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p-Handling Simulat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2초

Relation between P-D value of Autopilot and Transfer Distance under Wind Pressure

  • Seong, Yu-Cha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1-277
    • /
    • 2008
  • When performing steering by an autopilot (automatic steering gear), a sensitivity adjustment is mainly determined by P value and D value. These values differ in the optimal combination by model of ship and external forc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simulation case studies and examined movement of Pure Car Carrier, which easily received ship by wind pressure influence in low spee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horizontal migration(transfer) of ship's body and P-D value. Based on it, four parameters of P-D at approaching berth could be suggested Hence there were suggestions of parameters; Distance to maximum lee point, Time to maximum lee point, Time to return to original course and Time to 300th second. The correlation of these parameters and P-D value were also considered. As a result, we think that this index, like formulated P-D, leads to an easy and safe navigation by utilizing these indices.

항만에서 시뮬레이션 기반 적정하역능력 산정 모델에 관한 연구 - 항만 화물 전용부두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imation Model of the Proper Cargo Handling Capacity based on Simulation in Port - Port Cargo Exclusive Pier Example -)

  • 박상국;박남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454-2460
    • /
    • 2013
  • 지금까지 일반화물의 항만하역능력은 수리적 모델을 기반으로 단순 계산하는 방법으로 산정되었다. 본 논문은 수리적 모델 기반의 계산 방법이 갖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였다. 항만에서 전용부두의 하역작업 사례로 적정 하역능력을 산정하기 위해 안벽 프로세스 규칙들을 반영한 선박 입항부터 출항까지 발생되는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였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묵호항의 실제 처리능력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였고, 시뮬레이션 프로토타입의 입력변수 조건을 반복적으로 실험함으로서 적정 능력을 산정할 수 있었다.

예부선의 유체력 간섭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 of Hydrodynamic Interaction on Tug-Barge)

  • 이상민;조상희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3-47
    • /
    • 2008
  • 예부선 운항 시 부두의 전안, 이안 및 좁은 수로를 항행할 경우 접할 수 있는 안벽근처의 항행과, 두 선박이 접근하여 평행항의 상을 반대 방향으로 항과 할 경우의 유체력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선의 부선 예항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후 부선의 선수방향, 예선의 회두 모멘트와 횡방향의 힘과 같은 유체력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여 그에 따르는 안전한 예부선의 조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닻 운용 시뮬레이션에 의한 선체운동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of Ship Maneuvering by the Simulation of Anchor Dredging)

  • 윤순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15
    • /
    • 2002
  • Ship operators use anchor dredging for the collision avoidance or safety of ship handling in a harbour or narrow channel. This paper clarifies the technique of the anchor dredging known as a common sense for. the seafarers A mathematical model at low speed range is established for the estimation of ship motion under the assumed environment, simulate the advance speed , and turning ability under the anchor dredging or not. The results shows good agreement with the conventional seamanship and their experiences as follows. Ahead speed used the anchor dredging is slower(speed reduction ratio:40%) than the normal ahead speed and the stopping distance is shorter (distance reduction ratio:40%)than the normal ahead distance without the anchor dredging.. Turning speed used anchor dredging is slower(speed reduction ratio:72%)than the normal ahead speed and the tactical diameter is shorter(distance reduction ratio:24%)than the diameter by the normal turning without the anchor dredging.

  • PDF

해상교통안전 진단 기술의 적정성 및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고도화 (A Study on Adequacy of Audit Techniques and Advancement of Ship-Handling Simulation for Maritime Safety Audit)

  • 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1-398
    • /
    • 2011
  • 최근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가 국내에 도입되면서 선박의 안전여부를 판별하는 중요한 핵심 기술 요소로 다양한 항행 환경을 인위적으로 재현하는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시행지침에 명시된 진단기술은 국내 시뮬레이터 보유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수행 절차 및 평가 방법 등을 일반화한 것으로 이에 대한 적절한 보완 또는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행 선박조종시뮬레이션 진단기술의 기술력 분석과 함께 한계점 및 문제점 등의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선박모델의 표준화, 표준조선법, 평가 방법 등의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선박조종시뮬레이터 시스템 개선은 물론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에 활용되고 있는 진단 기술의 정량화 및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northern sea route navigation using ship handling simulation

  • Kim, Won Ouk;Youn, Dae Gwun;Lee, Young Chan;Han, Won Heui;Kim, Jong Su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10호
    • /
    • pp.1044-1048
    • /
    • 2015
  • Recently, the viability of the Northern Sea Route has been receiving a remarkable amount of attention. Owing to global warming, glaciers in the Arctic Ocean have been melting rapidly, which has opened up navigation routes for ships with commercial as well as research purposes. At present, vessels can be economically operated along the Northern Sea Route four months of the year. Howeve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economical operating time may increase to six months by 2020 and year-round by 2030. Even though the conditions of the Northern Sea Route are extreme, the main reason for its use is that the route is shorter than the existing route using the Suez Canal, which provides an economic benefit. In addition, 25% of the world's oil reserves and 30% of its natural gas are stored in the coastal areas of the East Siberian Arctic region. Many factors are leading to the expectation of commercial navigation using the Northern Sea Route in the near future. To satisfy future demand,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established the Polar Code in order to ensure navigation safety in polar waters; this is expected to enter into force on January 1, 2017. According to the code, a ship needs to reduce its speed and analyze the ice for safe operation before entering into it. It is necessary to enter an ice field at a right angle to break the ice safely and efficiently.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 along the course for safe navigation of the passage under several conditions. The results will provide guidelines for traffic officers who will operate ships in the Arctic Ocean.

스마트폰 사용이 선박통항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martphone Use on Marine Traffic Safety)

  • 신대운;박영수;박진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1-138
    • /
    • 2017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선박에 육상과 동일한 인터넷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선내 인터넷 사용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선원들은 휴대가 간편한 스마트폰을 이용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항해 중 스마트폰 사용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으며, 그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해 중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성을 판별하기 위해 선박 조종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은 근접도 평가, 제어도 평가, 운항자의 주관적 평가 및 위험 상황인지 시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 유무를 구분하여 위험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항해 중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인해 위험도가 최소 1.3배에서 최대 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항해 중 스마트폰 사용 규제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 스마트폰 사용지침을 수립하고자 한다.

An Analysis on Simulator Scenarios for the Integrated Evaluation when Applied to Teamwork by Deck and Engine Officers

  • Choi, Soon-Ma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0권7호
    • /
    • pp.782-790
    • /
    • 2006
  • The evaluation systems in SHS(Ship Handling Simulator) or ERS(Engine Room Simulator) give trainees the opportunity to feedback how they responded suggesting them the operation result by scores. If SHS and ERS are integrated each other by network to enable the synchronous training for both deck and engine officers these systems need to include inherently the function of integrated evaluation which produces the evaluation score for the team play of deck and engine officers. The integrated evaluation is effective especially when assessing the responses at emergency situation of ship or the matter of efficiency of ship operation even if assessors feel difficult in editing simulation scenarios for integrated evalu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perty of integrated evaluation and considerations when editing them. It suggests also a useful procedure to estimate whether a scenario for integrated evaluation is reasonable and balanced or not based on the analysis in the proprieties and reasonabilities which are to be prepared by assessors before testing trainees or examinees.

컨테이너터미널의 하역 데이터베이스 분석에 의한 하역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일본의 HICCT를 중심으로 - (Study on Construction of Simulation Model based on Analysis of Container Handling Database - A case of HICCT in Japan -)

  • 김화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17-723
    • /
    • 2007
  • 최근의 컨테이너 수송환경은 컨테이너 선사간 인수합병, 동맹화, 컨테이너선의 대형화와 하주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복합수송체계 등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컨테이너터미널에 요구되어지는 서비스로서 항만의 대수심화, 하역의 신속화, 이용료의 저가격화 등을 예로들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컨테이너 선사는 컨테이너터미널의 기항을 기피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에 있어서 하역의 효율화와 기능성 평가를 위해 실제 컨테이너터미널의 하역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하역기기, 야드샤시 및 외부트럭의 관리에 대한 프로세스 정보를 추출하여 하역 효율화에 저해가 되는 하역기기 운전원의 스킬과 트러블 등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추출한 프로세스 정보를 활용하여 페트리 넷을 이용해 컨테이너 하역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하역기기의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시뮬레이션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CFD를 이용한 KVLCC1의 Circular Motion Test 시뮬레이션 (Circular Motion Test Simulation of KVLCC1 Using CFD)

  • 신현경;정재환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377-387
    • /
    • 2010
  • In this study, the turbulent free surface around KVLCC1 employed in the circular motion test simulation is numerically calculated using a commercial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de, FLUENT. Also, hydrodynamic forces and yaw moments around a ship model are calculated during the steady turning.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turbulent flows with free surface around KVLCC1 have been carried out by use of RANS equation based on calculation of hydrodynamic forces and yaw moments exerted upon the ship hull. Wave elevation is simulated by using the VOF method. VOF method is known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numerical techniques handling two-fluid domains of different density simultaneously. Boundary layer thickness and wake field are changed various yaw velocities of ship model during the steady turning. The calculated hydrodynamic forces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model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