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malocclusion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5초

Mini-implant를 이용한 III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치료: 수평, 수직적 치성 보상의 조절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mini-implant: corre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dental compensation)

  • 임동혁;박현정;박재우;김정일;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88-396
    • /
    • 2006
  • 전치부 치성 보상기전과 장안모를 보이는 하악전돌증례에서 악교정 수술전 교정치료과정과 치료결과를 보이고자한다. 악교정 수술전 교정치료로 장안모의 해결을 위해 구개 정중부에 mini-implant를 식립하여 상악 구치부를 압하하였고, 하악전치부 치성보상을 해결하기 위해 하악 좌우측 견치와 제1소구치 사이에 mini-implant를 식립하여 하악전치의 순측경사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하악골 후퇴술만 시행하였음에도 수평, 수직적으로 조화로운 안모를 얻을 수 있었다. 치료기간은 11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치료 후 18개월 후에도 안정적인 교합이 유지되었다.

부정교합의 유형과 성별에 따른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according to the skeletal malocclusion types and sex)

  • 김하란;이동렬;김광원;윤영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7-315
    • /
    • 2000
  •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시 이용되는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격성 부정교합의 형태와 성별에 따른 두부위치의 재현성을 파악하고자 성인남녀 90명을 대상으로 자세변수 6항목을 설정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남,녀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0.05). 2.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각 부정교합군과 전체 표본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method error를 이용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모든군에서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골격성 부정교합의 양상과 성별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는데, 이는 자연두부위치를 이용한 많은 연구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교정적 문제와 관련된 기능과 형태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할 때 그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Maxillary protraction using customized mini-plates for anchorage in an adolescent girl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Liang, Shuran;Xie, Xianju;Wang, Fan;Chang, Qiao;Wang, Hongmei;Bai, Yuxi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46-355
    • /
    • 2020
  • The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adolescents is challenging. Maxillary protraction, particularly that using bone anchorage, has been proven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e stimulation of maxillary growth. However, the conventional procedure, which involves the surgical implantation of mini-plates, is traumatic and associated with a high risk. Three-dimensional (3D) digital technology offers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ized treatment. Customized mini-plates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xillary surface and the positions of the roots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s; this reduces both the surgical risk and patient trauma. Here we report a case involving a 12-year-old adolescent girl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midface deficiency that was treated in two phases. In phase 1, rapid maxillary expansion and protraction were performed using 3D-printed mini-plates for anchorage. The mini-plates exhibited better adaptation to the bone contour, and titanium screw implantation was safer because of the customized design. The orthopedic force applied to each mini-plate was approximately 400-500 g, and the plates remained stable during the maxillary protraction process, which exhibited efficacious orthopedic effects and significantly improved the facial profile and esthetics. In phase 2, fixed appliances were used for alignment and leveling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s. The complete two-phase treatment lasted for 24 months. After 48 months of retention, the treatment outcomes remained stable.

Hard- and soft-tissue profiles of the midface region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multiplanar-reconstructed image analysis

  • Kim, Bomi;Lee, Hyung-Chul;Kim, Seong-Hun;Kim, Yongil;Son, Woosung;Kim, Seong Si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43-152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derived multiplanar-reconstructed (MPR) cross-sections to clarify the salient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idface deficiency (MD). Methods: The horizontal and sagittal plane intersection points were identified for middle-third facial analysis in 40 patients in the MD or normal (N) groups. MPR images acquired parallel to each horizontal plane were used for length and angular measurements. Results: A comparison of the MD and N group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zygoma prominence among female patients. The convex zygomatic area in the N group was larger than that in the MD group, and the inferior part of the midface in the N group was smaller than that in the MD group for both male and female pati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ncave middle maxillary area among male patients. Conclu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MD and normal face through MPR images derived from CBCT. Male patients in the MD group had a more flattened face than did those in the N group. Female patients in the MD group showed a concave-shaped lower section of the zygoma, which tended to have more severe M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rthognathic surgery to improve skeletal discrepancy requires different approaches in male and female patients.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에 의한 자기개념의 변화 (CHANGES OF SELF-CONCEPT BY ORTHOGNATHIC SURGERY IN THE PATIENT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설유석;손우성;박수병;김성식;김종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70-379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d the psychologic change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by orthognathic surgery. Methods: One hundred and thirty seven adults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ifty two for pre-surgery group, forty two for 2-months after orthognathic surgery group and forty three for 6-months after orthognathic surgery group. Each group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s related to self-concept standard developed by Dr. Lee. The questionnaires included physical self-concept, ethic self-concept, characteristic self-concept, domestic self-concept, the social self-concept and capable self-concept. Each group was compared by one-way ANOVA. Results: Only the physical self-concept showed significant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however it did not showed differences between after 2-months and after 6-months. But other self-concep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by orthognathic surgery. Conclusion: At first, it is expected that many variables related to self-concept were influenced by orthognathic surgery. But only physical self-concept showed significant change by orthognathic surgery.

Mandibular skeletal posterior anatomic limit for molar distalization in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with different vertical facial patterns

  • Kim, Sung-Ho;Cha, Kyung-Suk;Lee, Jin-Woo;Lee, Sang-M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50-259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mandibular posterior anatomic limit (MPAL) distances stratified by vertical patterns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b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CBCT images of 48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ean age, 22.8 ± 3.1 year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vertical patterns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and hyperdivergent; n = 16 per group) were analyzed. While parallel to the posterior occlusal line, the shortest linear distances from the distal root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to the inner cortex of the mandibular body were measured at depths of 4, 6, and 8 mm from the cementoenamel junction. MPAL distanc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their correl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ages, sex distribution, asymmetry, and crowding in the three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MPAL distanc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male (3.8 ± 2.6 mm) than in female (1.8 ± 1.2 mm) at the 8-mm root level. At all root levels, MPAL distan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hypodivergent and hyperdivergent groups (p < 0.001) and between the normodivergent and hyperdivergent groups (p < 0.01). MPAL distances were the shortest in the hyperdivergent group. The mandibular plane angle highly correlated with MPAL distances at all root levels (p < 0.01). Conclusions: MPAL distances were the shortest in patients with hyperdivergent patterns and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s the mandibular plane angle increased. MPAL distances were significantly shorter (~3.16 mm) at the 8-mm root level.

성장기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안면 형태에 대한 측모두부계측방사선학적 연구 (A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Maxillofacial Morphologic Features in Class III Malocclusion Children)

  • 손우일;장익준;송재철;진병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208-214
    • /
    • 2001
  • 성장기 3급 부정 교합인 남아 20명의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Harvold 분석법을 중심으로 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하악간 상대적인 길이 차를 나타내는 악간 길이 차는 3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전하안면 고경은 3급 부정교합군에서 정상교합군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는 없었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에 대한 하악이부의 형태 및 하악절치의 위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morphology of mandibular symphysis and location of lower incisor under the influence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김성식;박재억;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63-774
    • /
    • 1998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골격형태가 하악이부형태와 하악전치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후방적인 악골부조화가 나타나지 않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정상군)와, 하악전돌의 악골부조화를 보이며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하악전돌군)를 비교하여, 두개안면골격형태에 따른 하악이부형태와 하악전치의 위치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안면골격형태의 비교에서 하악에 관련된 ${\angle}SN-Mn,\;{\angle}FMA,\;{\angle}Pal-Mn,\;{\angle}LFH$은 하악전돌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지만,(p<0.05) 상악에 관련된 항목은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p>0.n). 2. 하악전치를 둘러 싸고 있는 치조돌기는 하악전돌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수평적으로 좁고,수직적으로 긴 형태를 나타내었다(p<0.05). 하악이부의 형태에서도 수평적으로는 하악전돌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좁게 나타났으나, 수직적으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p>0.05). 3. 하악전돌군의 두개안면골격형태와 이부계측항목과의 상관관계에서 두개저와 하악하연에 기인하는 수직적인 악골부조화가 증가할수록 LaABH, LiACBW, LaACBW, LiABBW, SW, ${\angle}LISA$가 감소하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p<0.05), 전후방적인 악골부조화와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4. 하악전돌군에서 수직적인 두개안면골격형태를 나타내는 ${\angle}SN-Mn,\;{\angle}FMA,\;{\angle}Pal-Mn,\;{\angle}LFH$ 와 하악이부의 계측 항목인 LiACBW, LiABBW, SW, ${\angle}LISA$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여, 수직적인 악골부조화로 하악이부의 형태와 하악전치의 경사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p<0.001).

  • PDF

악교정 수술을 받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전후 하악전치부 치조골 형태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lower incisor and symphysis during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안형수;김성식;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61-373
    • /
    • 2002
  • 이번 연구의 목적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하악전치부 치조골의 형태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 하악지 시상골분할절단술만을 시행받은 30명의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시와 수술 전과 수술 후 3개월이 경과하였을 때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였다 골격과 하악이부의 계측치를 비교하였으며 이들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여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전교정후군과 악교정수술후군에서 치료전군에 비해 하악전치부의 순측과 설측의 치조골 높이가 감소하였다. 2. 치조골 기저부의 전후방적인 폭경은 두개안면골격의 수직계측항목과 역상관관계를, IMPA와는 순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3. 하악이부 계측항목중 하악이부의 장경과 폭경은 두개안면골격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순측의 치조골 높이와 설측의 치조골 높이는 순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p<0.001), 설측의 치조정의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순측과 설측의 치조정의 폭경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하악이부의 장경과 폭경은 서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5. IMPA와 LISA는 순, 설측치조골의 장경과 설측의 치조골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순측치조골폭경과는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3급 부정교합 환자의 교합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 수복 (Prosthetic rehabilitation in a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 with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 최하은;송한솔 ;고경호 ;허윤혁 ;박찬진 ;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3호
    • /
    • pp.133-145
    • /
    • 2023
  • 하악전돌 양상을 보이는 3급 부정교합은 골격성 3급과 치아변위에 의한 가성 3급으로 나눌 수 있다. 골격성 부정교합은 수복공간 확보 및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수직 및 수평 악간관계를 설정하면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전돌과 전치부 마모 및 교합수직고경의 감소를 보이는 환자에서 임플란트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완전구강회복을 시행하였다. 모형 분석과 디지털 진단을 시행 후 수직고경을 거상한 임시수복물을 제작하여 구치부 지지를 확보하고 안정적인 중심교합을 평가하였고, 이를 반영한 최종보철물로 양호한 기능과 심미를 회복할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