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er Target Mode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기동표적 추적을 위한 상호작용다수모델 추적필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arget tracking filter using interacting multiple model for tracking maneuvering target)

  • 김승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37-144
    • /
    • 2007
  • 함포의 사격통제장치 성능은 크게 하드웨어(H/W)적인 오차와 소프트웨어(S/W)적인 오차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중 S/W 오차에 해당하는 표적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추정하는 추적필터 오차는 탄도계산장치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함포의 정확한 예상탄착점 형성과 사격시 명중률 향상을 위하여 정확한 미래위치의 표적 상태정보가 필요하다. 표적 추적필터 알고리즘은 Single Singer Model, Fixed Gain 필터 알고리즘, IMM, PBIMM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 함정에 적용예정인 IMM 추적필터를 설계하였다. IMM 추적필터를 위해 CV모델, Song 모델, CTR모델을 사용하여 동역학 모델을 만들었으며, 추적성능을 Monte-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석해 보았다.

  • PDF

영상 항법 시스템을 위한 표적 추적 필터의 구성 (Target Tracking Filter Design For the Image Navigation System)

  • 박영철;홍기정;이쾌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445-448
    • /
    • 1992
  • In this paper, we contructed extended Kalman filter for the image navigation systems. The conventional extended Kalman filter methode are simulated for nonlinear measurement systems. In addition, we designed a maneuvering target tracking filter using Singer's model technique and input estimation technique by Cha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Chan's input estimation technique has performed better than Singer's technique.

  • PDF

비행시험시스템용 다중센서 자료융합필터 설계 (Design of Multi-Sensor Data Fusion Filter for a Flight Test System)

  • 이용재;이자성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5권9호
    • /
    • pp.414-419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a multi-sensor data fusion filter for a Flight Test System. The multi-sensor data consist of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arget from radars and a telemetry system. The data fusion filter has a structure of a federated Kalman filter and is based on the Singer dynamic target model. It consists of dedicated local filter for each sensor, generally operating in parallel, plus a master fusion filter. A fault detection and correction algorithms are included in the local filter for treating bad measurements and sensor faults. The data fusion is carried out in the fusion filter by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fusion filter is verified by using both simulation data and real data.

9개의 상태변수 모델에서 기동 입력 추정 기법을 사용한 추적 필터 구성 (A tracking filter design using input estimation in the 9-state target model)

  • 황익호;성태경;이장규;이양원;김경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1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KOEX, Seoul; 22-24 Oct. 1991
    • /
    • pp.114-119
    • /
    • 1991
  • An input estimation technique for tracking filter(CHP algorithm) suggested by Y.T. Chan et. al. has bad performance for low maneuvering targets. In this paper, two maneuver detection algorithms are applied to Singer's target model. First, an CHP input estimation technique is applied to 9 state target model. Second, we construct a maneuver detection and correction technique using pseudo acceleration measurements, which are derived directly from measurements. These two filters have good performance for even the low maneuvering targets.

  • PDF

최적 스무딩 필터를 이용한 빔형성 정보 기반 이동 목표물 궤적 추정 (Estimation of Moving Target Trajectory using Optimal Smoothing Filter based on Beamforming Data)

  • 정준호;김경훈;고영주;이재형;김승균;최종수;하재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062-107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적 스무딩 필터를 이용한 이동 목표물 궤적 추정을 수행한다. 이동 목표물의 위치와 속도 데이터 확보를 위해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빔형성 기법이 적용하며, 획득 데이터를 이용한 궤적 추정 성능 향상을 위해 칼만 필터와 최적 스무딩 필터를 설계한다. 목표물의 기동을 고려한 싱어 표적 모델을 필터에 활용한다. 최적 스무딩 필터 검증을 위해 초기 기동을 하는 미사일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추정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모형 로켓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빔형성 기법과 칼만 필터, 그리고 최적 스무딩 필터의 궤적 추정 성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적용한 필터를 통해 빔형성 기법을 이용한 궤적 추정 성능의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칼만 필터와 비교해 최적 스무딩 필터의 이동 목표물 궤적 추정 정밀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서사 텍스트 처리의 다중 표상과 구성 통합 이론: 주제어 연속성에 대한 양태 어미의 형태 통사적, 담화 화용적 기능 (A Multi-level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Narrative Text Processing and Construction-Integration Theory: Morpho- syntactic and Discourse-Pragmatic Effects of Verb Modality on Topic Continuity)

  • 조숙환;김세영
    • 인지과학
    • /
    • 제17권2호
    • /
    • pp.103-118
    • /
    • 2006
  • 본 논문은 구성 통합 이론(Kintsch, 1988, Singer & Kintsch 2001, Graesser, Gernsbacher, & Goldman, 2003)을 토대로 주제어 연속성의 강도와 양태 어미 단서가 이야기 서사 텍스트에 쓰인 공주어 해석에 어떻게 이용되는지 검토했다. 실험 연구에는 명시적 조건과 중립적 조건 등 두 조건이 생성되었는데, 명시적 조건에는, 중립적 조건과는 달리, 주제어가 일관성 있게 유지되었고 또한 동사 어미의 형태 통사적 특징이 인칭과 일치되었다. 이 실험에는 59명의 대학생들이 다음 세 가지 과제에 참여했다. 실험은 첫째, 주어가 생략된 경우 피험자가 시험 문장(target sentence)을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했고, 둘째, 공주어의 해석, 즉, 선행사 (참조대상) 선택에 소요되는 반응 시간을 측정했으며, 셋째, 선행사 선정의 정답율을 분석했다. 실험 결과, 텍스트 처리과정에서 인칭과 같은 형태 통사적 조건이 유의미한 결과를 낳았으며, 또한, 주제어 연속성 조건의 효과가 형태 통사 조건에 따라 선택적인 양상을 보였다. 즉, 주제어가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동안 화용적 맥락, 담화자의 사전 정보, 추론 등과 같은 총체적 정보와 주어, 동사 어미의 인칭과 같은 어휘적, 지엽적인 형태 통사적인 정보가 선행사 해석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따라서, 이 실험 결과는 최소주의 가설 보다 공명 기반 모델을 지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