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jo poe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불구동물 등장 시조와 "청(靑)개고리 복질(腹疾)하여 주근 날 밤$\sim$"의 해석 (Interpretation of Shijo poems which featured handicapped animals and "The night a green frog ached its stomach to death")

  • 이영태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30집
    • /
    • pp.301-318
    • /
    • 2009
  • 이 글은 불구동물이 등장하는 시조의 특성에 기대 "청(靑)개고리 복질(腹疾)하여 주근 날밤$\sim$"을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조에 동물이 등장하는 경우는 흔하지만 이것이 불구상태에 있는 것은 드물다. 흔히 이런 시조에 대해 당대의 부조리한 상황과 결부해 읽어내려는 경향이 있지만 사설시조를 이해하기 위한 전제에 기댔을 때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사설시조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불구동물이 등장하는 시조는 '진지한 발화'가 아니라 '허튼소리'가 진술되는 단계에서 가창된다. 신체가 멀쩡한 자들이 흉내낼 수 있는 기형은 어떤 것이건 희극적이기에 자신의 불구를 망각한 개구리, 두꺼비, 개미의 행동은 가창공간에 있던 참석자들에게 희극적으로 기능한다. "청(靑)개고리 복질(腹疾)하여 주근 날 밤"(#2834)에서 청개구리의 죽음은 단순한 죽음이 아니라 #3160에 등장한 새끼 개구리이거나 혹은 공간의 분위기를 이미 저해했던 참가자가 가창공간에 참석하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결국 가창공간의 여러 정황을 고려했을 경우, 불구동물 등장 시조는 교훈적이거나 비판적 시각과 관련된 게 아니라 공간의 분위기를 유지 고조시켰던 노래라 할 수 있다.

  • PDF

콘텐츠를 위한 한ㆍ불 정형시가 낭송법의 비교 고찰 (A study of reciting the formal poetries of Korea and French in digital era - Shijo(Korean verse) vs Sonnet (French))

  • 이산호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19권1호
    • /
    • pp.85-106
    • /
    • 2003
  • 본질적으로 입으로 소리내어 읊조리고 청각으로 감상하기 위해 만들어지고, 일정한 형식 안에서 음성의 조화와 운율의 음악성을 중시한 소네트와 시조의 표현형식은 전반적으로 기의signifie와 관련하여 고찰되어야 한다. 보들레르의 <깨진 종>과 김종서의 <삭풍가>을 표현형식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시적 자아의 정서는 표현형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소네트나 시조는 의미, 율격, 각운, 음성구조, 리듬 등 여러 개별적 요소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이 모든 요소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는 통일된 유기체이다.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낭송법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시를 콘텐츠화 하여 유통방식의 변화를 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그 자체가 표현가치를 가지는 표현형식은 낭송에 있어서 최우선 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기본원리이다.

  • PDF

현행 가곡의 사설시조 가창 양상 (Saseol-sijo singing aspect of current Gagok)

  • 김영운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43권
    • /
    • pp.5-39
    • /
    • 2015
  • 시조는 조선 후기 한국의 문학작품 중 단형시가를 대표하는 문학 장르이다. 시조의 기본형식은 3장 6구 12음보의 형식을 갖춘 평시조로, 평시조 한 수의 노랫말은 45자 내외의 길이를 지닌다. 그러나 시조의 한 종류인 사설시조는 노랫말의 글자 수가 많이 늘어나 100여 자를 넘는 작품도 있다. 이 같은 사설시조 중에는 한문 어휘를 많이 사용하고, 심지어는 한시에서 몇몇 구절을 차용한 '엄숙하고 우아한 느낌'의 작품도 있으나, '외설스럽고 노골적인 내용'의 작품도 많이 있다. 문학작품인 시조는 가곡과 시조창이라는 성악곡의 노랫말로 사용되는데, 동일한 시조시가 가곡과 시조의 노랫말로 활용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그러나 성악곡인 가곡 중에서 사설시조를 노랫말로 사용하는 악곡 중에는 '외설스러운 작품'은 거의 부르지 않고, '엄숙한 느낌'의 노래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전승되는 가곡 중에서 사설시조를 노래하는 악곡은 대부분 '엄숙하고 우아한 느낌'의 노랫말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외설적이고 노골적인 내용'의 사설시조를 가곡에서 노랫말로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러한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불규칙하게 늘어나는 노랫말과, 그에 따르는 반주 때문으로 보인다. 가곡은 악보에 기록되어 전하는 정해진 선율을 다수의 악기가 반주 한다. 따라서 사전에 선택된 노랫말에 따라 일정하게 만들어진 노래선율과 반주선율에 의하지 않으면 연주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문학작품의 감상은 개인적인 독서활동을 통하여 사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가곡은 다수의 인원이 열린 공간에서 공개적인 연주를 통하여 연행하는 것이다. 특히 조선 후기의 사회적 제도와 관습 속에서 신분이 다른 남녀가 함께 모여 외설스럽고 노골적인 노래를 부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 글을 통하여 사설시조의 문학적 특성으로 일컬어지던 서민적이고 통속적인 성격은 가곡으로 불려진 사설시조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PDF

새로 발굴한 고시조집 "고금명작가" 연구 (A Study of Newly Discovered Old SI-JO Anthology, $\lceil$GOGEUMMYEONGJAKGA$\rfloor$)

  • 구사회;박재연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1집
    • /
    • pp.47-76
    • /
    • 2004
  • 최근에 발굴된 $\lceil$고금명작가$\rfloor$는 황색 고정지에 기록된 필사본 고시조집이다. $\lceil$고금명작가$\rfloor$는 조선 영조 17년인 1740년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 필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바, 시조사적으로도 초기시조집에 해당된다. 필자의 조사에 의하면 이 시조집에는 78수의 시조가 실려 있는데 그 중에서 9수는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들이다. $\lceil$고금명작가$\rfloor$에 실려 있는 시조 작품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조집에서는 다른 시조집에 비하여 한자를 피하고 국문위주의 표기법을 고수하고 있는데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기의 국어학적 특징을 보인다. 둘째, 이들 시조 작품들은 다른 시조집의 작품과 비교하여 이본적 가치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어휘와 어구가 바뀌거나 초장이나 종장 자체가 달라지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이다. 셋째, 새로 발굴한 시조 9수 중에서 2수는 중국 악부의 일종인 <대풍가>와 <해하가>를 시조로 바꾼 것이다. 그런데 한시가 아닌 낙부를 시조로 개작한 작품이 선정된 것은 시조집 편찬자가 시조와 악부가 지닌 노래와의 상관성을 놓치지 않고 헤아렸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들 9수 중에서<9>와 <10>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화답가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