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cavity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1초

구강내 부위별 편평 상피암종의 생존율에 관한 임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ANATOMICAL SITE SURVIVAL RATE IN INTRA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김경욱;이태희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5호
    • /
    • pp.315-322
    • /
    • 2003
  • Background :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reatment method and prognosis of oral cancer are anatomical site, tumor size, metastatic lesion, histologic cell differenciation and microvascular invasion. Anatomical site has great effect to oral cancer patient's survival rate because each site's accessibility and lymph node metastasis is different but this factor was't studied much than other factors. Patients and Methods : 228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common primary sites(Mandible, Maxilla, Floor of Mouth and Tongue) in oral cavity who were diagnosed in th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9, were clinically studied and analyzed on survival rate. Results : 1. Survival rates of each anatomical sites were Tongue(36.8%), Mandible(33.3%), Maxilla(28.7%) and Floor of Mouth(24.5%).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Tongue and Floor of Mouth has significance(p<0.05). 2. Survival rates for early cancer of each site were Maxilla(100%), Mandible(57.1%), Tongue(54.2%) and Floor of Mouth(46.7%).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Maxilla and Floor of Mouth has significance(p<0.05). 3. Survival rates by surgery method of each site were Maxilla(60.6%), Tongue(56.9%), Mandible(44.8%) and Floor of Mouth(26.3%).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Maxilla and Floor of Mouth has significance(p<0.05). 4. Survival rates by radiation or chemo method of each site were Floor of Mouth(23.5%), Mandible(20.0%), Maxilla(9.5%), and Tongue(9.1%).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each site doesn't have significance(p>0.05). 5. In advance stage, Survival rates by single therapy of each site were Tongue(33.6%), Mandible(23.5%), Floor of Mouth(16.7%), Maxilla(0%), and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Maxilla and Tongue has significance (p<0.05). Survival rates by combination therapy of each site were Mandible(38.1%), Maxilla(30.0%), Floor of mouth(18.2%), Tongue(12.5%), and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Mandible and Tongue has significance(p<0.05). Conclusion : Survival rate of tongue is higher than the other sites, early detection of oral cancer can increase survival rate at any site and combination therapy is the most effetive method, especially at maxilla.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누출과 변연부 혼화층 (MICROLEAKAGE AND MARGINAL HYBRID LAYER OF DENTIN ADHESIVES)

  • 조영곤;김영관;안종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1호
    • /
    • pp.34-4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icroleakage and marginal hybrid layer in class V restorations using two one-bottle adhesives and one self-etching adhesive. Class V cavity preparations with occlusal margins in enamel and gingival margins in dentin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30 extracted human molar teeth.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n=30) and restored with three adhesives and composites: Single Bond/Filtek Z-250 (Group 1), Prime&BondNT/Esthet.X (Group 2), UniFil Bond/UniFil F (Group 3). For microleakage, samples were stored in room temperature water for 24 hours, thermocycled stained with 2% methylene blue dye, sectioned into halves, scored and analysed using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sum test. For marginal hybrid layer, samples were sectioned into halves, treated with 10% phosphoric acid for 5 seconds, stored in 5% NaOCL solution for 24 hours, dried and gold coated. Occlusal and gingival margins of each sample were inspected under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Microleakage at the occlusal margins was not evident in group 1 and group 2, but it showed in group 3 (p<0.05). 2. Microleakage in group 1 and group 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group 2 at gingival margins (p<0.05). 3. Microleakage at gingival margins was greater than at occlusal margins in group 1 and group 2, but microleakage at occlusal margins was greater than at gingival margins in group 3 (p<0.05). 4. In group 1 and group 2, no gaps at occlusal margins showed. But gaps showed in group 3. Occlusal margins were free from a hybrid layer in all groups 5. The thickness of the marginal hybrid layers was 2.5~5 $\mu\textrm{m}$ thick in group 5 $\mu\textrm{m}$ thick in group 2 and 1.5 $\mu\textrm{m}$ thick in group 3. 6 There was no corelation between microleakage and thickness of marginal hybrid layer. In coclusion, the effect of dentin adhesives on microleakge in class V composite restorations was excellent when one-bottle adhesives were applied on enamel margin, and it was good when a self-etching adhesive was applied on dentinal margin. There was no corelation between microleakage and thickness of marginal hybrid layer.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 악하선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Submandibular Gland in the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 정순정;정문진;김도경;국중기;김흥중;윤명희;박주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2호
    • /
    • pp.65-72
    • /
    • 2005
  • 악하선의 미세구조를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에서 연구하였다. 작은땃쥐의 악하선은 장액선세포와 점액선세포로 구성된 혼합샘이었다. 이 샘포에서 분비된 과립들은 도관을 거쳐 구강으로 분비되었다. 장액선세포와 점액선세포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그리고 많은 분비과립을 가지고 있었다. 장액선 분비과립의 경우, 미성숙 분비과립은 무형이면서 전자밀도가 있는 작은 알갱이로만 구성되었고, 성숙 과립은 단일막으로 싸여진 완전한 원형으로 전자밀도가 있는 균질의 중앙부와 전자밀도가 있는 작은 알갱이로 구성된 주변부를 가지고 있었다. 점액선 분비과립의 경우, 미성숙 과립은 원형으로 균질한 기질과 불명확한 경계막을 가지는 반면, 성숙 과립은 균질한 기질 내에 몇 개의 전자밀도가 있는 띠를 가짐으로서 문양의 다양성 가지는 매끈한 원형이었고 명확한 경계막을 가지고 있었다. 즉 작은 땃쥐의 성숙 점액선 분비과립은 문양의 다양성을 가져 다른 포유류와 구분될 뿐만 아니라 매끈한 원형이어서 C. lasiura의 그것과도 구분되었다. 거대한 분비 과립과 미엘린소체가 과립관세포의 세포질과 내강에서 관찰되었다. 3종의 땃쥐류 침샘의 과립관에서 만 보고된 특징적 구조물인 미엘린소체는 분비세포에서 내강으로 분비되었으며 분비과립의 배출방식과 약간의 차이점을 가졌다.

3차원 금속 착제를 Host로 하는 포접 화합물 [$Cd(pn)Ni(CN)_4{\cdot}0.5(CH_3COCH_3{\cdot}H_2O$)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Metal Complex Host in Clusion Compound [$Cd(pn)Ni(CN)_4{\cdot}0.5(CH_3COCH_3{\cdot}H_2O$))

  • 박기민;이욱;암본진무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35-441
    • /
    • 1994
  • 3차원 금속 착제, Cd(pn)Ni(CN)4를 host로 하는 포접 화합물을 합성하고, X-선 회절 데이타를 이용한 단결정의 구조해석을 하였다. 결정학적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Cd(pn)Ni(CN)_4]{\cdot}0.5(CH_3COCH_3{\cdot}H_2O)$, Fw = 387.35, Orthorhombic, $Pn2_1a$, a = 13.950(3) $\AA$, b = 26.713(7) $\AA$, c = 7.628(1) $\AA$, V = 2843(1) $\AA^3$, Z = 4, $D_x=1.81 gcm^{-3}$, $\mu(MoK{\alpha})$ = $28.153cm^{-1}$, T = 297K, 3521개($F_0>3{\sigma}(F_0)$)의 회절 강도에 대한 최종 신뢰도 인자 R = 0.0418이 얻어졌다. 이 포접 화합물은 thiourea 포접 화합물과 유사한 턴넬형의 포접 공간(T-type)을 형성하며, 이런 포접공간 내에 분자당 0.5개의 아세톤과 물분자를 guest로서 받아 들인다. 표제의 포접 화합물은 이미 보고된 바와 같이, 가지달린 유기 guest분자가 host의 기하구조를 T-type으로 이끈다고 하는 host 선택성에 대한 또 하나의 증거가 된다.

  • PDF

수종 수산화칼슘 제재를 이용한 근관충전 후 치근상아질에서의 염기도 변화 (ALKALINITY CHANGE IN ROOT DENTIN FOLLOWING CALCIUM HYDROXIDE DRESSING)

  • 이경하;안연실;이광원;이명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2호
    • /
    • pp.670-679
    • /
    • 1997
  • The pH changes in 4 small cavities prepared at the facial inner dentin and lingual outer dentin of the cervical and apical portion of root filled with calcium hydroxide pastes were investigated. Forty extracted permanent teeth with single canal were instrumented with step-back method, and then 4 small cavities were prepared. Two inner dentin cavities were cut a distance of about 1.0mm from the canal wall and two outer dentin cavities were cut to a depth of about 0.5mm from the root surface. Root canals and prepared cavities were flushed with 17% EDTA, and then irrigated with 5% NaOCl to remove smear layer.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 was not filled and the remaining other groups were filled with mixture of calcium hydroxide and distilled water, Vitapex$^{(R)}$ paste and Pulpdent$^{(R)}$ paste respectively. The pH change of the dentin in each cavity was measured at 0, 1, 3, 7, 14, 21, 28, 60, 90 days with pH microelectrode(WPI Co., U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roups obturated with Pulpdent$^{(R)}$ paste and Aqueous calcium hydroxide produced the increased pH level at 1 day and maintained plateau over next 3weeks and decreased after 3weeks. 2. The group obturated with Vitapex$^{(R)}$ paste observed no significant pH change until 2weeks and slight increased pH at 3weeks and sequential increasing after 3weeks. But, the pH in the group obturated with Vitapex$^{(R)}$ paste remained significantly below the pH measured in the other two experimental groups(P<0.05). 3.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pH level similar to control group after 28 days. 4. The pH of outer dentin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inner denti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level between apical and cervical dentin throughout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though apical dentin showed slightly higher pH than cervical dentin at 1 day(P<0.05).

  • PDF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미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aste of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 고명연;장용석;허준영;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275-281
    • /
    • 2006
  •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미각기능과 치료에 따른 미각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2005년 4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와 방사선검사를 통해 구강작열감증후군으로 진단되어진 환자 33명을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같은 기간 내원한 치과환자 중에 구강검사와 설문지를 사용하여,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국소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치과환자 100명을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각각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한 후 비교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의 전기미각역치는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았다. 2. 남성과 여성에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의 전기미각역치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낮았다. 3.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단일/복수 병소 및 만성도에 따른 미각역치는 차이가 없었다. 4.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의 치료에 따른 전기미각역치와 NAS는 매우 감소하였다.

폐 자궁내막 증식증 1예 (Pulmonary Endometriosis)

  • 김기중;조윤형;최병기;최의영;장윤수;김형중;안철민;조상호;유진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89-393
    • /
    • 1999
  • 자궁내막 증식증은 일차적으로 골반내에 국한된 질환이나 드물게 폐실질에서 발견될 수 있다. 폐 자궁내막 증식증의 진단은 임상적 양상과 월경기간 동안의 객혈이 있으면서 조직학적 확진을 통해서 진단될 수 있다. 폐 자궁내막 증식증은 1956 년 Lattes등에 의해 처음으로 조직학적으로 확진한 후에 전세계적으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25세 미혼 여성에게서 월경과 연관된 객혈을 한 여성에게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서 병소를 확인한 후에 수술적 치료를 함으로 조직학적으로 확진한 폐실질 자궁내막 증식증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면역 글로불린 단독 및 Ciprofloxacin 병용에 의한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Immunoglobuli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Ciprofloxacin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 성열오;김희선;전태일;김성광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53-62
    • /
    • 1991
  • 인체 혈청에서 추출 정제된 ImmunoglobulinG(IgG)가 임상 병소 분리 녹농균(Ps. aeruginosa) 감염증에 대한 quinolone제제 ciprofloxacin(CPFX)과의 병용 및 단독 투여에 의한 항균효과를 생체감염과 시험관내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녹농균의 마우스 복강내 감염 후에 마우스 생존율에 의한 항균효과를 IgG 단독 투여군, IgG전 처치후 CPFX 투여군, IgG와 CPFX 동시 투여군 및 CPFX 단독 투여군 순이였다. 녹농균 감염 마우스에서 IgG 단독 투여군에서의 혈액 및 간장내의 생균수는 대조군에 비해 혈액내 균수의 증가는 완만하였으나, 간장내의 균수는 양군 모두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PMNL수의 추이는 CPFX 단독 투여군을 제외한 IgG투여군은 감염 후 8시간에 PMNL수가 증가 되었으며, 균 접종 전 IgG투여와 접종 후 IgG투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PFX의 Ps. aeruginosa에 대한 시험관내 최소 발육 억제 농도는 IgG의 병용 투여에 상관없이 $250{\mu}g/ml$의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시험관내에서의 IgG의 직접적 항균작용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Ag^+$이온과 $Ca^{2+}$이온으로 치환한 제올라이트 A를 탈수한 후 요오드를 흡착한 결정구조 (The Crystal Structure of an Iondine Sorption Complex of Dehydrated Calcium and Silver Exchanged Zeolite A)

  • 배명남;김양;김은식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8-124
    • /
    • 1995
  • Ag+ 이온과 Ca2+ 이온으로 교환하고 진공 탈수한 제올라이트 A에 요오드를 흡착한 결정 구조(a=12.174(3)Å)를 21℃에서 입방공간군 Pm3m을 사용하여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구조를 해석하였다. 결정은 AgNO3와 Ca(NO3)2의 몰비를 1:150으로 하고 농도를 0.05 M로 한 혼합용액을 사용해 흐름법으로 3일간 이온교환한 후 360℃에서 2×10-6 Torr하에서 2일간 진공탈수한 후 80℃에서 14.3 Torr의 요오드 증기로 24시간 처리하였다. 결정구조는 Full-matrix 정밀화 계산에서 I > 3σ(I)인 122개의 독립 반사를 사용하여 최종 오차 지수 R1=0.082, R2=0.068까지 정밀화시켰다. 본 결정 구조에는 단위세포당 결정학적으로 세 가지의 다른 종류의 양이온 즉 2개의 Ag+ 이온, 1.1 개의 Ag+ 이온 그리고 4.45개의 Ca2+이온이 6-링의 산소와 결합하면서 각각 서로 다른 3회 회전축 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2.0개의 Ag+ 이온이 3개의 산소로 만들어지는 (111) 평면으로부터 큰 동공쪽으로 1.399(4)Å 떨어져 위치하고 있었다. 또 다른 1.1 개의 Ag+이온은 반대쪽에서 발견되었다. 여섯 분자의 요오드 분자가 흡착되었다. 각 요오드 분자는 골조 산소와 전하이동 착물을 형성하였다. (O-I=3.43(2)Å, I-I=2.92Å, I-I-O;166.1(3)°). 이중 2개의 요오드 분자는 각각 하나의 Ag+ 이온과 매우 가깝게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Ag-I;2.73Å).

  • PDF

WDM-PON 시스템용 저가형 Fiber Grating Laser의 제작 및 성능 분석 (Fabric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cost-effective fiber grating lasers for WDM-PON systems)

  • 조승현;이우람;이지현;박재동;김병휘;강민호;신동욱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20
    • /
    • 2005
  • 광섬유 브라그 격자를 외부 공진기로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이하 FGL : fiber grating laser 이라 약칭함)를 제작한 후 그 성능을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FGL을 WDM기반의 수동형 광 가입자망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저가 구현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TO-CAN 형태의 모듈로 패키징하였다. 제작된 FGL의 동작 전류 대 광 출력 특성을 측정한 결과, $25^{\circ}C$에서 60 mA일때 약 3.6 mW를 얻을 수 있었고 주입 전류 변화에 따른 발진 파장의 변화율은 5.2 pm/mA이었다. 또한, FGL의 온도 변화에 따른 발진 파장의 변화율은 30 pm/$^{\circ}C$로 주변 온도 변화에 대한 발진 파장의 안정도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문턱 전류 이상의 동작전류 영역에서 각각 30 dB 이상의 양호한 주변 모드 억압비(SMSR)를 얻을 수 있었고, 단일 종 모드 발진 특성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FGL의 전송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155 Mb/s의 NRZ 신호로 직접 변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BER 성능을 측정한 결과. 단일 모드 광섬유 20 km를 통과하더라도 광경로 파워 페널티가 발생하지 않았고 수신파워가 -37.5 dBm 이상에서 BER<$10^{-9}$ 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