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pe of the Tree Crow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스키타이계(係) 복식(服飾)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cythian costume)

  • 김문자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4호
    • /
    • pp.204-220
    • /
    • 2007
  • The background of Korean Ethnical Costume was originated from those northern mounted nomadic groups, which was Scythe style Costume Culture. Through the antique records and paintings of tombs bequests hereby describe the forms of Scythian Cotume (1) Headgear : There was Conical Cap(or Pointed Cap), Feathered Cap, and Crown. (2) Clothes : Both Men and Women wore Jacket as upper garment with leftsided collars, narrow sleeves to the length of the hip line. As lower garment, they wore the tight Trousers and Kungo(:窮袴)that was attached with gusset. (3) Belts and Boots : On the upper garment bound the leather Belts that was hanged a hook that was shaped of animal form at the end. Scythian Buckles was divided into six groups, animal-shaped, animal's head shaped, animal fight-shaped, rectangle-shaped, rectangle openwork-shaped, genre scene shaped Buckle. To the Boots, they wore leather boots. (4) Ornaments : Ornaments divided into Dress Trimming(:Gold plaques), Earrings, Necklaces(;Torques), Bracelets, Rings. Scythian Gold Plaques we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 shape, animal style(curved beast shape, profile shape, head reversed over its back shape), round shape, quadrilateral form, star shape, flower shape, crescent shape, bundle shape, human appearance. Earrings consisted of a plain ring and pendant ring was a middle ornament hung from it to a pendants which hung was made of heart shaped leaves of the tree, beads-linked. Scythian Torques we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 shape, Torque with Terminal style, Spiral style, Layers style, Crescent-shaped pectoral style, Crown style. Scythian Bracelet were divided into 4 styles according to the shape, Bracelets with ends shaped like beasts style, Spiral style, Layers style, Crown with openwork style. Rings were rhomb-shaped and animal shaped styleRings (5) Animal motifs used in Scythian ornaments appears that in some cases the work was intended to be purely ornamental, while many times the motifs had symbolic meaning (such as the successful dominance of the aggressor over the victim portrayed in the attack scenes). Magical use of symbols may have been inten-ded to guarantee the power of the aggressor.

흑백사진상(黑白寫眞上)의 수종식별(樹種識別) (Photo - Interpre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ree Species on Panchromatic Film)

  • 심종섭;한갑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90-193
    • /
    • 1982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ncouraging for the development of a set of interpretable diagnostic criteria for a reasonably reliable identification of some species. The present study has been limited in the characteristics studied and was made on relatively poor photography. Further study on high quality photography, over wider areas and including such additional characteristics as crown texture and shadow intensity should prove useful. A preliminary examination has been made of some photo-image characteristics of a number of important tree species on large scale (1:9,000) contact prints of panchromatic mm. The characteristics studied were crown image tone, and shape. Image tone was estimated against a standard grey-scale and shows within-species consistency and a range between species. Crown shapes were subjectively assessed but there appears to be a within-species consistency and interpretable between-species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trial suggest that it should be practicable to make a number of important species distinctions by photo-interpretation with a useful degree of reliability. Other characteristics beside those studied might be usefully examined. Photography: Hand-printed glossy contact prints of vertical 1:9,000 scale panchromatic photography of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flown May 1964. The filter used is unknown (probably minus-blue). The camera is unknown but was probably a military type K-17 or K-22 with 6"(apostfophy) lens. The photography shows notably poor resolution. Species: 143 individual trees ranging through 11 species (7 softwood, 4 hardwood) were included in the study. A range of size classes were included for each species.

  • PDF

수목생육 조건을 고려한 조경수목과 아파트 건물의 최소 이격거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Landscape Trees and Apartment Buildings)

  • 장하경;안근영;이은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inimum distance needed between landscape trees and apartment buildings. in order for the trees to grow soundly and maintain constant grow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green-spaces contiguous to apartment buildings and the tree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The following general problems were identified : (1) the tree growth conditions, (2) the planting intervals, and (3) the planting methods in the apartment complex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reas, measure the trees and analyze the results. Ten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Seoul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greens contiguous to the building of each apartment complex, the green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the front greens, the side greens, and the rear greens. The study surveyed the width of all contiguous greens and the distance from trees to my given building. Four representative sites were specifically investigated to measure the crown widths, heights, and diameters of the trees. These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over 3 months from August to December 200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eens are narrower in width and the more closer to a building. The study identified a correlation between the tree and the passage of time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of an apartment complex, showing that the malformation of the trees worsened as time pass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right crown and left crown width with the tree trunk as the center, a broad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oniform trees and trees that tend to branch out more.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Acer palmatum is 1:6. However, the ratio of the Metasequoia glyptostroboide is 1:1.7. Based on the overall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maintained minimum width must be greater than one meter over the green space according to the 'Landscape Standard 2000'. However, that is only applicable to case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that present no obstacles. In conclusion having greens placed within one meter of width to a building is not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the healthy growth of trees. To create sound green spaces, sustainable, long-term growth rate and size should be consider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new standards for the computation of planting trees and the measurement of square landscapes. Wall greenery and shrubberies could be an alternative in the case of a narrow-width green space.

고창 구시포 해안 곰솔림의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Gochang-Gun)

  • 박종민;김성원;박성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5-375
    • /
    • 2009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구시포해수욕장 주변에 위치한 곰솔 방풍림을 대상으로 곰솔림의 생장특성을 조사 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곰솔림의 토양은 모래의 함량이 많은 사토이고, 약산성(pH 5.73)이며, 토양염분농도는 1.42dS/m이다. 곰솔의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형상비(수고/흉고직경)는 저밀도 임분, 중밀도 임분, 고밀도 임분의 순으로 양호하였고, 절간생장량은 고밀도 임분일수록 많았다. 특히 저밀도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수관폭이 크고, 형상비 60 이하인 수목의 비율이 많았다. 이것은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수목이 건전하게 생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많은 수목이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져 생육하고 있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수목이 생장 초기 단계에 바람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일부는 태풍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목의 기울기 방향의 분포율이 이 지역의 주풍방향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지역의 모래언덕과 곰솔림 내부에는 총 81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으며, 목본식물(24분류군)보다 초본류(57분류군)가 더 많았다. 사구식물의 경우 모래언덕이 잘 발달해 있는 명사십리 구역에는 10종류가 출현하였는데, 방파제 축조로 인해 모래언덕이 형성되지 않은 구시포해수욕장 구역은 3종의 사구식물만이 간헐적으로 출현하였다. 이 지역의 곰솔림이 건전하게 성장하고 유지되어 해안방풍림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고밀도와 중밀도 임분에 대한 적정한 간벌이 필요한 상태이다.

도시공원 조경수목 식재 평가 및 평가등급 적용 방안 - 인천광역시 송도 해돋이공원을 대상으로 - (Planting Evaluations for the Landscaping Tree and Application Plan by Assessment Grade in the City Park - A Case Study of Haedoji Park, Songdo, Incheon Metropolitan City -)

  • 한봉호;조훈검;곽정인;박석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7-471
    • /
    • 2014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송도 해돋이공원의 공간기능에 따른 식재개념 적정성 검토, 식재구조 현황, 공간별 식재된 수목에 대해 형태평가와 생육평가를 통해 현재 식재되고 있는 조경수목의 형태 및 생육상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평가 적용 체계를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공간기능에 따른 식재개념 적정성 평가 결과 녹음기능이 필요한 공간 중 29.5%만 녹음식재지이었고, 58.7%는 시각적 경관식재지, 11.8%는 완충식재지이었다. 이는 시설물 중심 공간구성에 따른 식재면적 부족과 녹음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어린 수목을 식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구조 현황에서는 식재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각 식재개념에 따른 적정한 식재종, 식재 구조, 밀도, 규격, 생육상태 등을 고려한 식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경수목 평가 조사는 완충공간에서 22종 209주, 녹음공간에서 8종 71주, 시각적 경관공간에서 16종 266주, 생태적 경관공간에서 4종 54주로 총 28종 600주의 조경수목을 대상으로 수목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목평가 결과 수목 형태평가 점수는 평균 56.6점, 수목 생육평가 점수는 평균 76.0점으로 평가되었다. 수목평가 점수는 모두 점수별로 등급화하였고 공간별, 수종별로 통계처리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공간기능별 수목 기준 도출 및 적정 식재개념을 적용하였다. 공간별 수목 형태평가 결과를 식재개념에 적용하면 완충식재는 기능성이 강조되므로 형태평가 등급이 가장 낮은 E등급, 생태적 경관식재는 다양성과 자연성이 강조되므로 D등급, 녹음식재는 이용성이 강조되므로 주간에서 분지된 가지의 높이를 고려한 수종 선택으로 C등급, 시각적 경관식재는 미적가치성이 강조되므로 A등급과 B등급을 각각 적용할 수 있었다. 공간별 수목 생육평가 결과를 식재개념에 적용해 보면 식재기반을 기준으로 양호와 불량으로 구분하여 완충식재, 시각적 경관식재, 생태적 경관식재에서는 생육평가 A등급부터 E등급까지 식재가 가능하였고, 녹음식재에서는 A등급부터 C등급까지 식재가 가능하였다.

조경식물의 학명에서 종명의 어원 연구 (Etymological Study of Species in Scientific Names of Landscape Plants.)

  • 최상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1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inguistic origin of the species manes of landscape plants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through the botanical names. This study includes the plants that are possible to use as landscape material as well as both the native and foreign plants that are already used. Name of Species of Scientific name in Landscape plant be derived from region or nations of habitat, botanist, plant explors, and their sponser, and plant form and number of leaves or flowers, character or ingredient of plants and shape of stem, tree crown form. In this paper, about 300 species(contains varieties, formas) are interpreted into etymological meanings.

  • PDF

대추나무 '천황'의 수령에 따른 과실품질과 수확량 (Fruit Characteristics and Yield according to the Age of "Cheonhwang" Jujube Trees (Zizyphus jujuba var. inermis))

  • 박성인;김철우;유희원;이욱;안영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48-556
    • /
    • 2022
  • 본 연구는 대추나무 '천황' 품종의 안정적인 결실과 수확량 증진 등 재배관리기술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령(3~7년생)에 따른 생육특성, 과실특성, 결실특성, 수확량 등을 분석하였다. '천황' 품종의 평균 수고와, 수관면적, 근원경, 지하고, 주지수, 주지간거리는 각각 235.9 cm(217.4~253.8 cm), 3.5 m2(3.1~4.1 m2), 5.5 cm(4.0~7.1 cm), 70.6 cm(66.2~72.7 cm), 9.7개(8.6~10.5개), 10.4 cm(7.9~14.2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수령과 수관면적, 근원경, 지하고는 정의 상관을 보인 반면, 주지수는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 결과모지 및 본당 평균 과실수는 각각 17.5개(16.7~18.3개) 와 170.7개(157.9~178.3개)로 나타났다. 수령 간에 결실특성(주지당 결과모지수, 결과모지당 결과지수, 결과지당 과실수, 본당 과실수)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생육면적과 하우스 형태에 맞춰 수형을 일정한 크기로 관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평균 과중, 경도, 당도는 각각 28.6 g(27.7~30.3 g), 29.4 N(28.5~30.4 N)과 20.4 °brix(19.3~21.0 °brix)이었으며, 수령 간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천황' 품종 재배시 기대할 수 있는 본당 평균 수확량은 4.9 kg(4.8~5.0 kg)으로, 수령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추나무 '황실'의 수령에 따른 결실 및 과실특성과 수확량 (Fructification, Fruit Characteristics, and Yield According to Tree Age of Jujube Tree (Zizyphus jujuba var. inermis) 'Hwangsil')

  • 김철우;나민호;박효원;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01-609
    • /
    • 2021
  • 대추나무 '황실'의 고품질 생대추 생산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령(3~7년생)에 따른 생육특성, 과실품질, 수확량 등을 분석하였다. 대추나무 '황실'의 평균 수고와, 수관면적, 근원경, 지하고, 주지수, 주지간거리는 각각 230.8 cm(224.4~247.2 cm), 3.0 m2(2.1~3.8 m2), 4.8 cm(2.4~6.2 cm), 69.1 cm(46.6~78.0 cm), 12.9개(8.6~19.6 개), 8.1 cm(7.4~9.0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 간 상관분석 결과, 수령과 수관폭, 근원경, 지하고는 정의 상관을 보인 반면, 주지수는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 결과모지 및 본당 평균 과실수는 20.0개(14.3~26.3개)와 302.8개(257.3~373. 5개)인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특히 수령과 결실특성(주지당 결과모지수, 결과모지당 결과지수, 결과지당 과실수)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추나무의 수형은 생육면적과 하우스 형태에 따라 일정하게 관리하기 때문이다. 평균 과중은 24.2 g(22.4~26.8 g)이었으며 과실의 경도와 당도는 각각 28.4 N(27.3~30.0 N)과 19.0%(17.1~19.8%)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수령 간에 유의한 차이는 각각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당 수확량은 7.4 kg/본(5.7~9.1 kg/본)으로, 6년생과 7년생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많은 수확량을 나타냈다.

소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V) -인제(麟蹄), 정선(旌善), 삼척집단(三陟集團)의 침엽(針葉) 및 재질형질(材質形質)-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V)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Wood of Injye, Jeongsun, Samchuk Populations-)

  • 임경빈;권기원;이경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25
    • /
    • 1977
  • 소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변이(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해 1971년(年), 1975년(年)에 각각(各各) 3개집단(個集團)을 조사(調査)한데 이어 1976년(年)에 강원도(江原道)의 이제군(麟蹄郡) 기린면(麒麟面) 진동리(鎭東里)(집단(集團) 7)와 정선군(旌善郡) 임계면(臨溪面) 약천리(藥川里) (집단(集團) 8) 그리고 삼척군(三陟郡) 하장면(下長面) 한소리(汗沼里)(집단(集團) 9)에서 각각(各各) 1개집단(個集團)(한 집단(集團)에서 20주(株))씩의 임분(林分)을 택(擇)하였으며 외형적(外形的)으로 우량(優良)하다고 생각되는 임목개체(林木個體)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하였다. 대상임목(對象林木)은 외부(外部)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 침엽(針葉)의 특성(特性), 재질(材質)의 특성(特性)이 조사분석(調査分析)되었고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3개집단(個集團)의 평균임령(平均林齡)은 50~63년간(年間)에 있고 성장(成長)은 비슷하였다. 직관(直觀)으로 판단(判斷)할 때 삼척집단(三陟集團)이 우량수형(優良樹型)을 가진 것으로 생각되었다. 지하고율(枝下高率)은 정선집단(旌善集團)이 0.53으로 가장 높은 값이었고 수관지수(樹冠指數)는 0.91로서 불량(不良)하다고 생각되었다. 삼척집단(三陟集團)은 세지성(細枝性)이라는 점(點)과 분지각(分枝角)이 가장 예각(銳角)이란 점(點)에 있어서 바람직했다. 수관장(樹冠長)은 모두 비슷했다. 2. 지하고대(地下高對) 수고(樹高) 그리고 수관지수(樹冠指數)의 빈도분포(頻度分布)를 보면 집단간(集團間)에 차이(差異)가 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3. 거치밀도(鋸齒密度)는 3개집단(個集團) 모두 약 27로서 집단간(集團間) 유의차(有意差)는 없었고 개체간차(個體間差)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높은 밀도(密度)를 가지는 개체(個體)(40이상(以上)의 것)가 있었다. 기공열수(氣孔列數)와 수지도수(樹指道數)에 있이거도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는 없었고 개체간차이(個團間差異)는 컸다. 4. 수지도지수(樹指道指數)(R.D.I.)에 있어서는 집단(集團)8이 0.074로서 다른 두집단(集團)의 2-3배(倍)의 값을 보였다. 5. 10년단위(年單位) 평균(平均) 연륜폭(年輪幅)의 성장과정(成長過程)은 초기(初期)(30년(年)까지)에는 집단간(集團間)의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그 이후(以後)가 되면서 같은 값에 접근(接近)했다. 6. 평균추재졸(平均秋材卒)에 있어서는 집단간(集團間)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Range에 있어서 차이(差異)가 있었다. 가령 집단(集團)8은 23~30인데 집단(集團)9는 16~36으로 7 : 20의 차(差)를 나타내고 있다. 7. 목재비중(木材比重)은 평균치(平均値)에 있어서 집단간(集團間)의 차이(差異)가 없었고 Range에 있어서도 그러하였다. 수령(樹齡)의 증가(增加)에 따라 비중(比重)은 증가(增加)하나 그 증감(增減)의 과정(過程)은 집단(集團)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다. 8. 가도관장(假導管長)은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가 없고 Range 또한 비슷하고 수령(樹齡)의 증가(增加)에 따라 그 길이가 증가(增加)하고 있었다. 증가경향(增加傾向)의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가 없었다.

  • PDF

동궐도에 보이는 궁궐정원의 조영수법 (A Study on Design Techniques of Palace Gardens presented in Donggwoldo)

  • 진상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37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동궐도" 에 담겨있는 모든 정원 요소를 각 원(院)별로 나누어 세밀하게 살펴봄으로써 궁궐정원의 조영특성 및 수법을 파악 하여 전통계승을 통해 현대 정원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동궐도에 나타나 있는 궁궐정원의 모습을 정원 요소별로 관찰하여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동궐도에 나타나는 정원 요소로 괴석과 연못, 건물과 마당, 경계와 영역, 수목 등이 있으며. 공간에서 확인되는 각 구성요소의 배치특성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입기의 경우 동궐도내의 원(院)은 명당 내부의 최적지를 선택하여 각각의 대지를 기존의 지형과 건물의 용도에 따라 적극적으로 자연을 변형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식재는 궁궐을 조성하면서 기존 수목을 그대로 활용하여 원칙적인 식재 방법이나 수종의 선택 기준은 확인되지 않았다. 대칭식재를 한 점이 특징으로, 이러한 대칭식재 방법은 음양 표시의 작정관(作庭觀)으로 보인다. 수종의 선정에 있어서는 상징적 의미가 강한 수종을 선택하여 식재하였다. 지당은 궁궐정원에서 대부분 관념적, 추상적 형태를 상징하는 원형으로 나타나며, 중락(衆樂)의 장소로 빈번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정자를 만드는 형식은 일정하지 않았고, 형태적으로는 삼각,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에서 십자모양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하게 조성되었다. 괴석과 석함은 주로 침전 주위와 동궁처소 그리고 후원에 배치되어 있었다. 화계(花階)는 주로 침전의 후면 및 동궁전, 공주의 처소 등 주로 부녀자의 거처에 나타난다. 취병(翠屛)은 자연과 단절하는 장벽이 아니라 선택적 인입을 하는 체와 같이 자연의 기를 안도하는 의도로 설치하였다. 우리나라의 정원은 구성방식에 있어서 서구나 중국의 경우와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조선시대 궁궐정원은 형식에 있어서는 엄격한 유가적 규범이 적용되었고, 작정 수법은 신선사상을 많이 차용하였다. 그러면서도 소탈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