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ty Sand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4초

Field study of the process of densification of loose and liquefiable coastal soils using gravel impact compaction piers (GICPs)

  • Niroumand, Bahman;Niroumand, Hamed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0권5호
    • /
    • pp.479-487
    • /
    • 2022
  • This study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gravel impact compaction piers system (GICPs) in strengthening retrofitting a very loose silty sand layer with a very high liquefaction risk with a thickness of 3.5 meters in a multilayer coastal soil located in Bushehr, Iran. The liquefiable sandy soil layer was located on clay layers with moderate to very stiff relative consistency. Implementation of gravel impact compaction piers is a new generation of aggregate piers. After technical and economic evaluation of the site plan, out of 3 experimental distances of 1.8, 2 and 2.2 meters between compaction piers, the distance of 2.2 meters was selected as a winning option and the northern ring of the site was implemented with 1250 gravel impact compaction pi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in the matrix soil around the piers showed that the amount of (N1)60 in compacted soils was in the range of 20-27 and on average 14 times the amount of (1-3) in the initial soil. Also, the relative density of the initial soil was increased from 25% to 63% after soil improvement. Also the safety factor of the improved soil is 1.5-1.7 times the minimum required according to the two risk levels in the design.

Factors affecting hydraulic anisotropy of soil

  • Nurly Gofar;Alfrendo Satyanaga;Gerarldo D. Aventian;Gulnur Pernebekova;Zhanat Argimbayeva;Sung-Woo Moon;Jong Ki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6권4호
    • /
    • pp.343-353
    • /
    • 2024
  • The hydraulic anisotropic behavior of unsaturated soil has not been fully explored in relation to the grain-size distribu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laboratory assessments to examine the hydraulic anisotropy condition of statically compacted specimens in various initial states. The investigation incorporated the concept of hydraulic anisotropy by employing two discrete forms of soil stratification: horizontal-layering (HL) and vertical-layering (VL). The examined soils comprised sandy silt and silty sand, exhibiting either unimodal or bimodal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SWCC).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the hydraulic anisotropy ratio and soil properties.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a correlation between the hydraulic anisotropy ratio and several soil parameters, including fine content, dry density, plastic limit, and liquid limit. The study results indicate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age of fine and dry density in soils with unimodal and bimodal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SWCC) and hydraulic anisotropy ratio.

韓半島 沿近海底 表層堆積物에서의 音波傳達速度와 減衰係數 (The Sound Velocity and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Marine Surface Seciments in the nearshore area, Korea)

  • 김성;석봉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21
    • /
    • 1985
  • 음원과 3개의 수진기를 사용하여 포항,부산,여수 및 군산연근해 수심 10~50m 의 표층퇴적물에서 음파전달속도(Sound velocity)와 감쇠계수(attenu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연구지역에서의 층퇴적물에서 측정된 음파전달속도는 1,444 ~1,510m/sec, 감쇠계수는 0.82~3.70dB/m로 나타나고 있다. 퇴적물과의 관계는 입 도와 공치율이 감소함에 따라, 또한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파전달속도가 증가한 다. 음파전달속도와 퇴적물의 물성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Vp=1512.28 406-9.16083(Mz)+0.20795(Mz)$^{2}$, Vp=1876.15527-597.50397(d)+210.48375(d)$^{2}$, Vp=1559.47217-2.09266(n)$^{2}$. 여기서 Vp는 음파전달속도, Mz는 퇴적물의 평균 입도, d는 밀도 그리고 n은 공치율이다. 그러나 감쇠계수와의 관계는 그 양상이 다 르게 나타난다. 입도와 밀도가 증가하거나 공치율이 감소함에 따라 감쇠계수는 커 졌다가 다시 작아지는 곡선관계를 보이는데 이를 2차회귀방정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a=1.85217+0.67197(Mz)-0.09035 (Mz)$^{2}$, a=48.87859+58.21721(d)-16.3.143(d)$^{2}$, a=2.06765+0.07215(n)-0.00111(n)$^{2}$.여기서 a는 감쇠계수 Mz는 평균입도, d는 밀도, n은 공치율이다. 감쇠현상이 가장 심한 퇴적상은 실트질 砂~細砂로서 k값은 0.86dB/m/KHz이다.

표준관입저항치와 정적콘관입저항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영동지역의 연약지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andard Penetration Resistance Value and Static Cone Penetration Resistance Value of the Soft Ground Subsurface of Yongdong Area)

  • 김지남;박흥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13-20
    • /
    • 2006
  • 현장 지반조사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관입시험과 정적콘관입시험을 행하여 상관관계를 구하고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실내시험을 행하여 현장관입시험과의 상관성에 관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표준관입시험의 N값과 Dutch Cone Test의 $Q_c$의 관계는 유기질토 지반에서는 $Q_c=1.93N+0.29$, 점토지반은 $Q_c=2.19N+0.20$, 실트지반은 $Q_c=2.34N+1.06$으로 나타났고, 사질토층의 경우 실트질모래지반은 $Q_c=3.02N+0.54$, 모래지반은 $Q_c=3.47N+0.46$ 으로 나타났으며, 입자가 큰 토층일수록 $Q_c/N$값이 증가하였다. 표준관입시험의 N값과 일축압축강도 $q_u$의 관계는 유기질토는 $q_u=0.11N+0.03$, 점토는 $q_u=0.11N+0.25$, 실트는 $q_u=0.18N-0.03$으로 나타났다.

  • PDF

익산 쌍릉 소왕릉 봉분 토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조영과정 해석 (Interpretation of Construction Procedur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Soil Layers from Sowangneung (Small Royal Tomb) of Ssangneung (Twin Tombs) in Iksan, Korea)

  • 채준;박석태;조지현;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48-766
    • /
    • 2021
  • 익산 쌍릉은 대왕릉과 소왕릉을 포함하는 명칭으로 백제 사비기(538~660 AD)의 횡혈식석실묘이다. 소왕릉의 발굴과정에서 노출된 봉분 동측 토층은 하부로부터 기반층, 정지층, 백제시대 판축층, 도굴층 및 일제강점기 복토층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층준을 세분하여 시료를 확보하고 재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층의 입도분석 결과, 대체로 사양토의 토성을 보이며, 백제시대 판축토층에서는 양질사토가 성토되어 있고 그 위로 사양토가 판축의주를 이룬다. 백제층의 중앙부와 최상부에는 점토 함량이 많고 일정한 입도를 가진 양토를 사용하였다. 모든 토층은 층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유사한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을 보여 토양의 모재와 성인은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X-선 회절분석으로 모든 층위에서 카올리나이트를 동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소왕릉 봉분의 백제시대 판축토층은 유적 일대에서 조달한 고령토가 함유된 사양토로 성토하였으며, 중상부에 점성이 강한 양토를 사용하여 불투수층을 조성하고 봉분 최상부를 밀실하게 마감한 것으로 해석된다.

제주남방해역 표층퇴적물의 특성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ern Sea off Cheju Island, Korea.)

  • 윤정수;고기원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0-142
    • /
    • 1987
  • 제주남방해역 표층퇴적물에 대해 입도분석, 경광물 및 점토광물, 그리고 미량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해역의 퇴적물상은 남동부의 오조립질 분포역 과 남서부 조`세립질 분포지로 구분되며, 남서쪽 끝지역에는 소규모의 현생니질퇴적 물 분포대(mud zone)도 존재한다. 본 역에 분포하는 퇴적물은 분급이 불량하고 negative~positive skewed할뿐 아니라 platykurtic~leptokurtic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조립질은 도약(saltation)에 의해, 세립질은 도약 및 부유(suspension)에 의해 운반된 것으로 보여 진다. 측정된 13종의 지화학적원소성분중 Co, Ni, Ca, Ag를 제외한 9 종은 남동부지역에서 남서부지역으로 향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Co와 Ni은 동`서부간에 유사한 함량분포를 나타냈으나 Ca와 Ag은 남동부지역에서 함량치가 높았다. 탄산염함량은 남동부의 조립질 분포역에서가 남서부보다 높게나 타난 반면 총 유기물함량은 이와는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 경광물은 석영, 암편, K- 장석, Na-Ca장석 순의 조성을 보였는데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외해쪽으로 향함에 따라 석영과 K-장석의 함량증가하고 Na-Ca장석과 암편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 다. 조사지역 남서쪽 끝 mud 지역의 점토광물로는 illite, chlorite, kaolinite, feldspar, calcite등인데, chlorite가 양적으로 많고 calcite peak가 현저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Ca, Pb, Ni등의 지화학적원소성분의 함량도 황하기원퇴적물의 특성치 와 유사하여 이 지역세립질퇴적물 대부분은 황하기원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Optimal Environmental Ranges for Wetland Plants: II. Scirpus tabernaemontani and Typha latifolia

  • Lee, Bo-Ah;Kwon, Gi-Jin;Kim, Jae-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2호
    • /
    • pp.151-159
    • /
    • 2007
  • We studied the optimal ranges of water and soil characteristics for wetland plants, particularly Scirpus tabernaemontani (softstem bulrush) and Typha latifolia (broadleaf cattail), which are dominant species with potential for restoration of Korean wetlands. We observed vegetation in S. tabernaemontani and T. latifolia communities from the mid to late June, 2005, and measured characteristics of water environments such as water depth (WD), temperature (WT), conductivity (WC), and concentration of several ions $(NO_3{^-}-N,\;Ca^{2+},\;Na^+,\;Mg^{2+},\;and\;K^+)$, and characteristics of soil environments such as soil texture, organic matter (loss on ignition, LOI), conductivity, and pH. The S. tabernaemontani community was accompanied by Zizania latifolia (Manchurian wildrice), Persicaria thunbergii (Korean persicary), Actinostemma lobatum (lobed actinostemma), and Beckmannia syzigachne (American slough grass), while the T. latifolia community was accompanied by P. thunbergii, T. angustifolia (narrowleaf cattail), and Glycine soja (wild soybean). We defined the optimal range for distribution (ORD) as the range that each plant was crowded. The optimal range of water characteristics for the S. tabernaemontani community was a $WD\;10{\sim}50cm,\;WT\;24.0{\sim}32.0^{\circ}C,\;WC\;100{\sim}500{\mu}S/cm,\;{NO_3}{^-}-N\;0{\sim}60ppb,\;K^+\;0.00{\sim}1.50ppm,\;Ca^{2+}\;7.50{\sim}17.50ppm,\; Na^+\;2.50{\sim}12.50ppm,\;and\;Mg^{2+}\;3.00{\sim}7.00ppm$. In addition, the optimal range of soil characteristics for the S. tabernaemontani community was a soil texture of loam, silty loam, and loamy sand, $LOI\;8.0{\sim}16.0%,\;pH\;5.25{\sim}6.25$, and conductivity $10{\sim}70{\mu}S/cm$. The optimal range of water characteristics for the T. latifolia community was a $WD\;10{\sim}30cm,\;WT\;22.5{\sim}27.5^{\circ}C,\;WC\;100{\sim}400{\mu}S/cm,\;{NO_3}{^-}-N\;0{\sim}60ppb,\;K^+\;0.00{\sim}1.50ppm,\;Ca^{2+}\;0.00{\sim}17.50ppm,\;Na^+\;0.00{\sim}12.50ppm,\;and\;Mg^{2+}\;0.00{\sim}5.00ppm$, and the optimal range of soil characteristics for the T. fatifolia community was a soil texture of loam, sandy loam, and silty loam, LOI $3.0{\sim}9.0%,\;pH\;5.25{\sim}7.25$, and conductivity $0{\sim}70{\mu}S/cm$.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Yield Components among Rice Cultivars for Organic Farming in No-tillage Paddy

  • Son, Daniel;Lee, Young-H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
    • /
    • 2010
  • Organic farming system in rice paddy is rapidly expanding in Korea. This study was to find out optimum japonica rice cultivars for organic farming. A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japonica rice cultivars under no-tillage paddy at Doo-ryangmyeon, Sacheon, Gyeongsangnam-do, Korea. The experimental soil was Juggog series (silty clay loam: 56.0% silt, 31.2% clay and 12.8% sand). In experiment, ten lines of Japanese rice cultivars were tested under no-tillage amended with rye (NTR) and no-tillage without cover crop treatment (NTNT). In addition, two Korean japonica rice cultivars as check cultiv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grain yield in NT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6.13 Mg $ha^{-1}$ for Kinuhikari, 5.30 Mg $ha^{-1}$ for Komekogane, 5.25 Mg $ha^{-1}$ for Kosihikari, 5.22 Mg $ha^{-1}$ for Mazizbare and 5.12 Mg $ha^{-1}$ for Akitakomachi compared to two Korean rice cultivars (4.57 Mg $ha^{-1}$ for Hwayoungbyeo and 4.00 Mg $ha^{-1}$ for Ilmibyeo) in that order. While, grain yield in NT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4.90 Mg $ha^{-1}$ for Akitakomachi 3.81 Mg $ha^{-1}$ for Hinohikari, 3.74 Mg $ha^{-1}$ for Umezkusi, 3.67 Mg $ha^{-1}$ for Kosihikari and 3.54 Mg $ha^{-1}$ for Dondokuri compared to 3.02 Mg $ha^{-1}$ for Ilmibyeo and 2.36 Mg $ha^{-1}$ for Hwayoungbyeo, respectively. The number of panicle per $m^2$ and grain number per panicle were indispensible for increasing the yield of rice. These results were able to find out optimum japonica rice cultivar Akitakomachi for organic farming in no-tillage paddy.

쇄석말뚝으로 보강된 연약지반의 침하거동 (Settlement Behavior of Soft Ground Reinforced by Stone Columns)

  • 신방웅;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27-33
    • /
    • 2000
  • 쇄석말뚝 공법은 다져진 자갈, 폐석, 쇄석 등을 이용하여 느슨한 사질지반이나 연약점성토 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말뚝은 70%이상의 치환율로 실트질 점토에 시공되어 지지력을 증진시키는 공법이나 말뚝을 배수층으로 압밀에 의한 점성토의 지반의 강도 증가를 전제로 치환율을 30% 이하로 억제하는 저치환 공법의 효율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쇄석말뚝의 치환율에 따른 단일 등가원주 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쇄석말뚝이 연약지반의 압밀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치환율의 증가에 따른 침하감소효과와 침하저감계수를 산정하였으며 복합지반의 압밀시간 단축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합지반에 대한 이론식을 이용한 장기침하량 예측을 통해 보강지반의 침하억제 경향을 평가하고 베인전단시험을 통해 복합지반의 강도증가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반응물질이 도포된 연직배수재를 활용한 인천지역의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에 관한 연구 (Remediation Efficiency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by Reactive Material Covered Vertical Drains in Incheon)

  • 신은철;어재원;김기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45-55
    • /
    • 2015
  • 인천지역은 1960년대 경제개발계획과 함께 중공업위주의 임해공업단지와 항만시설, 해안매립에 의한 공업용지가 조성되었고, 이러한 산업단지는 준설한 실트질 모래로 매립되어 저투수성 지질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의 지질특성에 적합한 토양오염 정화를 위해 친환경 소재로 개발된 배수재의 필터에 중금속 흡착에 효과적인 제올라이트를 도포하여 중금속흡착능력을 평가하였다. 오염물질은 토양오염 조사 자료와 문헌 조사를 통해 현재 공업 산업단지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구리(Cu), 납(Pb), 카드뮴(Cd)으로 설정하였고, Visual Modflow를 이용한 수치해석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배수재 타설 간격 및 형식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