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ated combat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6초

NUMERICAL MODELLING OF SEDIMENT TRANSPORT IN CONNECTION WITH ARTIFICIAL GRAIN FEEDING ACTIVITIES IN THE RIVER RHINE

  • Duc Bui Minh;Wenka Thomas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17-30
    • /
    • 2005
  • The bed evolution of the stretch of the River Rhine between km-812.5 and km-821.5 is characterised by general bed degradation as a result of the river training works and dredging activities of the last two centuries. The degradation of the river bed affects the water levels, and so the navigation conditions. To combat the erosion of the river bed with the aim to keep up the shipping traffic and to avoid the ecological system damages due to water level reductions, sand-gravel-mixtures were added to the river (so called artificial grain feeding activitie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n application of a graded sediment transport model in order to study morpholodynamical characteristics due to artificial grain feeding activities in the river stretch. The finite element code TELEMAC2D was used for flow calculation by solving the 2D shallow water equation on non-structured grids. The sediment transport module SISYPHE has been developed for graded sediment transport using a multiple layer model. The needs to apply such graded sediment transport approaches to study morphological processes in the domain are discussed. The calculation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case of middle water flow and different size-fraction distribu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ain feeding process could be well simulated by the model.

  • PDF

해상전 워게임모델의 교전 피해평가 수준 및 산정방법론 - 함정 피해평가를 중심으로 - (Methodology of battle damage assessment in the naval wargame model - Forcusing on damage assessment of warship -)

  • 김봉석;최봉완;김종수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7권1호
    • /
    • pp.53-64
    • /
    • 2021
  • Wargame is a simulated military operation with certain rules, specifications, and procedures, in which soldiers can virtually and indirectly experience the war. The ROK Navy operates the Cheonghae model, a training wargame model for helping commanders and staff master the procedures for conducting the war. It is important for commanders, staff and analysts to know whether a warship can perform its missions and how long it can last during a war. In existing model, the Cheonghae, the probability of kill of a warship is calculated simply considering the number of tonnage without any stochastic elements, and the warship's mission availability is also determined based on predetermined values. With this model, it is difficult to get a value of the probability of kill that makes sense. In this dissertation, the author has developed a probabilistic model in which the warship vulnerability data of ROK-JMEM can be used. A conceptual model and methodology that can evaluate the mission performance of personnel, equipment, and supplies has been proposed. This can be expanded to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wartime warship loss rates by integrating damage rates for personnel, equipment, and supplies in wartime.

훈련용 워게임 모델의 부대 DB를 분석용 워게임 모델에 재사용하기 위한 변환방법 연구 : 창조21모델과 비전21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for Converting the Unit Database from Training-model into Analysis-model : Focused on the 'Chang-Jo21' and 'Vision21' model)

  • 이용복;박민형;김익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7
    • /
    • 2019
  • 국방 M&S(Modeling&Simulation) 분야에서는 다양한 전투 환경을 동시에 모의하기 위해 다수의 워게임 모델을 연동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추진하여 성과를 달성하고 있으나, 워게임 모델을 운용하기 위한 부대 DB(DataBase)는 동일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속성(메타데이터)에 대한 표현 방법이 달라서 상호참조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로 인해 워게임 모델을 운용하는 기관에서 같은 부대 DB를 각각 구축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의 중복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도와 모의 논리는 유사하지만 도메인이 다른 훈련용 워게임 모델의 부대 DB를 분석용 워게임 모델에서 재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실제 분야에 적용했다. 이를 위해 군단 및 사단 전투지휘훈련용 모델인 '창조21 모델'과 군단 및 사단 작전계획 모의분석용 모델인 '비전21 모델'의 부대 DB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대 DB를 전환하는 절차를 정의하고, 부대 DB의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를 매핑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방 M&S 분야에서 워게임 모델 간 부대 DB의 재사용을 위해 이질적인 메타데이터를 의미상으로 통합하여 매핑을 시도한 최초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국방 M&S 분야에서 워게임 모델 간 부대 DB의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패러다임 전환과, 부대 DB 메타데이터의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중 레이더 펄스열 분리 (Deinterleaving of Multiple Radar Pulse Sequences Using Genetic Algorithm)

  • 이상열;윤기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6호
    • /
    • pp.98-105
    • /
    • 2003
  • 본 논문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레이더 펄스열 탐지 기법을 제안하며, 전자전 시스템의 위협식별을 위한 펄스열 분리에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기존의 펄스열 탐지는 히스토그램 혹은 연속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결정론적 접근이 일반적이었으나, 전자전 신호환경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신호누락, 잡음 및 대전자전 레이더 신호에 대해서는 탐지 신뢰성이 떨어진다. 제안한 기법은 펄스 도래시간만을 이용하는 펄스열 탐지 기법으로서 유전자 알고리즘의 확률론적 특성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본 기법에서는 펄스의 도래 시간차를 초기 염색체로 구성하였으며, 펄스위상을 정의하여 이를 이용한 적합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다중 신호원의 분리를 목적으로 하는 레이더 펄스열 탐지를 위해서 비용함수를 이용한 조기 종료 및 그룹화를 적용하였다. 제안한 기법을 이용하여 모의 레이더 신호에 대해 실험한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탐지 위협개수 및 펄스 반복 주기의 탐지 정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적 미사일 위협 고려한 전투기 전력 배치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ployment Plan of Fighter Aircraft Considering the Threat of Enemy Missiles)

  • 박인균;하용훈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47-54
    • /
    • 2020
  • 북한은 비대칭 전력으로 다양한 사거리의 미사일을 개발해 실전 배치했다. 이들 미사일 가운데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정확도를 향상시켜 적은 수의 미사일로 우리 군의 주요시설을 타격해 전술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시 북한의 주요 공격 대상 중에 하나인 비행장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만약 공격을 받을 경우 전시 항공 우위 확보에 필수적인 공군 전투기의 운용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협이 되는 단거리탄도탄을 기반으로 군 비행장별 피해확률을 시뮬레이션하였고, 소극적인 방어의 일환으로 전력배치 변화를 통해 전투력 손실 감소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현재 배치에 비해 전력의 손실량을 줄일 수 있는 배치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