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ulder pain index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5초

회전근개봉합술 후 닫힌사슬운동 적용 시점에 따른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 after Rotator Cuff Repair by Time Closed Chain Exercise)

  • 송현승;김선엽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85-49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in, range of motion (ROM), upper extremity task performance, and functional levels of patients after rotator cuff repair according to the timing of a closed chain exercise thereby presenting basic data for an effective rehabilitation program. METHODS: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three times per week, one hour per day, for four weeks to 40 participants, 78 of whom had undergone rotator cuff repair.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assigned to usual general physical therapy and an open chain exercise. Group I consisted of the open chain exercise only. The closed chain exercise was applied to group II after the 4 times, group III after the 7 times, group IV after the 10 times. Measurement were used ROM, visual analogue scale (VAS), box and block test (BBT), and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test difference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nal/external rotation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The VA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group II and group I, group III, and group IV. The BBT results of group II and group I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ose of group IV. The SPADI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group II and group I and between group II and group IV. CONCLUSION: The closed chain exercise was effective for patients following rotator cuff repair from the second week after active exercise was prescribed, verifying its applicability in rehabilitation programs.

유방암 환자의 상지 부작용과 관련 요인 (Arm Morbidity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s and Analysis of Related Factors)

  • 전미선;문성미;이혜진;이은현;송영숙;정용식;박희붕;강승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32-42
    • /
    • 200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치료 후 상지의 림프부종,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 주관적 증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본 대학 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고 수술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159 명을 대상으로 림프부종 정도와 어깨관절 운동범위를 측정하였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주관적 증상을 측정하였다. 대상 환자의 $47.2\%$인 75명이 40대였으며 89의 환자가 병기 I 또는 II 이었다. 결과 : 림프부종(건측과 환측의 차이가 2 cm 이상)은 52명($32.7\%$)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이 중 상지 하부 림프부종은 3명, 상지 상부 림프부종은 34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상지 상부와 하부 모두 림프부종이 발생한 경우는 15명이었다. 각 부위별 발생 빈도는 손목으로부터 10 cm 지점에서 $6.3\%$, 20 cm 지점에서 $10.7\%$, 30 cm 지점에서 $22.6\%$, 40 cm 지점에서 $23.3\%$이었다.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건측과 환측의 차이가 $20^{\circ}$ 이상)의 빈도는 굴곡에서 $37.2\%$, 외전에서 $37.7\%$, 내회전에서 $48.4\%$, 외회전에서 $24.5\%$이었다. 이 중 내회전의 경우 정상운동범위의 $50\%$ 이상 감소되는 경우도 흔하였다. 주관적 증상으로 통증 호소가 $63.5\%$, 팔을 움직이기 힘들다고 하는 경우가 $48.4\%$, 팔저림 호소가 $59.8\%$, 뻣뻣함(stiffness) 호소가 $69.2\%$이었다. 특히 림프부종이 없는 108명의 환자 중 65명($61.1\%$)이 통증을 호소하였다. 림프부종의 발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요인으로는 연령, 체질량지수(BMI), 치료방법 및 수술 후 경과 기간이 있었고,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의 경우 치료방법과 수술 후 경과기간이었다. 주관적 증상의 경우는 치료방법과 수술 후 경과기간 그리고 항암화학요법 종류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요인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체질량지수(BMI)와 수술 후 경과기간이 림프부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림프부종은 수술 후 기간이 경과되어도 계속 진행되며 특히 체질량지수가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지속적인 체중관리를 포함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어깨관절 운동범위의 감소도 환자의 약 1/3에서 발생하였으며 특히 굴곡, 외전, 내회전 운동범위의 감소가 빈번하였고 내회전의 경우 그 정도가 심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한 치료 후 재활관리 프로그램이 환자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초음파 유도하 1회 주사요법에 의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한 예비보고 (The Preliminarily Result of Radiologic Disappearance of the Calcific Material on One Time Ultrasonographic Assisted Needling)

  • 유재철;손민수;고경환;임태강;이영석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
    • /
    • 2012
  • 목적: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에 의한 석회 침착에 대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9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증상이 있는 석회화 건염으로 진단받은 모든 환자에서 1회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을 시행 받은, 총 46명(47 견관절) 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사요법을 시행하기 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석회 침착물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초음파 유도하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침착된 석회에 대하여 가능한 예에서는 흡입을 시도하였고 흡입 실패 시 다발성 천공을 시행하였고 모든 예에서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1 ml 리도케인과 1 ml 스테로이드의 혼합액을 주입하여 주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에 의한 침착된 석회의 조기 소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주사요법 시행 전과 시술 후 첫 외래 방문시기인 4주째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석회 침착물의 크기, 음영 및 형태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임상적 평가로는 통증과 기능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와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를 시술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 남자가 11명, 여자가 35명이었고, 시술 당시 평균 연령은 53.8세(28~71세)이었다. 우측 35예, 좌측 견관절에서 12예로 관찰되었고, 우세 상지측에 발생된 경우는 37예 (78.7%)에서 해당되었다. 주사요법 시행 전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석회 침착의 형태는 31예에서 A형, 16예에서 B형으로 관찰되었고 평균 크기는 $2.9{\pm}6.7$ mm이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 시행 후 4주째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크기나 음영이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10예, 변화를 보였던 경우가 37예에서 관찰되었다. 변화를 보였던 37예 중 크기는 유지되나 음영이 감소되거나 경계가 불분명해진 경우가 14예, 크기가 감소된 경우 13예(50%이상 감소한 경우 4예, 50%미만 감소된 경우 9예), 흔적만 남은 경우 8예, 그리고 완전한 소실을 보인 경우가 2예에서 관찰되었다. 방사선학적 변화를 보였던 군과 보이지 않았던 군의 시술 후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두 군 간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으며 시술 전 FAS 분류에 있어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1). 결론: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 이후 조기(4주째)에 방사선학적으로 크기나 음영에서 변화를 보이는 예는 79%에서 보였으나 거의 없어지거나 완전한 소멸을 보이는 예는 21%에서만 관찰되었다. 향후 장기적인 추시 관찰을 통하여 석회 침착물의 소멸 여부를 비교해 봄으로써 1회 시술의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두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관절경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 (One Anchor Double Fixation (OADF) Technique for Arthroscopic Bony Bankart Repair)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조병기;배승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40-46
    • /
    • 2010
  •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이 있는 견관절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두 가닥의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 나사못를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평균 추시 기간 22.3개월, 범위 13~47개월)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3예, 여자 4예였고, 우측이 14예 좌측이 3예였다. 평균 연령은 24세 (범위 17-42세)였다. 수상 시에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범위, 10개월-4년 1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 나사못을 골편이 떨어진 관절 와에 고정한 후 하나의 봉합사를 골편을 둘러싸 고정 시킨 후 또 다른 봉합사를 이용하여 주변 관절 낭을 떠서 고정한 골편을 둘러 싼 후 봉합하였다. 술 후 결과는 Rowe의 평가 방법과 KSS 평가지수를 이용하였고 관절 와의 결손부위와 골편은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최종 추시상 Rowe 견관절 평가지수는 평균 54점 (범위 23~71점)에서 83.4점 (71~90점)으로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전체적으로 우수 13예 (76%), 양호 3예 (18%), 보통 1예 (6%)였다. KS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71점 (범위 49~82점)에서 수술 후 92.5점 (범위 82~94점)으로 향상하였다. 최종 추시상 통증이 지속되는 예는 없었으며, 추시기간 동안 재 탈구 된 예는 없었다. 수술 후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이 시행되었던 6예에서 골 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에 대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이고, 합병증이 낮아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치료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집속초음파 치료의 한의 임상 활용에 대한 고찰 (Clinical Application of Focused Ultrasound in Korean Medicine)

  • 최유민;이마음;허나연;이은희;최혁용;서형식;황의형;장인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40권3호
    • /
    • pp.79-89
    • /
    • 202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application methods of focused ultrasound and apply them to clinical use in Korean medicine. Methods : Search was performed using the search engines of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PubMed, ScienceDirect,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ScienceON,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Wanfang Data, Japan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Aggregator, Electronic (J-STAGE) and Citation Information by NII (CiNii), from inception to July 2023 without language limitation. Inclusion criteria were clinical studies includ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nd animal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with focused ultrasound treatments for acupoints or meridian sinews. Results : Total 17 papers, 7 for RCT, 6 for in vivo animal studies, and other experimental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Indications used in studies were shoulder pain, back pain, chronic back pain, and degenerative knee arthritis. In experimental studies, studies on animal models of hypoxic ischemic brain damage and hyperlipidemia were also conducted. As for the acupoints, LR3, LI4, and ST36 were used in clinical studies and, in animal experimental studies, GV20, KI1, and ST36 were used. As for the dose, 4 studies below 3 W/cm2 and 3 studies in the range of 0.625 to 5 W/cm2 in clinical studies, and all studies did not exceed 5 W/cm2. In animal experimental studies, 0.5 W/cm2, 2 W/cm2, 7.5 WW/cm2, 15 W/cm2, 10~20 W/cm2 were used. In all three studies describing the penetration depth during irradiation, it was less than 1 cm.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focused ultrasound is an appropriate treatment tool for stimulating the acupoints to transfer heat energy. Future studies with rigorous and well-designed RCTs for various diseases will be required to ascertain the focused ultrasound stimulate acupoints or meridian sinews.

피로를 호소하는 외래환자에 대한 임상적 관찰 (Clinical Investigation of Fatigue Among Outpatients)

  • 박신명;승현석;김영철;이장훈;우홍정;이지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9-307
    • /
    • 2001
  • Objectives: Fatigue is a common symptom experienced by many people who visit Oriental medical clinics or hospital.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study about the fatigue in the Oriental medical academic world. For this reason,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of fatigue of outpatients, and its relation with Health Practice Index(HPI). Methods: The subjects were 63 outpatients who visited the Tonification Clinic in Kyunghee Oriental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 2001 and July 31, 2001. Their chief complaint was fatigue and they did not have any physical or mental problem. They were given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questions reflecting general characteristics, fatigue degree and health habits. We measured degree of fatigue by Chalder scale et al. Health habits were investigated about 5 articles out of 'Breslow 7 Health habits'. Results: Among the subjects, 48 people(76.2%) were considered as 'fatigue patients' by the Chalder scale. Of this 48 fatigue patients, 27 people(56.3%) had manifested fatigue for more than 6 months. The average of scale II for all the patients was 14.05, which indicates moderate degree of fatigue. They complained fatigue, drowsiness and general weakness, dryness and discomfort of the eyes, headache, shoulder pain and neck stiffness, dizziness, heat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poor concentr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egree of fatigue according to Health habits including exercise or not, smoking or not, the frequency of drinking, hours of sleeping,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s: Many people complain fatigue symptom. Therefore doctors should have more interest in fatigue and care. This study can provide standards of prognosis of fatigue patients. Also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health habits and fatigue degree.

  • PDF

전북지역 일부 여대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Nutritional Intake and Health Cond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as Related to Thei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 유현희;남정은;김인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964-976
    • /
    • 2003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intake and health condition of 389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Iksan, Jeonbuk, dependent on their frequency of breakfast. The subjects were evenly distributed in terms of their age, 61.7% were living at home with their parents, and most responded that they were from a middle income level. Of the subjects, 43.2% always had breakfast (more than 5 times a week), 26.5% sometimes (3 to 4 times a week); 30.3% seldom had breakfast (less than twice a week). The most frequent reason why they skipped breakfast was they were late risers (53%); 38.7% started to skip breakfast during their high school days. The nutritional intake based on whether or not they had breakfast showed that the intake of all nutrients including energy was higher in the students who always or sometimes had breakfast than in those who seldom did (p<0.05-0.001). The presence of clinical symptoms was dependent upon their intake of breakfast. It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seldom ate breakfast, had more symptoms of convulsions, nervousness, neck or shoulder pain and indigestion, than those who always, or sometimes ate it (p<0.05-0.01). In all three groups,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exercised once or twice a week. Their major reason for exercising was to lose weight. The degree of obesity based on the Body Mass Index (BMI) was in the normal range for 69.7% of the subjects. Female college students ate breakfast irregularly seemed to have a lower intake of nutrients and poorer health. In this regard, we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ating breakfast, and should make a habit of doing so.

Seizure after Subdural Hematoma Treated with Combination Western-Korean Medicine

  • Jeong, Jae Eun;Lee, You Jung;Choi, Yeon Ah;Park, Jang Mi;Lee, Seung Min;Jo, Na Young;Lee, Eun Yong;Lee, Cham Kyul;Roh, Jeong Du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8권1호
    • /
    • pp.72-78
    • /
    • 2021
  • Combined Western-Korean medicine treatments were given to a 67-year-old woman with late onset seizures who underwent surgical drainage of a subdural hematoma. Clonazepam and herbal medicine was prescribed. Acupuncture, moxibustion, cupping, chuna, and physical therapy were also performed.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seizures was assessed using the Chalfont Seizure Severity Scale. The seizure index score improved from 25 at admission to 0 at discharge. Pain in the right upper extremity reduced from 10 to 0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and muscle strength increased from Grade 3 to 5 in Medical Research Council Scale for the Manual Muscle Test. At the time of hospitalization, the manual muscle strength tests for the affected shoulder, elbow, wrist, and grip strength were 30%, 60%, 10%, 5%, respectively, which improved almost 100% by discharge. Further studies using combined Western-Korean medicine for seizures after stroke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에서 새로운 봉합 방법의 이용 (The Use of Arthroscopic UU Stich for Rotator Cuff Tear and Clinical Results)

  • 고상훈;신승명;최영진;차재룡;박한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67-72
    • /
    • 2011
  • 목적: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은 여러 가지 봉합술이 알려져 있으나 저자들은 새로운 봉합법인 UU 봉합법의 임상적 결과와 해부학적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본원에서 회전근개 파열에 대해 UU 봉합술을 시행한 156명 (남자: 88명, 여자: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5세 (38~75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12개월 (6~23개월)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6개월, 1년과 최종 추시에 시행한 ASES 점수 중 통증에 대한 VAS, 기능에 대한 일상 (ADL), UCLA 점수 및 KSS 점수로 평가하였다. 추시 기간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는 환자에 한하여 MRI를 시행하여 재파열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통증 지표인 VAS는 술 전 평균 7.0에서 술 후 평균 2.7로 감소하였다 (p<0.05). UCLA 및 KSS score는 각각 22.2에서 32.5로, 83.7에서 91.5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능동적 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 굴곡이 평균 125도에서 175도, 측방 외 회전이 평균 38도에서 58도, 외전이 평균 104도에서 169도로 향상되었다. 전체 환자 156예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여 시행한 117예 (75%) 중 재파열은 총 4예 (3%)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로 UU 봉합법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파열을 보이는 방법이다.

외상 후 유착성 견관절낭염 환자에서 관절가동술을 병행한 슬링 운동치료의 효과 :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with Combined Exercise Therapy of Sling on Post-traumatic Adhesive Capsulitis Patient: A Case Report)

  • 권원안;김연정;권혜미;김은지;박우경;신혜원;오정익;우정희;이다혜;이은정;정은주;정재영;정현경;최보영;허은영;이재홍
    • PNF and Movement
    • /
    • 제10권2호
    • /
    • pp.9-16
    • /
    • 2012
  • 본 연구는 43세 남성 환자의 관절가동술과 슬링을 이용한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치료사례를 조사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깨통증장애지수(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측정과 어깨관절의 굽힘(flexion), 벌림(abduction), 바깥돌림(external rotation), 안쪽돌림(internal rotation)에 대한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견관절 주위에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 주사 1회, 약물치료를 병행하며 주 3회 8주간 보존적인 물리치료인 온습포(hot pack)와 간섭파(ICT), 관절가동술, 그리고 슬링을 이용한 운동치료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관절가동술과 슬링운동치료의 적용이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통증을 줄이고 관절가동범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