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k membran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2초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및 피부각질세포 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s of Corn Silk (Zea mays L.) Extract on Human HaCaT Keratinocyte)

  • 김현영;서우덕;서경혜;이미자;최식원;이광식;김선림;강현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84-190
    • /
    • 2016
  • 본 연구는 옥수수수염 조추출물과 메이신 함량이 높은 고분획물(NICS-1, NICS-2)의 항산화 활성과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세포손상 억제활성을 구명하여 옥수수의 부산물인 수염을 이용하여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한 결과는 옥수수수염 유래 주정 추출물과 메이신이 고함유된 추출물(NICS-1, NICS-2)의 DPPH와 ABTS활성산소 제거활성을 비교한 결과 주정 추출물에 비해 NICS-1은 약 6.5, 3.8배 높았고, NICS-2 분획물은 약 6.2, 5.6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NICS-2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피부손상을 일으키는 자외선의 흡수도는 NICS-1과 NICS-2 각각 343, 271 nm와 352, 271 nm에서강한 흡수능을 나타내었고 자외선 처리에 의한 각질형성세포(HaCaT)의 세포손상억제도 5, 10, 50 ppm 처리시 각각 NICS-1은 56.8%, 61.2%, 71.8%와 NICS-2는 각각 59.5%, 76.0%, 80.6%의 세포생존율을 농도 의존적으로 보여 UV-A,B,C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의 손상을 옥수수수염 추출물이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의 작용기작은 옥수수수염 추출물뿐만 아니라 고분획물(NICS-1, NICS-2)의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각질형성세포의 염증을 일으키는 싸이토카인인 $IL-1{\alpha}$ 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내었고 특히 옥수수수염의 메이신 화합물이 더 큰 피부손상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옥수수수염 추출물(NICS-1)은 각각 114.2, 96.1, 73.7, 42.6%의 $IL-1{\alpha}$ 생성억제 활성을 보였고, 메이신은 각각 96.5, 86.7, 52.3, 32.3%의 $IL-1{\alpha}$ 생성 억제 활성을 보여 옥수수수염추출물(NICS-1) 및 메이신이 농도 의존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옥수수수염 추출물(NICS-1)에 비해 메이신 단일 화합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Diflubenzuron이 누에의 실샘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lubenzuron on Silkgland Development of Silkworm, Bombyx mori (Lepidoptera: Bombycidae))

  • 김영섭;손해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7-82
    • /
    • 2001
  • DFB는 IGR계통의 약제로서 나비목 곤충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알려진 효과는, DFB 본래의 chitin 합성 억제 특성이외에(Post and Vincent, 1973), DFB의 물질분비능력억제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Nakagawa et al., 1996). 또 다른 한편으로 DBF가 juvenile hormone(JH)의 길항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DFB가 누에의 발육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DFB를 2.5$\times$$10^{-1}$ $\mu\textrm{g}$/$\mu$l, 2.5$\times$$10^{-2}$ $\mu\textrm{g}$/$\mu$l, 2.5$\times$$10^{-3}$$\mu\textrm{g}$/$\mu$l의 농도로 누에에 처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DFB가 누에의 실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SEM을 이용한 미세구조 분석 및 외부형태 변화 그리고 DFB처리에 의한 실샘의 건물중량, 수분량 등을 알아보았다. 실샘의 발육정도는 DFB의 처리농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고, DFB의 처리시기와 처리 회수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처리기간이 길수록 실샘의 건물중량은 현격히 줄었으며, 반대로 실샘의 수분함량 은 증가하였다. 특히 5령 1일, 3일 처리구에서 실샘의 수분함량이 80% 이상으로 증가되어 수분생리대사에 영향을 미쳤고 그 결과 실샘 물질의 물리성이 변하여 결국 정상적인 토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불결견잠으로 된 원인이었다. DFB를 처리한 누에 실샘의 외부 특징은 중부 실샘에 백색경화현상이 나타났으며 이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실샘의 세포막이 정상과는 달리 조밀하여 실샘 세포 내에서 합성된 견단백질이 분비가 되지 않고 실샘 내에 축적되었다.

  • PDF

실크 피브로인 유래 펩타이드에 의한 RAW 264.7 Macrophage의 Nitric Oxide 생성 촉진 (Stimula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by the Peptides Derived from Silk Fibroin.)

  • 박금주;현창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5
    • /
    • 2002
  • 실크 피브로인의 가수분해를 통해 생산된 펩타이드 성분에 의해 murin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이 촉진됨을 발견하였다. 산 및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가수분해도를 비교한 결과 실크 피브로인 단백질은 산 가수분해에 의해 가장 효과적으로 분해되었으며 효소적 가수분해의 경우에는 pepsin, trypsin, Alcalase의 순으로 가수분해도가 높았다. 산 가수분해물을 단독으로 macrophage에 처리하였을 때 처리농도에 따라 NO 생성촉진활성이 높아졌으나 이 활성은 가수분해물 내의 펩타이드 성분들과 오염되어 혼재하는 LPS 성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함유된 LPS 성분들을 한외여과에 의해 제거한 효소적 가수분해물들의 NO 생성촉진활성은 peptic hydrolysate가 가장 높았고 tryptic-, Alcalase hydrolysate 순이었다. 이러한 활성의 차이는 가수분해물 내의 고분자량 펩타이드 분포가 많을수록 활성이 높다는 관계에 기인하였으나 산 가수분해물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나타났다. 각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arginine, lysine의 함량이 높을수록 활성이 높으며 alanine의 glycine에 대한 비율이 커질수록 활성이 높아졌다. 산 가수분해물의 경우에는 낮은 분자량의 펩타이드들이 많이 분포하지만 arginine 및 alanine의 함량이 높아 비교적 높은 NO 생성 촉진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층피부창상에서 실크피브로인과 하이알론산 혼합 스폰지의 창상치유효과 (Silk fibroin/hyaluronic acid blend sponge accelerates the wound healing in full-thickness skin injury model of rat)

  • 강석윤;노대현;김현우;윤서연;권영배;권해용;이광길;박영환;이장헌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05-313
    • /
    • 2006
  • The primary goal of the wound healing is rapid wound closure. Recent advances in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have greatly expanded our understanding of the biologic processes involved in wound repair and tissue regen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ew sponge type of biomaterial to be used for either wound dressing or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We designed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the wound healing effect of silk fibroin/hyaluronic acid (SF/HA) blend sponge in full-thickness dermal injury model of rat. Two full-thickness excisions were made on the back of the experimental animals. The excised wound was covered with either the silk fibroin (SF), hyaluronic acid (HA) or SF/HA (7 : 3 or 5 : 5 ratio) blend sponge. On the postoperative days of 3, 7, 10 and 14, the wound area was calculated by image analysis software. Simultaneously, the tissu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and Masson's trichrome methods to measure the area of regenerated epithelium and collagen deposition.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degree of the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using immunohistochemistry for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We found that the half healing time ($HT_{50}$) of SF/HA blend sponge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either those of SF or HA treatment group. Furthermore, SF/HA blend spong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ize of epithelialization and collagen deposition as well as the number of PCNA positive cells on epidermal basement membrane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treatment. Especially, the 5 : 5 ratio group of SF/HA among all treatment groups was most effective on wound healing rate and histological stud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F/HA blend sponges could accelerate the wound healing process through the increase of epithelialization, collagen deposition and basal cell proliferation in full thickness skin injury.

3-Dimensional Micro-Computed Tomography Study on Bone Regeneration with Silk Fibroin, rh-Bone Morphogenetic Protein Loaded-Silk Fibroin and Tricalcium Phosphate Coated-Silk Fibroin in Rat Calvaria Defect

  • Pang, Eun-O;Park, Young-Ju;Park, Su-Hyun;Kang, Eung-Sun;Kweon, Hae-Yong;Kim, Soeng-Gon;Ko, Chang-Yong;Kim, Han-Sung;Nam, Jeong-Hun;Ahn, Jang-Hun;Chun, Ji-Hyun;Lee, Byeong-Mi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1-1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e regeneration capacity of silk fibroin (SF) when combined with beta tricalcium phosphate (${\beta}$-tricalcium phosphate [TCP]) and rh-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in vivo by micro-computed tomography (CT), soft x-ray, and histological analysis. Methods: A total of 56 critical size defects formed by a trephine bur made on 28 adult female Spague-Dawley rat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defect size was 5.0 mm in diameter. The defects were transplanted with (1) no graft material (raw defect), (2) autogenous bone, (3) SF ($10{\mu}g$), (4) SF-BMP ($10{\mu}g$, $0.8{\mu}g$ each), and (5) SF+${\beta}$-TCP ($10{\mu}g$). At 4 and 8 weeks after operation,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Samples were evaluated with soft x-ray, histological examinations and 3-dimensional micro-CT analysis. Results: In the 3-dimensional micro-CT evaluation, bone volume and bone surface data were higher in the SF-BMP ($12.8{\pm}1.5$, $138.6{\pm}45.0$ each) (P<0.05) and SF-TCP ($12.3{\pm}1.5$, $144.9{\pm}30.9$ each) group than in the SF group ($6.1{\pm}3.3$, $77.2{\pm}37.3$ each) (P<0.05), except for the autogenous group ($15.0{\pm}3.0$, $190.7{\pm}41.4$ each) at 4 weeks. At 8 weeks, SF-BMP ($16.8{\pm}3.5$, $173.9{\pm}34.2$ each) still revealed higher (P<0.05) bone volum and surface, but SF-TCP ($11.3{\pm}1.5$, $1132.9{\pm}52.1$ each) (P=0.5, P=0.2) revealed the same or lower amount compared with the SF group ($13.8{\pm}2.7$, $127.5{\pm}44.8$ each). The % of bone area determined by radiodensity was higher in the SF-TCP ($31.4{\pm}9.1%$) and SF-BMP ($36.2{\pm}16.2%$) groups than in the SF ($19.0{\pm}10.4$) group at the period of 4 weeks. Also, in the histological evaluation, the SF-BMP group revealed lower inflammation reaction, lower foreign body reaction and higher bone healing than the SF group at postoperative 4 weeks and 8 weeks. The SF-TCP group revealed lower inflammation at 4 weeks, but accordingly, as the TCP membrane was absorbed, inflammatory and foreign body reaction are increased at 8 weeks.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silk fibri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grafted material for tissue engineering bone gener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growth factor or surface treatment.

PCR과 Southern hybridization을 이용한 구지뽕나무와 무궁화의 클론감별 (Clone Identification of Cudraria Tricuspidata and Hibiscus Syriacus by Using PCR and Southern Hybridization)

  • 류장발;박상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42-46
    • /
    • 1998
  • 본 연구는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와 Southern hybridization을 이용하여 서로 붙어있는 나무가 한 나무인지 두 나무인지 규명하였다. 공시된 수종은 구지뽕나무와 무궁화이다. 구지뽕나무는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봉두리 안새출 금수식당 앞에 있는 나무로 두 사람이 서로 안고 있는 형상인데, 한 나무의 두 가지인지 가까이 자란 두 나무가 붙었는지를 구별하기 어려운 나무였다. 다섯 종류의 PCR primer $(17{\sim}24-mers)$ 중 355 primer의 경우 한가지의 잎 DNA에서만 PCR 산물이 검출되어 이것을 방사선표지한 후 genomic Southern hybridization을 행하였던 바 이 probe와 결합하는 DNA 단편이 동일한 위치에서 검출되었으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아울러 OPERON 10-mer kits A에 있는 20종류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행한 결과 OPA01 primer (CAGGCCCTTC)에 의한 PCR 생성물은 동일한 위치의 band 뿐만 아니라 추가로 4개가 한가지의 잎 DNA에서 더 나타났다. 따라서 구지뽕나무는 두 나무가 연결되어 한 나무를 이루는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무궁화는 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두곡리 청덕초등학교 내에 있는데 수령 50년 이상으로 멀리서 보면 한 나무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가까이 다가가서 줄기의 아래부분을 보면 세 줄기가 붙어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무궁화 역시 한 나무의 세 가지인지 세나무가 가까이 자라 붙었는지 PCR과 Southern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규명하려 하였다. Southern hybridization 결과에 의하면 구지뽕나무의 분석에 사용한 probe와 결합하는 DNA 단편은 검출되지 많았으며, 35S primer에 의한 PCR 생성물은 동일하였으나 OPA04와 OPA13 primer의 경우 약간의 상이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무궁화는 한 나무의 세 가지인 듯하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 Koch) 병상선(甁狀腺)의 미세구조(微細構造) III. 소병상선(小甁狀腺)의 분필관(分泌管) (Ultrastructure of the Ampullate Glands in the Orb Web Spider, Nephila clav ata L. Koch III. Excretory Duct of the Small Ampullate Gland)

  • 문명진;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19권1호
    • /
    • pp.49-58
    • /
    • 1989
  • Ultrastructure of the excretory duct of the small ampullate gland in the orb web spider, Nephila clavata L. Koch are studied with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small ampullate glands, located near the midline portion of the abdominal cavity, are connected with the spigots(large spinning tubes) on the middle spinnerets and composed of three parts which are the excretory duct, the storage sac and the convoluted tail. The excretory duct of this gland is enclosed by a thin layer of the outer connective tissues. By the morphology of the apical cuticles and internal textures of the epithelial cells, the duct is subdivided into two regions which are proximal duct region near the sac and distal duct region near the spinnerets. At the distal region of the ducts, the subcuticle which had the function of water removal form the progenetive silk material is well developed, whereas at the proximal region this cuticle disappeared and instead of these, endocuticle is developed. Moreover the epithelium of the distal duct region is composed of columnar epithelial cells, but at the proximal region the epithelium is changed to squamous or cuboidal forms. In the cytoplasm of the epithelial cells, rough endoplasmic reticula, Golgi comlexes and large secretory vesicl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cuticular materials are well developed. And between the adjacent epithelial cells, specialized septate junction and desmosomes are formed along the plasma membrane.

  • PDF

심한 빈혈증상을 동반한 거대한 식도주위허니아 치험 1예 (Belsey Mark V 수술치험) (Giant paraesophageal hiatus hernia associated with severe anemia [Belsy mark V procedure])

  • 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150-156
    • /
    • 1984
  • Paraesophageal hiatus hernia represents a rare hiatal hernia that are treated surgically. The completely asymptomatic paraesophageal hernia often does not reach the clinician or surgeon. But the presence of a symptomatic paraesophageal hernia is sufficient indication for surgery. The paraesophageal hernia may be approached either transthoracically or transabdominally. The general technique is essentially the same, whichever route is used. From either transthoracic or transabdominal approach, following reduction of the viscus and elimination of the sac, the diaphragmatic opening is then closed with interrupted heavy dacron or silk sutures in paraesophageal hiatus hernia. But if the phrenoesophageal membrane often is destroyed when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and the distal esophagus have been mobilized, it becomes important to fix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below the diaphragm, so that it does not slide through the hiatus and produce a sliding-type hiatus hernia in future.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paraesophageal hiatus hernia which was accompanied with severe anemia in child. We preferred to approach through left thoracotomy incision and then pushed down the stomach into the abdominal cavity with complete excision of the hernial sac. We employed Belsey Mark V procedure using of Teflon felt pledgets with the mattress sutures against development of sliding-type hiatus hernia in postoperative period. postoperative course has been uneventful and good for about 3 months to this time.

  • PDF

쌍줄푸른밤나방 (Pseudoips fagana )의 생태학적 특성 (Ecological Study of Pseudoips fagana (Lepidoptera: Noctuidae))

  • 권영대;박일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7-170
    • /
    • 2011
  • 쌍줄푸른밤나방(Pseudoips fagana Fabricius)은 분류학적으로 밤나방과(Noctuidae), 푸른밤나방아과(Chloephorinae)에 속한다. 쌍줄푸른밤나방의 알은 백색이며 참나무잎에 무더기로 산란하였다. 유충은 총 5령기를 거치며, 몸전체에 걸쳐 연녹색을 띠며, 4개의 백색선이 복부의 끝까지 연결되어 있다. 유충기간은 약 24.4일이 소요되었다. 번데기는 연녹색의 단단한 막과 실크로 덮여져 있다. 성충의 날개를 편 길이는 15-18 mm 였으며, 앞날개의 바탕색은 연두색이다. 뒷날개의 경우 수컷은 황색이며 암컷은 백색을 띈다. 쌍줄푸른밤나방의 1화기는 5월 초순부터 6월 말까지이며, 2화기는 7월 초부터 8월 말까지 였으며, 번데기로 월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