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color

검색결과 903건 처리시간 0.028초

The Influence of Oxygen on Czochralski Growth of Oxide Single Crystals

  • D. S. Chung;Park, B. H.
    • 한국결정성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결정성장학회 1997년도 Proceedings of the 12th KACG Technical Meeting and the 4th Korea-Japan EMGS (Electronic Materials Growth Symposium)
    • /
    • pp.179-181
    • /
    • 1997
  • When grown the oxide single crystal including Li-ion, optimum oxygen condition is needed. Color and crack are caused in single crystal according too the change in the condition of the oxygen. LiTaO₃ crystals grown from off-composition of congruent melt composition under oxygen deficieny condition didn't generate any crack. LiNbO₃. LiTaO₃ crystals grown from congruent melt composition under optimum oxygen condition caused pale yellow color or colorless with no crack. Color gradually became colorless and generated cracks according to Oxygen excess.

  • PDF

Scale Invariant Single Face Tracking Using Particle Filtering With Skin Color

  • Adhitama, Perdana;Kim, Soo Hyung;Na, In Seop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3호
    • /
    • pp.9-14
    • /
    • 2013
  •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single face tracking algorithms with scaling function in a mobile device. Face detection and tracking either in PC or mobile device with scaling function is an unsolved problem. Standard single face tracking method with particle filter has a problem in tracking the objects where the object can move closer or farther from the camera. Therefore, we create an algorithm which can work in a mobile device and perform a scaling function. The key idea of our proposed method is to extract the average of skin color in face detection, then we compare the skin color distribution between the detected face and the tracking face. This method works well if the face posi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camera. However, this method will not work if the camera moves closer from the initial point of detection. Apart from our weakness of algorithm, we can improve the accuracy of tracking.

Single-Protein Molecular Interactions on Polymer-Modified Glass Substrates for Nanoarray Chip Application Using Dual-Color TIRFM

  • Kim, Dae-Kwang;Lee, Hee-Gu;Jung, Hyung-Il;Kang, Seo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5호
    • /
    • pp.783-790
    • /
    • 2007
  • The immobilization of proteins and their molecular interactions on various polymer-modified glass substrates [i.e.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S),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GPTS), 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chitosan (CHI), glutaraldehyde (GA), 3-(trichlorosilyl)propyl methacrylate (TPM),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MPTMS), glycidyl methacrylate (GMA) and poly-l-lysine (PL).] for potential applications in a nanoarray protein chip at the single-molecule level was evaluated using prismtype dual-color total internal reflection fluorescence microscopy (dual-color TIRFM). A dual-color TIRF microscope, which contained two individual laser beams and a single high-sensitivity camera, was used for the rapid and simultaneous dual-color detection of the interactions and colocalization of different proteins labeled with different fluorescent dyes such as Alexa Fluor® 488, Qdot® 525 and Alexa Fluor® 633. Most of the polymer-modified glass substrates showed good stability and a relative high signal-to-noise (S/N) ratio over a 40-day period after making the substrates. The GPTS/CHI/GA-modified glass substrate showed a 13.5-56.3% higher relative S/N ratio than the other substrates. 1% Top-Block in 10 mM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showed a 99.2% increase in the blocking effect of non-specific adsorption. These results show that dual-color TIRFM is a powerful methodology for detecting proteins at the single-molecule level with potential applications in nanoarray chips or nano-biosensors.

모바일 폰 카메라의 자동백색보정 성능향상을 위한 단색영상 검출 알고리즘 (Single Tone Detection Algorithm for Improve on Auto White Balance of Mobile Phone Camera)

  • 김경린;장원우;김주현;양훈기;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292-130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폰 카메라의 적용을 위한 자동백색보정(Auto White Balance, AWB) 기능 중에서 단색영상에 대한 탈색 현상과 색상의 왜곡을 막기 위한 단색영상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자동백색보정 기능은 복합영상의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자동백색보정이 수행되었지만, 입력영상이 단색이거나 단색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는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색상이 탈색되거나, 입력영상의 색상 성분에 의해서 자동백색보정의 결과가 왜곡된 색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백색보정 수행 시 상기 단색영상에 대한문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의 색상정보에 대한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이용한 단색영상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자동백색보정 기능에 추가적으로 적용된다면 더욱 향상된 기능의 자동 백색보정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단일 및 이중도포에 의한 삼파장형광등의 제조시 목표광색의 조합에 관한 연구 (Color Matching in Production of Tri-color Fluorescent Lamp Coated by Single and Double Layer)

  • 김성래;하백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14
    • /
    • 1999
  • 삼파장 형광등의 제작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원하는 목표 색을 맞추기 위하여 혼합하는 세 가지 형광물질의 혼합비율이다. 한 형광체의 광 스펙트럼이 약간 변형되거나, 공정변수에 의하여 변경되거나, Ar과 Kr 같은 불활성가스의 스펙트럼이 혼재하거나 또는 재래 할로인산칼슘이 공존할 경우 원하는 정확한 색을 찾기가 매우 힘들어지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원하는 목표 색을 빠르게 찾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세 개의 각각의 단일색의 형광등과 3색을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한 형광등을 만들고 각각의 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이로부터 알곤과 수은의 스펙트럼을 빼서 변형 색 좌표를 얻었다. 이 변형 색 좌표로부터 적생에 대한 청색과 녹색의 광속비를 그의 무게 비에 대하여 도시하여 무게 대 광속비의 관계를 구하였다.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생산라인에서 삼파장 형광체의 단일 도포 및 할로인산칼슘을 1차로 도포하는 2중 도포를 실시하여 목표색을 조합해본 결과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Kubelka-Munk모델을 이용한 이미지 기반 메이크업 색상 분석 및 도포 영상 합성 (An Image-based Color Appearance Analysis of Makeup and Image Synthesis based on Kubelka-Munk Model)

  • 김명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49-358
    • /
    • 2015
  • Simulating color appearance of makeup effect is an important issue in computer graphics as well as cosmetic industry. Most of previous works on makeup simulation are simple color blending to mimic the cosmetic effects. Some of previous works employed Kubelka-Munk model to accurately simulate the layering effect of cosmetics. However, the simulation limited on single point, and the rest of area are still computed by simple color blending utilizing the color of the single point simulation. This paper presents an image-based method to compute the color appearance effect of makeup application using per-pixel Kubelka-Munk model. Unlike the previous methods, it is possible to compute per-pixel application thickness as well as optical property of cosmetics. The computed thickness pattern can be used in makeup simulation for a more realistic makeup simulation.

단일 CCD 컬러 캠코더 시스템을 위한 컬러 영상복원 (Color image restoration for a single-CCD color camcorder system)

  • 나운;박영철;백준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398-1415
    • /
    • 1996
  • Instead of using three charge-coupled devices (CCDs) for the corresponding color channels, most consumer's most consummer's color macmorders reconstruct color images by using only one CCD with a color filter array (CFA), which periodically samples different color signals. By this reson the resulting image cannot produce the full resolution of the input image. More sepecifically, a single-CCD color camcorder reconstructs red, greed, and blue color channels from a color filter array followed by a CCD. Dur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color cross-talk among channels (interchannel distortion) and eriodically space-verying blur (intrachannel distortion) occur. The proposed restoration system reduces distortions due to interchannel interference, and then restores each color channel by removing the corresponding intrachannel distor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system provides the improved image in oth objective and subjective senses. A major advantage of the proposed system is feasible to real-time image improvement because it can be implemented by a finite impulse response (FIR) filter structure.

  • PDF

유치에서의 단일 색조 복합레진의 색조 적응력 평가 (Evaluation of the Color Adjustment Potential of Single-Shade Composite Resin in Primary Teeth)

  • 김용순;박호원;이주현;김해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3-120
    • /
    • 2023
  • 모든 유치에 알맞은 색조의 복합레진을 수복하는 것은 소아치과 의사에게 큰 어려움이다. 최근 개발된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구조색 현상을 기반으로 주변 치질과 유사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연구는 단일 색조 복합레진의 유치에서의 색조 적응력(Color adjustment potential, CAP)을 일반적인 다색조 복합레진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한 개의 단일 색조 복합레진과 두 개의 다색조 복합레진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Single, dual 두 종류의 표본이 제작되어 평가되었다. Single 표본은 실험군 레진을 이용하여 제2유구치 인공치를 복제하여 제작하였다. Dual 표본은 발거된 제2유구치 협면에 와동을 형성한 뒤 실험군 레진을 수복하여 제작하였다. 측색계를 이용하여 발거된 치아 및 제작된 표본의 L*, a*, b* 값을 측정하였다. Single, dual 표본에 대한 ΔEab* 값과 CAP 값의 평균을 계산하였으며 Bonferroni 사후 분석을 이용하여 실험군 레진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단일 색조 복합레진이 다른 복합레진들에 비해 유의하게 큰 ΔESingle 값을 나타내었다(p < 0.0167). 모든 실험군 레진 간 유의한 ΔEDual 값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다른 다색조 복합레진들과 비교 시 가장 높은 CAP 값을 나타내었다.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제2유구치에서 다른 다색조 복합레진에 비해 준수한 색조 적응력을 나타내었다.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제2유구치에서 색조 선택 과정을 단순화하면서 심미적인 수복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변색효과 cubic zirconia의 단결정 성장과 특성평가 (Single crystal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changeable colored cubic zirconia)

  • 박병석;최종건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08-112
    • /
    • 2007
  • 광원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cubic zirconia 단결정을 skull melting 법으로 성장하였다. Co와 Nd에 의해서 황색 영역의 강한 흡수가 일어나며, Fe에 의해 보라색 영역의 흡수가 일어남에 따라 광원이 형광등에서 백열등으로 변화할 때 청-녹색에서 적-자색으로 변화가 발생한다. 첨가물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yttria 함량과 열처리 조건 변화에 의해서도 결정의 색이 변화하였다.

Blue-white Reflective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s by Single Liquid Crystal Layer

  • Choi, Woon-Seop;Lee, Hee-Jeong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9권6호
    • /
    • pp.251-254
    • /
    • 2008
  • Blue-white reflective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was prepared by a unique method of single liquid crystal layer, the combination of yellow color liquid crystal and blue color backplane. The dopant and host combination of chlolesteric liquid crystal affects the color spectrum. The CIE chromaticity coordinates of blue and white are (0.10, 0.16) and (0.29, 0.30), respectively. The relatively low driving voltages of 32 V for blue-white display are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