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test distance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3초

Morphometric Study of the Upper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 Lee, Sang-Beom;Chang, Jae-Chil;Park, Sukh-Que;Cho, Sung-Jin;Choi, Soon-Kwan;Bae, Hack-G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1호
    • /
    • pp.30-35
    • /
    • 2011
  • Objective : Morphometric data for the sympathetic ganglia (SG) of the upper thoracic spine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SG in order to reduce normal tissue injury in the thoracic cavity during thoracoscopic sympathectomy. Methods : In 46 specimens from 23 formalin-fixed adult cadavers, the authors measure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medial margin of the T1, T2 and T3 SG to the most prominent point and medial margin of the corresponding rib heads, and to the lateral margin of the longus colli muscle.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most prominent point of the rib head and the lateral margin of longus colli muscle and the width of each SG were measured. Results :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medial margin of the SG to the prominent point of corresponding rib head was on average 1.9 mm on T1, 4.2 mm, and 4.1 mm on T2, T3. The distance from the medial margin of the SG to the medial margin of the corresponding rib head was 4.2 mm on T1, 5.9 mm, and 6.3 mm on T2, T3. The mean distance from the medial margin of the SG to the lateral margin of the longus colli muscle was 6.7 mm on T1, 8.8 mm, 9.9 and mm on T2, T3.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prominent point of the rib head and the lateral margin of the longus colli muscle was 4.8 mm on T1, 4.6 mm, and 5.9 mm on T2, T3. The mean width of SG was 6.1 mm on T1, 4.1 mm, and 3.1 mm on T2, T3. Conclusion : We present morphometric data to assist in surgical planning and the localization of the upper thoracic SG during thoracoscopic sympathectomy.

복합대중교통망의 링크표지갱신 다목적 경로탐색 (A Link-Based Label Correcting Multi-Objective Shortest Paths Algorithm in Multi-Modal Transit Networks)

  • 이미영;김형철;박동주;신성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7-135
    • /
    • 2008
  • 교통망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연결하는 최적경로탐색(Optimum Shortest Path)의 기준은 통행시간, 통행비용, 통행요금, 통행거리 등 복수의 기준에서 단일기준(Single Attribute Objective)을 선정하여 선정된 기준에 대하여 최소화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의미하며 최적경로 탐색기법으로 탐색이 가능하다. 다목적 경로탐색(Multi-Objective Shortest Paths)에서는 이들 복수의 기준 (Multi-Objective)을 고려하여 경로를 탐색한다. 최근까지 다목적경로탐색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단일의 교통수단만으로 구성된 교통망에 대한 가정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교통수단이 혼재된 교통망(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에서 다목적경로탐색에 대한 연구는 환승에 대한 문제를 최적해법 차원에서 고려하지 않았으며, 교통정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에 기반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는 다수단교통망에서 다목적경로탐색 문제에서 검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수단교통망에서 다목적경로탐색 문제에서 최적 해를 도출하기 위한 동적계획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Skriver & Andersen (2000)이 제시한 2기준 노드표지갱신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확장없이 수단 간의 환승이 반영되도록 2기준 이상의 다기준 링크표지갱신 알고리즘으로 개발하는 방안으로 확대한다. 본 연구는 다기준 링크표지가 다수단 교통망에 적용했다는 점 이외에, 출발지에서 모든 링크까지 비지배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출발지에서 개별 링크까지의 비지배경로/트리(Path/Tree) 집합을 표지처럼 활용하였다. 다수단교통망에서 다목적경로탐색문제에 적합한 도시부의 대중교통망에 한정하여 경로탐색속성을 환승과 링크주행속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계산과정을 소규모 복합대중교통망을 통해 검증하였다.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망의 구조적 특성 분석 (Network Structures of The Metropolitan Seoul Subway Systems)

  • 박종수;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59-47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양한 네트워크 분석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복잡성 분석을 통하여 수도권 지하철 망의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하철 망을 점과 선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네트워크의 복잡성 분석에서 계산하는 다양 지표들을 산출하여 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를 이용해 움직이는 수도권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기록을 담고 있는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도권 지하철망의 구조적 특징을 찾아내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그의 적용으로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하철역과 역 사이의 시간거리와 실제거리에 대해 최단경로를 탐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최단경로거리와 최단거리의 분포 구조를 분석하였다. 특히 최단 경로거리와 최단 거리의 합을 산출하여 수도권 지하절망을 통하여 각 역에서 다른 모든 역들에 도달하기 용이한 정도를 의미하는 접근성 지표로 삼고, 이를 GIS를 사용하여 수도권의 접근성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고 그의 공간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 PDF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중목적 최단경로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Criteria Shortest Path Model Development Using Genetic Algorithm)

  • 이승재;장인성;박민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7-86
    • /
    • 2000
  • 기존의 최단경로 탐색모형은 단일 목적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통행자가 단일 목적만을 기준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경우는 드물며, 경로선택은 통행시간과 비용 등 다양한 목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최단경로는 여러 가지 목적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들 목적간의 상충적인 관계로 인해 여러 가지 목적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경로는 존재치 않으며, 통행자가 고려하는 목적들의 중요도에 따라 다양한 경로가 선택되어질 수 있다. 다목적의 최적경로는 여러 가지 목적들의 절충(Trade-Off)을 고려한 다수의 파레토 최적경로(Pareto Optimal Path)가 탐색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다중목적을 고려한 최적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하나 또는 일부의 파레토 최적경로만을 탐색하며 따라서 다양한 경로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두 개의 목적을 고려한 최적경로 탐색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파레토 최적경로들은 대체경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파레토 최적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본 모형의 개발에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적용하였다.

  • PDF

DEM과 장애물 지도를 이용한 거리변환 경로계획 (Distance Transform Path Planning using DEM and Obstacle Map)

  • 최덕선;지태영;김준;박용운;류철형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92-94
    • /
    • 2005
  • Unmanned ground vehicles(UGVs) are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future army. These UGVs would be used for weapons platforms. logistics carriers, reconnaissance, surveillance, and target acquisition in the rough terrain. Most of path planning methodologies for UGVs offer an optimal or sub-optimal shortest-path in a 20 space. However, those methodologies do not consider increment and reduction effects of relative distance when a UGV climbs up or goes down in the slope of rough terrai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path planning methodology using the modified distance transform algorithm. Our proposed path planning methodology employs two kinds of map. One is binary obstacle map. The other is the DEM. With these two maps, the modified distance transform algorithm in which distance between cells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weighting function of slope is suggested. The proposed methodology is verified by various simulations on the randomly generated DEM and obstacle map.

  • PDF

$Dentascan^{(R)}$을 이용한 하악구치부의 하악관 위치에 관한 임상적 연구 (THE CLINICAL STUDY OF THE MANDIBULAR CANAL LOCATION IN MANDIBULAR MOLAR AREAS USING $DENTASCAN^{(R)}$)

  • 김준철;이승훈;이정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8권5호
    • /
    • pp.341-347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on lower molar areas. Thirty-three patients were examined with multi-planar reformatted CT scan($Dentascan^{(R)}$). Three kinds of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he first was the distances between the upper border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root apices of the first and second molars, the second w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rtical plate of the mandible and mandibular canal, and the last was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n the buccolingual plane.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istance between the root apices of lower molars and the superior border of mandibular canal was largest at the mesial root of the first molar, and shortest at the distal root of the second molar(p<0.05). 2. The longest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cortical plate of the mandible and mandibular canal was measured from the distal root of the second molar, and this distance decrease gradually mesially(p<0.05). 3. The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base and inferior border of mandibular canal was longest at the distal root of the second molar, and shortest at the mesial root of the first molar(p<0.05). 4. The location of mandibular canal was lingually positioned in relation to the axis of teeth and alveolar ridge in molar areas.

Anatomic Study of Pterygomaxillary Junctions in Koreans

  • Kim, Dong-Yul;Cho, Yeong-Cheol;Sung, Iel-Yong;Yun, Dae-Kawn;Kim, Min-Uk;Kim, Ji-Uk;Son, Hyung-Suck;Son, Jang-Ho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368-375
    • /
    • 2013
  • Purpos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ocation of descending palatine artery, the anatomy of pterygomaxillary junction,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btained anatomic values and several variables. Methods: We studied 40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dentofacial deformite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2 in Ulsan University Hospital, Ulsan, Korea. Cone beam computed tomogram (CBCT) was done for all patients. The reference point was approximately 5 to 7 mm above anterior nasal spine on axial image. We evaluated the location of the greater palatine canal (line a: on the coronal view, the shortest line between the center of greater palatine canal and pterygoid fossa; distance a: the distance of line a). We also measured the thickness (line b: on the coronal view, the shortest line between maxillary posterior sinus wall and pterygoid fossa; distance b: distance of line b), width (line c: on the coronal view,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line b and the nearest line from the most concave point of lateral pterygoid plate to the medial pterygoid plate; distance c: distance of line c) and height (line d: on sagittal view, the vertically longest line of pterygoid junction; distance d: the distance of line d) in pterygomaxillary junctions.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btained anatomic values and several variables (sex, age, height and weight). Results: The mean distance a was 4.78 mm, mean distance b was 5.53 mm, mean distance c was 8.01 mm and mean distance d was 13.22 mm. The differences between age and mean distance c and weight and mean distance d in pterygomaxillary junct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re apparently is anatomic variation of pterygomaxillary junctions by various values, particularly weight and age in a Korean clinical population.

다중 사이클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위치 기반 컨테이너 야드 트랙터 최단거리 계산 (Computation of the Shortest Distance of Container Yard Tractor for Multi-Cycle System)

  • 김한수;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7-29
    • /
    • 2010
  • 생산성은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작업소요시간의 최소화에 의해 극대화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전산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추구해왔으나 이송장비의 운영 및 이송방식의 문제점으로 인해 한계가 있었다. 즉, 대표적인 이송장비인 Y/T(Yard Tractor)는 한 번의 주행에 양하 또는 적하 작업 중 하나만 가능하기 때문에 한 번의 주행에 양하와 적하를 순차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면 작업소요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기반의 Multi-Cycle System을 통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TLS기술을 활용하여 Y/T의 실시간 위치파악, GIS기술을 통한 Y/T실시간 위치표시 및 최단거리 알고리즘(다익스트라)을 터미널업무에 활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평균치대비 절감 운전거리율은 9%가 되었고 최대치대비 절감 운전거리율은 19%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도시부 가로망에서의 링크 통행속도 기반 One-to-One 최단시간 경로탐색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One-to-One Shortest Path Algorithm Based on Link Flow Speeds on Urban Networks)

  • 김태형;김태형;박범진;김형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8-45
    • /
    • 2012
  • 시간 종속적 가로망에 대한 최단경로 탐색은 ITS분야의 경로 일정계획과 실시간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매시간간격 변동적인 링크 통행속도를 고려하는 one-to-one 시간 종속적 최단시간 경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일반적인 최단거리 경로 알고리즘 중에서 실제 도로망에서 비교적 빠르고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는 3가지의 알고리즘들, 즉, two queues 구조를 가진 Graph growth 알고리즘, approximate buckets 구조를 가진 Dijkstra 알고리즘, double buckets 구조를 가진 Dijkstra 알고리즘이 선택되었다. 이 알고리즘들은 모두 네트워크 내 하나의 노드에서 모든 노드(one-to-all)로의 최단거리 경로를 빠르게 탐색하기위해 개발되었다. 선택된 알고리즘들은 시간 종속적 도로망에 대해 하나의 출발노드에서 하나의 목적노드(one-to-one)로의 최단시간 경로 탐색이 가능하도록 확장된다. 또한, 제안된 3가지의 시간 종속적 최단시간 경로탐색 알고리즘들은 미국의 Anaheim, Baltimore, Chicago, Philadelphia 4개 도시의 실제 가로망에 적용하여 검증 평가된다. 결과적으로, 도시부 가로망을 대상으로 한 시간 종속적 최단시간 경로탐색 알고리즘으로 double buckets 구조를 가진 확장된 Dijkstra 알고리즘이 추천된다.

레벨 노드 선택 기반 점대점 최단경로 알고리즘 (A Point-to-Point Shortest Path Algorithm Based on Level Node Selection)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33-140
    • /
    • 2012
  • 본 논문은 실시간 GPS 항법시스템에서 최단경로 탐색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Dijkstra 알고리즘의 수행 복잡도 $O(n^2)$을 선형인 O(n)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Dijkstra 알고리즘은 출발 노드부터 시작하여 모든 노드를 방문하여 최소 경로 길이를 계산한다. 따라서 "노드 수 -1"회를 수행하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도로로 구성된 도시에서 실시간으로 최단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먼저, 그래프를 트리로, 출발 노드를 근 노드로 치환하여 트리의 각 레벨에 해당하는 외부근방 (Out-Neighbourhood) 노드 집합을 구성하고, 외부근방간과 외부근방 내부의 최소 경로 길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양방향과 일방통행로로 구성된 복잡한 2개 그래프에 대해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Dijkstra 알고리즘과 동일하게 모든 노드의 최소 경로 길이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알고리즘 수행속도를 "노드 수 -1"회에서 "레벨 수 -1"회로 약 4배 정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GPS 실시간 시스템에 적용하여 러시아워나 차량 사고로 인한 병목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최단 경로 우회 도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면 운전자의 만족도를 크기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