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ulder stabilize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the Scapular Stabilizer Muscle Activities and Scapular Winging During Push-up Plus Exercise in Subjects With Scapular Winging

  • Kim, Da-eun;Shin, A-reum;Lee, Ji-hyun;Cynn, Heon-seock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1-70
    • /
    • 2017
  • Background: Scapular winging is a prominence of the entire scapular medial border, mainly caused by insufficient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SA) and imbalance of scapulothoracic muscles. Push-up plus (PUP) exercise has been commonly used to increase SA muscle activity. The facilitation of abdominal muscle may affect scapular muscle activity by myofascial connections. Thus, the sequential activation of the turnk muscles is suggested to facilitate the transition of proper force from upper limb and restore force couple of scapular muscles.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activation of the deep trunk muscles during movement.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DIM on th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UT), lower trapezius (LT), and SA during PUP exercises in subjects with scapular winging. Methods: Fourteen men with scapular winging (determined as a of distance between the scapular medial border and thoracic wall over 3 cm) volunteered for our study. The subjects performed the PUP exercise with and without ADIM.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collect the electromyography data of the UT, LT, and SA. A scapul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amount of scapular winging. Results: SA activ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and scapular winging significantly lower during the PUP exercise with ADIM than during those without ADIM. Conclusion: PUP exercise with ADIM can be used as an beneficial method to improve SA activation and to reduce the amount of scapular winging in subjects with scapular winging.

자기공명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이용한 견관절 관절낭-인대의 해부학적 연구. 역동학적 생체연구 (A Study of the Capsuloligamentous Anatomy of the Glenohumeral Joint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Three-Dimensional Imaging. Dynamic In Vivo Study)

  • 박태수;최일용;주경빈;김선일;김준식;백두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4-158
    • /
    • 2000
  • 목적 : 정상견관절의 각기 다른 위치에 따른 관절와 상완 인대들의 해부학적 구조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정상 견관절 9례에 대하여 생리식염수를 주입하고 외전 및 외 회전의 위치를 달리하여(각각 $0^{\circ}$$0^{\circ},\;45^{\circ}$$25^{\circ},\;90^{\circ}$ 및 최대 외 회전) 자기공명 영상을 각각 촬영하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한 후 관절와상완 인대 특히 중 및 하 관절와 상완 인대를 관찰하였다. 결과:. 중 관절와 상완 인대는 $0^{\circ}$ 외전 및 $0^{\circ}$ 외 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걸쳐 이중 곡선 모양으로 비스듬히 위치하였다가, 외전 및 외 회전이 점차 증가하여 $45^{\circ}$$25^{\circ}$에 이르면 점차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 부근에 신장되어 거의 직선에 가까운 비스듬한 주행을 보였으며, $90^{\circ}$ 외전 및 최대 외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의 상부 위치에 다시 곡선 모양을 보였다. 반면 하 관절와 상완 인대는 $0^{\circ}$ 외전 및 $0^{\circ}$ 외 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하부에서 완만한 곡선 모양으로 위치하였으며, 외전 및 외회전이 증가함에 따라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 아래에 위치하면서 아래쪽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을 보였다가, $90^{\circ}$ 외전 및 최대 외 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하부에 거의 직선에 가깝도록 신장되어 비스듬히 위치하였다. 결론 : 견관절을 $45^{\circ}$ 외전 및 $25^{\circ}$ 외 회전 할 때와 $90^{\circ}$ 외전 및 최대 외 회전 시 중 관절와 상완 인대 및 하 관절와 상완 인대가 각각 신장되어 관절와 상완 관절의 중요한 정적 안정화 구조물로서 작용한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