TREATMENT AFTER WEARING FACE MASK)

  • 박영철;신자영;유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0
    • /
    • 1997
  •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은 성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형태로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그 심각성이 더해가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악의 과성장으로 인한 경우,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경우, 그리고 이 두가지가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그것이다.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의 조기에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장치의 효과 및 측모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외 많은 선학들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치료 후 측모 변화 및 치료 효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중 재진단(follow-up)이 가능한 50명(남:18명, 여:32명)의 환자를 선별하여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강내 장치 종류별로 분류한 뒤, 치료후 나타나는 측모 변화 및 치료의 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한국인 정상교합아동 20명(남:10명, 여:1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사이에서 성장량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전과 사용후를 비교한 결과 악안면 골조직과 연조직 및 치아의 계측항목에서 많은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와 상악골 급속 확장장치(R.P.E.)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악안면 골조직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순설측 유지장치 (La-Li)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치아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착용기간동안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이 치료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4.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제거후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성장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에 있어서 치료군의 성장량이 정상군의 성장량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상악골 전방견인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는 상악골의 전방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전방견인이 끝난 후에는 상악골 성장의 자극효과가 소멸되어 상악골 열성장의 양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 PDF

식이의 콜레스테롤 급여 수준이 흰쥐의 혈장 콜레스테롤, 지단백 분획 및 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evels of Dietary Cholesterol on Plasma Cholesterol, Lipoprotein Fraction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Tissues)

  • 임현숙;원향례;김기남;한인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2호
    • /
    • pp.83-89
    • /
    • 1985
  • 본 실험은 식이를 통한 콜레스테롤의 섭취가 흰쥐의 혈장 지단백 분획에 어떻게 영향하는지 또한 이때에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와 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총에너지의 12%를 옥수수기름으로 공급하는 식이에,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각각 0.2%, 0.5% 및 1.0%의 콜레스테롤 첨가군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상기 실험식이를 갓 이유된 Sprague-Dawley계통의 암쥐 및 숫쥐에게 4주간 자유급식시켰다. 실험결과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 급여에 따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지단백 분획은 유의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즉 식이 콜레스테롤의 급여 수준이 높을수록 ${\alpha}-lipoproteins$(HDL) 분획비는 점점 감소되었고 ${\beta}-lipoproteine$(VLDL+LDL) 분획비는 점차 증가되었다. 한편 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간장과 골격근의 경우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간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식이 콜레스테롤의 급여수준과 비례하여 증가하여 1.0% 첨가군의 경우 무첨가군에 비하여 약 7배의 축적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골격근의 축적량은 약 1.5배 내지 1.9배 정도로 제한되었다. 반면 지방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외인성 콜레스테롤의 섭취에 영향받지 않았다.

  • PDF

간엽성 연골육종 - 3례 보고 - (Mesenchymal Chondrosarcoma - 3 Cases Report -)

  • 구미진;배영경;최준혁;김미진;최원희;신덕섭;서장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87-92
    • /
    • 2000
  • 저자들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간엽성 연골육종으로 진단받은 3례를 대상으로 임상 병리학적 특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장의 연령은 25세에서 32세였고 평균연령은 28세였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7.3cm였다. 조직학적으로 종괴는 이형성의 소세포로 구성된 고밀도의 부분과 분화가 좋은 초자양의 연골 조직이 섞여 있었다. 3례에서 종양 세포들은 S-100단백과 NSE에 양성이었고 desmin에 모두 음성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