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gella sonnei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산초 정유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장미란;서지은;이제혁;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6-213
    • /
    • 2010
  •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against four Gram-positive bacteria and six Gram-negative bacteria wer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s was determined using the agar-well diffusion assay,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MBC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In particular, essential oil from Z. schinifolium show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than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Essential oil from Z. schinifolium displayed large inhibition zones especially against Bacillus cereus (31 mm). At concentrations between 0 and $20\;{\mu}g/mL$ the oils showed an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both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against nine bacteria ranged from 1.25 to $5\;{\mu}g/mL$.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values against eight bacterial ranged from 2.5 to $20\;{\mu}g/mL$, except Shigella sonnei. Furthermore, our finding on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validated the use of this plant for medical purposes.

약용식물 추출물의 기능성 검토

  • 박찬성;박추자;전귀향;김동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46.2-147
    • /
    • 2003
  •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식품 제조시에 첨가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4종류의 약용식물을 추출하여 각 식물의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골담초, 당귀, 목통, 초피의 나무 줄기를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동결 건조한 후 항균작용,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각 시료의 물과 에탄올추출물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은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억제 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골담초와 당귀의 에탄을 추출물은 2% 이상의 농도에서 그람양성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각 시료 물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500ppm이상의 농도에서 모두 6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각 시료의 에탄을 추출물은 목통과 초피가 300ppm에서 70% 이상의 전자공여능으로 물추출물보다 우수하였고 골담초는 물추출물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당귀는 물추출물보다 낮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각 시료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추출 1,000ppm, pH 1.2에서 당귀 38%, 골담초 40%, 목통35%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초피가 50%로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각 시료에탄을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당귀와 골담초가 물추출물보다 약간 낮은 소거능을 나타낸 반면에 목통과 초피는 물추출물보다 높은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초피는 1,000ppm pH 1.2에서 66%의 우수한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다.

  • PDF

선학초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손미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2호
    • /
    • pp.112-1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선학초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선학초를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수용성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선학초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Pseudomonas Aruginosa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과 자소엽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cillus Ce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 배양액에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때, Bacillus Ce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almonella Enteritidis 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은 Bacillus Ce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선학초의 petroleum ether 추출물은 각종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천연 식품보존제 개발의 신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황련 추출물의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Plagiorhegama dubium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

  • 배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8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온 황련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황련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황련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황련의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S. aureus와 E. coli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황련의 methanol 추출물과 백화사설초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련의 methanol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aureus 및 E. coli의 배양액에 황련의 methanol 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E. coli이 생육이 60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aureus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황련의 methanol 추출물은 S. aureus와 E. coli이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중독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천초근 추출물의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Rubia akane Nakai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장혜정;정정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9-394
    • /
    • 2005
  • 약리실험 결과 강심작용, 지혈촉진작용, 항균작용, 항암작용 등이 밝혀진바 있는 천초근을 이용하여 항균성 및 천연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색하여 보았다. 먼저 천초근의 뿌리성분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aetate, methanol 및 증류수를 이용하여 항균성분을 추출하여 9종의 식중독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 Escherichia coil, Salmonella Typhi,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추출물의 농도를 250ppm, 500 ppm, 1,000ppm으로 달리하여 disc method로 실험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um애서 아주 약한 clear zone이 형성되긴 하였으나 거의 모든 균에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clear zone이 형성된 균은 Pseudomonas aeruginosa였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비례하여 항균효과가 크게 드러났다. 또 methanol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ethylacetate, chloroform, petroleum ether, 증류수 순이었다.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난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과 또 다른 겨우살이 추출물을 사용한 상승효과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결과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cereus와 그람 음성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상승적인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이 Bacillus ce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해 본 바 천초근 추출물의 농도가 진해짐에 따라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더 두드러지게 증식이 억제되었다. 또 72시간 동안 그 성장 억제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 마포구 관내 어린이집 및 초등학교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 (Outbreak of Shigellosis Occurred in a Preschool and Two Elemetary Schools in Mapo-Gu, Seoul)

  • 박태수;이호준;김수연;이동우;김재윤;백지나;박유미;박미선;이복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1호
    • /
    • pp.71-77
    • /
    • 2006
  • 목 적 : 세균성 이질은 1998년 이후로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그 발생이 주로 집단시설 생활자, 학교 단체급식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을 통해 발병양상과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0월부터 11월 사이에 국립의료원 소아과에 입원했던 세균성 이질환자 및 유사환자 모두 32명 대상으로 감염원, 역학, 미생물 검사 및 PFGE 검사를 하였다. 결 과 남아가 17명, 여아가 15명으로 환아들의 연령은 생후 5개월부터 12세까지 연령분포를 보였으며 평균나이는 6.5세였다. 임상 증상은, 설사는 이질환자에서 22명 유사환자에서 7명, 열은 이질환자에서 18명, 유사환자에서 3명, 무증상인 경우도 이질환자에서 1명, 유사환자에서 1명 있었다. 임상증상 지속시간은 대개 3~4일 정도로 짧았고, 직장채변 대변배양검사에서 모두 S. sonnei가 배양되었고 ampicillin, streptomycin, gentamicin, nalicidic acid, TMP/SMX에 내성을 보였으며 3세대 cephalosporin에 감수성을 보였다. 환아들의 치료는 전해질 및 수분공급의 보존적 치료와 함께 3세대 cephalosporin으로 항생제 치료를 병행한 후,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직장채변 대변 배양검사에서 이질균 음성으로 나왔다. 이번의 세균성 이질의 집단 유행에서 관내 어린이집의 음식물 검사 및 음용수검사 등에서 감염원은 찾지 못하였다. 세균성 이질로 확진된 24례의 환자 중 3세대 cephalosporin에 감수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3례에서 cefixime 투여 후에도 직장채변 대변배양검사에서 계속 균이 배양되어 Imipenem으로 대체하여 6일간 투여 후 시행한 연속 3회의 대변배양검사에서는 이질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결 론 : 서울시내 세균성 이질균의 집단 발병의 감염원은 발견되지 않았고, 어린이집과 2차 감염에 의해 초등학교 및 그 가족으로 전파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며, 항생제 감수성 검사와 PFGE 결과에 의하면 같은 균주로 판명되었다. 환아들은 3세대 Cephalosporin 치료 후 대부분 호전되었고 3례만 Imipenem을 추가로 투여하여 치료하였다.

  • PDF

천연물을 이용한 살균 및 살바이러스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timicrobial & Antiviral Effect of Natural Product)

  • 라정찬;이종은;송대섭;권남훈;박봉균;박용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3-188
    • /
    • 2003
  • 식중독 원인균인 S. aureus, E. coli O157:H7, S. typhimurium, S. enteritidis, L. monocytogenes, 장티프스 원인균 S. typhi, 패혈증 원인균 V. parahaemolyticus, 세균성 이질 원인균 S. sonnei를 $20^{\circ}C$에서 30분간 $그리존^{TM}$과 접촉시킨 결과 최소 3배 희석액부터 최대 24배 희석액에서 최대 24배 희석액에서 균에 대한 살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존^{TM}$ 3배 희석액을 이용하여 30초, 1분, 5분간 균과 접촉시킨 결과 S. aureus만 제외하고 모두 30초에 100% 살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존^{TM}$을 이용하여 사스의 원인체와 동일한 바이러스인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과를 본 결과 제품의ㅣ 5배 희석액까지 유효간 살바이러스 효과를 보였다. 사람과 접촉이 많은 애완견 바이러스인 파보바이러스 (CPV), 디스템퍼바이러스 (CDV)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 유기물과 경수 등의 악조건에서도 바이러스를 살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존^{TM}$을 이용한 회와 냉장육 등에서의 적용 시험결과 미생물 생육이 현저히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체소내의 미생물에 대한 살멸효과 시험에서도 미생물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대장균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리존^{TM}$은 세균, 바이러스의 살멸에 탁원한 효과를 보이며, 음식물에 직접 처리할 시에도 그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되었다.

마늘 중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알린의 분리 및 정량과 Alliin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Isolation of Alliin in Garlic and Its Quantitative Determination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orts of Alliin and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Garlic(Alliium sativum L.))

  • 위성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6-302
    • /
    • 2003
  • 본 연구는 마늘속에 alliin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함량을 알고 이들이 에탄올추출물에 향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했다. HPLC를 이용하기 위하여 메탄올로 Alliin을 추출하고 유해세균에 대한 향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lliin을 에탄을 추출물 시료를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마늘에는 alliin의 함량은 0.34 ∼0.73% fresh weight를 나타내고 에탄을 추출물의 시료에서 동결건조 시료수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효소적 분해가 최소화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탄을 추출물의 향균효과는 Table 3에서 각 균주에 대하여 억제효과는 각 균주에서 50∼80% 효과를 보았고, 각종 균에 대한 억제차원에서 향균성을 달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해세균에 대한 향균작용이 마늘 추출물은 미생물의 발육저지력이 강하고 지속적으로 인체에 무해하므로 보존료 개발이 바람직함을 알았고, 독특한 향미를 주는 황화합물이 많아 산도의 증가와 관계없이 항균력이 강함을 보았고, 각종 균에 대한 항균성을 달리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마늘성분중 선택적인 항균물질의 개발이 요구됨을 알았다.

장내 병원균의 하수중 생존 상태에 관한 연구 (Survival Studies of Some Enteric Pathogens in Sewage)

  • 노일협;공인귀
    • 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3-41
    • /
    • 1978
  • In order to study the growth and survival of enteric pathogens causing water-borne infections in sewage, the filter-sterilized and autoclaved sewages of Dae Gu City were inoculated with Salmonella typhimuriuim, Shigella flexneri 2a, Sh. sonnei I, Vibrio eltor and V. parahaemolyticus, as test series and Escherichia coli as control. After varying periods of incubation up to 15 days at $4^{\circ}$, $15^{\circ}$, $25^{\circ}$ and $37^{\circ}C$, viable cells in the inoculated sewages were counted by colony count technique. Distilled water and 0.9% saline were subjected to inoculation of the organisms was observed in the filter-sterilized and autoclaved sewages at $4^{\circ}$ and the sewages became sterile within a few days. At $15^{\circ}$, no growth and rapid inactivation of the organisms in the filter-sterilized sewage and slight or no growth in the autoclaved sewage was noted. Some viable cells were found in the autoclaved sewage after 15 days. A considerable growth was observed in the filter-sterilized and autoclayed sewages, at $25^{\circ}$ and $37^{\circ}$, and large numbers of viable cells were found even after 15days of incubation. In general, the autoclaved sewage supproted the growth more noticeably than the filter-sterilized, except for V.parahaemolyticus which grew well in filter-sterilized sewage. No marked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incubations at $25^{\circ}$ and $37^{\circ}$, but V. parahaemolyticus showed a slightly more active growth at $25^{\circ}$ than at $37^{\circ}$. Distilled water inactivated the organisms within a few days, but saline supported the growth at $25^{\circ}$ and $37^{\circ}$. Marked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survival test of sewages pathogens of different origins.

  • PDF

성주군 S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서 집단 발생한 세균성 이질에 관한 역학조사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n an Outbreak of Shigellosis in Seongju-gun, Korea, 2003)

  • 민영선;이관;임상혁;이복순;임현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2호
    • /
    • pp.189-196
    • /
    • 2005
  • Objectives: An outbreak of shigellosis occurred among students and staff of S primary and middle school, Seongju-gun, in 2003.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institute an effective counterplan, and study the infection source and transmission of the shigellosis. Methods: The author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235 students and staff from S preschool, primary and middle school relating to the ingestion of school lunch and the manifestation of symptoms. Also, the author investigated the drinking water, feeding facility and reconstructed cooking process of the food presumed to be the cause of the shigellosis. The diarrhea cases were defined as confirmed cases and those cases who had had diarrhea more than one time, accompanied with symptoms such as fever, vomiting and tenesmus. Results: From rectal swabs 20 people, between June 28 and July 4, 2003, were confirmed with shigellosis. The diarrhea attack rate was 40.0%. Those who had ingested tomatoes and cubed radish kimchi had significantly higher diarrhea attack rates (p<0.05), with the relative risk of tomatoes being 2.69 (95% CI: 0.98-7.42). The major cause of shigellosis was presumed to be from contaminated tomatoes due to cooking with rubber gloves containing holes. Conclusion: The cooks in charge of school lunches must make doubly sure to not only attend to their sanitation, but also to manage the table wear and items used in providing school lunches. The health care authority should introduce higher-leveled criteria for health care among cooks, so that they cannot cook when the have a case of any infectiou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