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re of receivabl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선원보험 유형에 따른 진료비발생 및 미수금실태 (Accrual Medical Expenses and Actual Situation of Medical Receivable According to The Type of Seamen's Insurance)

  • 박은하;황병덕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e data for an efficient management of medical expenses at the hospital management by doing grasp of status of medical expenses from seamen's insurance by voluntary agreements. A Object of study is analyzing the data of medical expenses occurred from the total number of 2,699(inpatients 507, outpatients 2,192)cases who were covered by seamen's insurance at a general hospital which is located in Pusan Metropolitan City during 48 months from January 1, 2009 to Dec 31, 2012.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rual medical expenses are the ship management companies member of P&I insurance is the most highest but share of receivables are the Korean ocean-going companies member of P&I insurance is the most highest, therefore, Korean ocean-going companies focus strictly than the payments from accounts receivable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to reduce the occurrence and concerning the turn around period of medical receivables are 4 months to 6 months during a research period. Therefore, it will be needed for managers of hospitals to prepare differentiated manag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 insurer and to have recovery strategies of uncollected medical expenses.

  • PDF

기업의 시장점유율에 따른 신용거래와 기업수익성간 연관성 (The Effect of Trade Credit on Corporate Profitabil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porate Market Share)

  • 이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07-2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단기재무의사결정 중 하나인 매출채권관리가 기업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관성이 비선형적 관계에 있는지 분석하여 기업수익성을 극대화시키는 최적 매출채권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군을 독점기업군으로 시장점유율이 낮은 기업군을 경쟁기업군으로 분류할 때 매출채권과 기업수익성간 연관성의 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업인 제조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간동안 재무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분석대상 기업들은 불균형 패널자료로 연도별로 270개에서 463개의 기업들로 총 6,632개의 표본수로 구성된다. 기업의 거래 신용인 매출채권과 기업의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영업이익률(ROA)간에는 양(+)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간에는 비선형의 관계인 역U자형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매출채권을 일정수준까지 보유하면 수익성이 높아지지만 그 수준을 초과하여 보유하면 오히려 수익성이 감소할 수 있는 최적 매출채권 수준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시장점유율이 시장평균보다 높은 독점기업의 경우 매출채권과 수익성간의 연관성이 시장점유율이 평균보다 낮은 경쟁기업군의 연관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들은 Titman(1984)이 제시하였던 기업의 이해 관계자인 구매자(소비자)와의 거래관계가 기업의 수익성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