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red Key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8초

ECC 키분배에서 공유키 존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Shared Key Existence of ECC Based Key Distribution System)

  • 이준;박종범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76-482
    • /
    • 2009
  • As a result from Hasse's theorem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share a common key between any two ECC public keys. Even though ECC algorithm is more efficient than any other Encryption's with respect to the encryption strength per bit, ECC ElGamal algorithm can not be used to distribute a common key to ECC PKI owners. Approaching mathematical ways in a practical situation, we suggest possible conditions to share a common key with ECC PKI's. Using computer experiments, we also show that these suggestions are right. In the conditions, we can distribute a common key to proper peoples with ECC ElGamal algorithm.

생체 지문을 이용한 광학 간섭계에 기반한 안전한 개인키 교환 기법 (Secure private key exchange method based on optical interferometry using biometric finger print)

  • 전석희;길상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42-46
    • /
    • 2021
  • 본 논문은 사용자의 개인키로써 생체 지문을 사용하는 새로운 개인키 교환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각각의 사용자의 지문은 광학적 위상천이 간섭 원리에 의해 암호화되어 두 개의 암호문으로 변환되고, 이것은 비밀키 공유를 위해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 사용자와 교환된다. 전송된 암호문은 복소 홀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공유비밀키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제안한 방법은 비밀키 공유 암호화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때 매우 높은 보안을 제공할 것이다.

코드 주입을 통한 OpenSSL 공유 라이브러리의 보안 취약점 공격 (Attacking OpenSSL Shared Library Using Code Injection)

  • 안우현;김형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7권4호
    • /
    • pp.226-238
    • /
    • 2010
  • OpenSSL은 보안 통신 프로토콜인 SSL을 구현한 공개 소스 기반의 라이브러리이다. 하지만, 이 라이브러리는 리눅스 혹은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공유 라이브러리 형식으로 사용될 때 보안 정보를 쉽게 노출할 수 있다는 취약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런 취약점을 공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실행중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공격 코드를 주입하여 SSL 핸드셰이크 단계에서 보안 취약점을 다음과 같이 공격한다. 첫째,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지원 가능한 암호 알고리즘의 목록을 전송할 때 그 목록의 모든 알고리즘을 임의로 지정한 알고리즘으로 교체한다. 이 교체는 암호 알고리즘의 목록을 수신한 서버로 하여금 지정한 암호 알고리즘을 선택하도록 한다. 둘째, 암복호화에 사용되는 암호 키를 생성 과정에서 가로채고, 그 암호 키를 외부 공격자에게 전송한다. 그 후 외부 공격자는 지정한 암호 알고리즘과 가로챈 암호키를 사용하여 송수신된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실현성을 보이기 위해 본 논문은 리눅스에서 OpenSSL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ftp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송하는 암호화된 로그인(login) 정보를 가로채 복호화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Towards Robust Key Extraction from Multipath Wireless Channels

  • Shehadeh, Youssef El Hajj;Alfandi, Omar;Hogrefe, Dieter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4권4호
    • /
    • pp.385-395
    • /
    • 2012
  • This paper tackles the problem of generating shared secret keys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channel. We propose intelligent quantization mechanisms for key generation, achieving high secret bits generation rate. Moreover, some practical issu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key generation mechanism are deeply investigated. Mainl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lay and mobility on the performance and we enhance the key generation mechanism accordingly. As a result,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towards robust key generation from multipath wireless channels.

그룹키 관리를 위한 키트리 모델 (The Key Tree Model for Group Key Management)

  • 한근희;정태의;윤여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837-840
    • /
    • 2000
  • For secure communications in using multicast applications such as Cable-TV, It is essential for us to manage shared keys to encrypt/decrypt data through crypto algorithm as DES, which is called Group Key Management. In GKM, It is a hot issue that reduces the number of join/leave operation and subgroup key in key tree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optimized mechanism of group key management required for providing multicast security.

  • PDF

인증된 양자 키 분배 프로토콜 (Authenticated quantum key distribution protocol)

  • 이화연;홍창호;이덕진;양형진;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9-5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Greenberger-Home-Zeilinger(GHZ) 상태론 이용하여 키 분배와 인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인증된 양자 키 분배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 프로토콜에서 공유되는 키는 정직한 중재자에게는 노출되지 않으며 완전한 안전성이 보장된다. 제안된 양자 키 분배 프로토콜은 기존의 양자 키 분배 프로토콜이 지니는 안전성을 그대로 확보하면서 기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에 대한 신뢰를 추가로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지며, 실험적으로도 기본적인 양자 연산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쉽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A Provable Authenticated Certificateless Group Key Agreement with Constant Rounds

  • Teng, Jikai;Wu, Chuanku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4권1호
    • /
    • pp.104-110
    • /
    • 2012
  • Group key agreement protocols allow a group of users, communicating over a public network, to establish a shared secret key to achieve a cryptographic goal. Protocols based on certificateless public key cryptography (CL-PKC) are preferred since CL-PKC does not need certificates to guarantee the authenticity of public keys and does not suffer from key escrow of identity-based cryptography. Most previous certificateless group key agreement protocols deploy signature schemes to achieve authentication and do not have constant rounds. No security model has been presented for group key agreement protocols based on CL-PKC. This paper presents a security model for a certificateless group key agreement protocol and proposes a constant-round group key agreement protocol based on CL-PKC. The proposed protocol does not involve any signature scheme, which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protocol. It is formally proven that the proposed protocol provides strong AKE-security and tolerates up to $n$-2 malicious insiders for weak MA-security. The protocol also resists key control attack under a weak corruption model.

Controller Backup and Replication for Reliable Multi-domain SDN

  • Mao, Junli;Chen, Lishui;Li, Jiacong;Ge, Y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12호
    • /
    • pp.4725-4747
    • /
    • 2020
  •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romising paradigms in the future. To solve the scalability and performance problem that a single and centralized controller suffers from, the distributed multi-controller architecture is adopted, thus forms multi-domain SDN. In a multi-domain SDN network,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ensure a reliable control plane.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reliability problem of multi-domain SDN against controller failure from perspectives of backup controller deployment and controller replication. We firstly propose a placement algorithm for backup controllers, which considers both the reliability and the cost factors. Then a controller replication mechanism based on shared data storage is proposed to solve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ctive and standby controllers. We also propose a shared data storage layout method that considers both reliability and performance. Besides, a fault recovery and repair process is designed based on the controller backup and shared data storage mechanism. Simulations show that our approach can recover and repair controller failure. Evaluation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posed backup controller placement approach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methods.

모바일 키 및 RCU에 기반한 공유공간 출입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n Sharing Space Acc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bile Key and RCU(Room Control Unit))

  • 정상중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02-208
    • /
    • 2020
  •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공유공간의 이용 부분에 대하여도 확대되고 있다. 공유공간 출입관리에 언텍트 체크인 기술을 이용하면 대기시간을 감소시키며, 근무자의 효율을 최적화함에 따라서 운영비 절감효과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키 및 RCU(Room Control Unit)에 기반한 공유공간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여 모바일 키를 사용하여 시설에 대한 출입을 진행하고, RCU를 사용하여 시설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안한다. 제안시스템은 공유 숙박, 임대 분야(레지던스, 분양형 호텔), 공유 오피스 등을 대상으로 특정 요일과 시간에 일회성 방문자가 있는 경우, 그에 맞는 비밀번호를 모바일 플랫폼 기반으로 전달함으로써 기존 비밀번호에 대한 노출 및 열쇠 전달 등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현장적응형 시스템으로 지원한다. 제안 통합시스템의 동작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자의 예약, 입실, 퇴실 등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시나리오에 따라 테스트를 시행하였으며, 테스트의 신뢰성을 위해 성능지표를 설정하여 각 항목에 대한 100%의 성공률을 도출하였다.

공개키를 적용한 S/KEY 기반의 안전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A S/KEY Based Secure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Public Key Cryptography)

  • 유일선;조경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6호
    • /
    • pp.763-7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S/KEY 인증 프로토콜과 YEH와 SHEN, HWANG이 제안한 인증 프로토콜의 문지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마트 카드를 적용한 S/KEY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프로토골은 SEED를 공유 비밀키로 적용하는 이들의 인증 프로토콜과 달리 공개키를 통해 S/KEY 인증 프로토콜을 개선하였다. 따라서 제안 프로토콜은 공유 비밀키 없이 서버를 인증하고 세션키를 분배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암호 구문대신 임의로 생성된 강력한 비밀키를 적용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사전 공격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안 프로토콜은 사용자의 비밀키 혹은 기타 비밀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지 않는 S/KEY 인증 프로토콜의 장점을 충실하게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의 붕괴로 인해 사용자 로그인 정보가 유출되는 최악의 경우에도 유출된 정보를 통한 각종 공격에 대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