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vicultural treatmen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The effect of thinning on trade-offs in ecosystem services: the case study of a Korean pine plantation on Mt. Gari

  • Kiwoong Lee;Soon Jin Yun;Minsoo Kim;Hee Moon Yang;A Reum K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2호
    • /
    • pp.137-143
    • /
    • 2024
  • Background: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temporal changes of trade-offs (TOs) between two ecosystem services (ESs) before and after thinning in a Pinus koraiensis plantation on Mt. Gari from 2006 to 2021. As target variables, aboveground carbon (AGC) storage and species richness (SR) were chosen for regulating and supporting services. Thinning was applied from 2007 through 2008 with three treatments: 1) light thinning (LT), 2) heavy thinning (HT), and 3) control (Con). Results: Thinning influenced both AGC and SR. In 2021, AGC in the Con (111.1 t C ha-1)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LT (82.0 t C ha-1) and HT (60.4 t C ha-1) after thinning from 2007 to 2008. Also, SR was marginally higher in the LT (94 species) than in the Con (55 species) and HT (87 species) in 2011. Relative benefits of AGC and SR showed similar trends with the obtained valu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inning on TO varied among treatments and over time, demonstrating different degrees of TO between the two ESs. In the LT, TO was 0.13 in 2006 and slightly increased to 0.2 by 2021. TO in the HT exhibited a relatively rapid increase from 0.22 in 2006 to 0.58 by 2021, while To in the Con fluctuated, rising to 0.36 in 2011 from 0.1 in 2006 and decreasing to 0.25 by 2021. Among the three treatments, the degree of TOs between the two ESs was the lowest in the LT. Conclusions: Depending on thinning intensities, the responses of ESs and the degree of TOs vary. Regarding the balance between enhancements and TOs in ESs among treatments, the LT treatment showing intermediate carbon storage, higher SR, and lower TOs will be a proper silvicultural application.

남부지역 삼나무의 임분 특성에 따른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Cryptomeria japonica by the Differences of Stand Characteristics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홍남의;원경록;유병오;정수영;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20-326
    • /
    • 2015
  • 목재의 역학적 특성은 생육지의 토양조건과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삼나무에 대하여 경남, 전남, 제주 세 지역 간, 그리고 해당 임분의 생육특성에 따른 목재의 역학적 특성차이를 각각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별 표준지의 삼나무 임분 특성과 목재의 역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휨강도, 종압축강도, 전단강도는 수고 및 입목본수/ha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흉고직경, 표고 및 토양배수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위치한 삼나무는 해당임지의 임분 특성과 역학적 특성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고품질 목재생산을 위한 적절한 시업체계와 육림방법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서 그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간벌 강도가 소나무림의 토양, 낙엽층 및 고사목 탄소 저장량에 미치는 영향 (Thinning Intensity Effects on Carbon Storage of Soil, Forest Floor and Coarse Woody Debris in Pinus densiflora Stands)

  • 고수인;윤태경;김성준;김춘식;이상태;서경원;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30-3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간벌 시행 4년 후, 간벌 강도에 따른 토양, 낙엽층, 고사목의 탄소 저장량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정선군 소재의 소나무림 연구지 1과 경기도 광릉 시험림 내 소나무림 연구지 2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8년에 임분 밀도를 기준으로 간벌 강도를 달리한 3개의 처리구를 각 연구지에 설치하였다. 연구지 1은 대조구(0%), T20 처리구(20%), T30 처리구(30%)로 설계하였으며, 연구지 2는 대조구(0%), T39 처리구(39%), T74 처리구(74%)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2012년에 0-50 cm 깊이의 토양, 낙엽층, 고사목의 탄소 저장량을 측정하였다. 연구지 1에서 토양, 낙엽층, 고사목의 총 탄소 저장량은 T30 처리구($109.80t{\cdot}C{\cdot}ha^{-1}$)가 대조구($86.69t{\cdot}C{\cdot}ha^{-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구지 2의 총 탄소 저장량은 T74 처리구($97.02t{\cdot}C{\cdot}ha^{-1}$)가 대조구($72.04t{\cdot}C{\cdot}ha^{-1}$)와 T39 처리구($63.25t{\cdot}C{\cdot}ha^{-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지 1과 연구지 2에서 간벌 강도가 가장 강한 처리구의 총 탄소 저장량이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벌이 토양, 낙엽층, 고사목 탄소 저장량에 미치는 단기간의 영향을 분석한 것이므로 보다 장기적인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의 임분구조 및 치수생육특성 (Stand Structure and Sap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Stands Regenerated by the Seed Tree Method)

  • 이대성;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78-688
    • /
    • 2021
  • 본 연구는 소나무 모수작업에 따른 천연갱신 조성방안 및 산림시업지침을 마련할 수 있도록 2001년 실시된 소나무 천연하종갱신 시업지를 대상으로 작업 후 18년이 경과한 시기에 표준지조사를 실시하고 임분현황 및 치수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생장특성 및 임분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내 강원대학교 학술림에 위치하고 있으며, 설치된 모수시험림에서 2018년 11월 조사된 흉고직경, 수고, 수관급, 수간형질, 수령, 수고생장량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시 흉고단면적, 재적, 형상비와 더불어 임분상대밀도, 임목축적도 등의 추가인자를 산출하여 시업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잔존모수는 58본/ha으로 임목축적도 17.7%이었으며, 치수는 2,330본/ha으로 임목축적도 79.0%로 진단되었다. 치수의 수령은 2001~2007년에 발아분포를 보이고 있었는데 대부분은 15~16년생에 속하였다. 치수 생육상태는 흉고직경 10 cm, 수고 8 m로 파악되었다.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흉고직경과 수고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분산분석 및 Duncan 다중비교검정에서도 수관급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001). 형상비는 80~90% 범위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95%이상 대부분 치수의 형질은 수간이 곧고 분지가 없으며, 초두부가 부러지지 않고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양질의 형태로 파악되었다. 치수의 평균 연년수고생장량은 1년생 21.9 cm, 5년생 43.3 cm, 10년생 54.3 cm, 15년생 64.3 cm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수령증가에 따라 생장량이 우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분산분석 결과, 수관급별 연년수고생장량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파라미터 추정치는 수령이 증가하거나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연년수고생장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