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nnon diversity index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4초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 수준과의 관련성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 김정연;문수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5호
    • /
    • pp.309-316
    • /
    • 1990
  •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 수준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식품 섭취의 다양성은 대체적으로 열량이나 단백질이 켰으며 비타민 A와 C는 다양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 수준과의 관련성을 각 영양소의 섭취 수준에 따라 Quartile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영양소의 섭취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섭취한 식품의 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칼슘, 철분, 비타민 $B_1$, 나이아신, 비타민 C는 예외를 가지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Shannon & Weaver's diversity index는 섭취 수준에 따라 다양성의 증가가 일관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영양소 섭취 수준을 측정하는데 지방과 같은 영양소는 섭취한 식품의 종류수가 유용하며 칼슘과 같은 영양소는 Nutrient-specific diet diversity index를 이용하여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양소 섭취 수준에 따라 열량 섭취(예외 : 비타민 A, C)와 식이 영양 밀도도 높았다. 지방과 같은 영양소는 열량 섭취 증가가 그 영양소 섭취 수준의 증가를 더 중요하게 설명해 주며 비타민 A와 같은 영양소는 식이 영양 밀도가 이러한 영양소의 섭취 수준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제언하는 바 더 폭 넓은 대상을 중심으로 여러 계절에 걸친 조사의 뒷받침하에 균형식을 이루기 위한 일반적인 식품 섭취의 다양성 정도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는 섭취한 식품의 종류수와 Shannon & Weaver's diversity index를 사용하여 식품섭취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는데 모든 집단 및 모든 영양소에 대해 적용 가능한 신뢰성있는 식품섭취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Successional changes in plant composition over 15 years in a created wetland in South Korea

  • Son, Deokjoo;Lee, Hyohyemi;Cho, Kang-Hyun;Bang, Jeong Hwan;Kwon, Oh-Byung;Lee, Eun J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183-190
    • /
    • 2018
  • Background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changes in vegetation structure, wetland index, and diversity index for a 15-year-old created wetland in Jincheon, South Korea. The created wetland consists of four sub-wetlands: a kidney-shaped wetland, a ditch, an ecological pond, and a square wetland. Vegetation and water depth data were collected at each site in 1999 and 2013, and Shannon diversity and wetland indice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lant species increased from 18 in 1999 to 50 in 2013, and the ecological pond in 1999 and the ditch in 2013 presented the highest diversity indices (2.5 and 3.2, respectively). Plant species were less diverse in 1999 than in 2013, presumably because these initial wetlands were managed periodically for water purification and installation of test beds. The proportion of wetland plants, including obligate wetland and facultative wetland species, decreased from 83 to 56%, whereas upland plants, including obligate upland and facultative upland species, increased from 17 to 44%. After ceasing water supply, water depth in all four sub-wetlands declined in 2013. Thus, upland plants established more readily at these sites, resulting in higher diversity and lower wetland indices than in 1999. Conclusions: The major floristic differences between 1999 and 2013 wer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pland plants and a decrease in wetland species. Although wetland indices were lower in 2013, the created wetland performed important ecosystem functions by providing habitats for wetland and upland plants, and the overall species diversity was high.

구조다양성 표현인자 연구를 통한 내설악 전나무 고목림 (자연림) 구조 조사 (A Study on the Stand Structure of Korean Fir Natural Forest in Naesorak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Stand Structure Diversity Features)

  • 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45-352
    • /
    • 2011
  • 내설악 전나무 자연림 임분구조를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종다양성 추정에 사용되는 Shannon-Weaver-Index를 응용한 Herles의 구조표현인자 다양성 계산 방법을 도입하여 12개의 임분을 조사하였다. 임분 구조 변화는 당연히 phase의 변화에 종속되지만 개개인자들 간의 연관에서 자연림의 특성이 재확인되었다. 우선 내설악 전나무 자연림의 구조는 표현인자 다양성의 결과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자 간의 상관에서 종다양성은 구조 변화 관련 전체 인자 (다양성)와 미약한 관계만 보이며,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한 연관을 보이는 것으로는 개체수였으며,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임분구조 전체의 다양성은 떨어지는 결과를 보인다. 입목축적이나 고사목 축적은 대부분 조사구에서 천연갱신고도와 연관을 보이며 다른 인자와는 별다른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구조표현인자 서로서로의 연관은 천연갱신고도와 관련하여 울폐도나 수관면적, 형태 등과 연관을 보였으며 수고나 흉고직경은 타 인자들과 별다른 연관을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내설악 전나무림 구조변화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좀 더 많은 조사구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리라 본다.

합천군 덕진천의 동물상에 대한 다양성 (Fauna Diversity at the Deukjin River, Hapcheon-gun,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5-109
    • /
    • 2018
  • 생물다양성은 생존하는 유기체들의 변이성으로 정의하며 지구상의 생물의 다양성과 생태계를 구성하는 복잡한 상호작용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합천군 덕진천에 서식하는 동물의 종조성과 다양성을 공간적 시간적 양상으로 실시하였다. 2016년 시즌에 동정된 포유류, 연골어류, 경골어류, 조류, 양서류, 파충류, 어류 종의 수는 55분류군이었다. 포유류의 Berger-Parker's index (BPI)는 0.233(지점 A)에서 0.333(지점 D)로 나타났다. 포유류와 조류에 대한 Shannon-Weaver index (H')와 두 다른 다양성 척도(N1과 N2)는 상류지역이 하류 지역보다 높았다. 동물 분류군에 대한 ${\beta}$-다양성은 어류 0.229에서 무척추동물 0.339까지 나타났다. 동물종에 대한 풍부도 지수는 지점과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었다. 지점 A는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에서 높은 풍부도를 나타내었다. 비록 다섯 동물 강에 대한 풍부도 지수(R1, R2)가 시즌 별로 다르지만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균등도 지수(E1-E5) 역시 시즌 별로 다르지만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in Mid-altitudinal Moist Temperate Forests of the Western Himalaya

  • Gairola, Sumeet;Sharma, C.M.;Suyal, Sarvesh;Ghildiya, S.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1-15
    • /
    • 2011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middle altitudinal (1500 to 2500 masl) moist temperate forest of Mandal-Chopta area in the Garhwal region of Uttarakhand, Indi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in different vegetation layers viz. herb, shrub and tree, at different altitudes. Shannon-Wiener diversity index ($\bar{H}$), $Nha^{-1}$, total basal cover per hectare (G), Simpson concentration of dominance, Pielou Equitability, species richness (SR), Margalef index, Menheink index of species richness and ${\beta}$-diversity were calculated to understand community composition. Tree G ranged from 84.25 to 35.08 $m^2ha^{-1}$ and total stem density varied from 990 to 1470 Nha-1. Total SR (herb, shrub and trees) among different forest types ranged between 31 and 58. Maximum G of herb and shrub layers was recorded at lower altitudes between 1500 and 1650 masl. ${\beta}$-diversity was higher in herb layers as compared to tree and shrub layers. Dominance-diversity curves were also drawn to ascertain resource apportionment among various species in different forest types. Values of species diversity, $\bar{H}$, $Nha^{-1}$ and G were higher in the study area as compared to similar forests growing in other parts of Uttarakhand Himalaya.

남한강 상류 수계에서 어류의 다변수 모델 지수 산정 및 군집지수와의 비교평가 (Multi-metric Index Assessments of Fish Model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ty)

  • 이재훈;홍영표;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327-336
    • /
    • 2007
  • 본 연구는 1999년 6월과 8월에 남한강 상류수계의 15개 조사지점으로부터 어류의 다변수 모델을 이용하여 생태건강성을 평가하였고, 전통적인 군집분석에 의한 지수와 서로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의 생태적 특성에 맞게 보완된 10-메트릭 건강성 평가 모델을 적용하였다. 어류조사에 따르면, 총 6과 24종이 출현하였고, 생태적인 교란정도와 하천차수에 따라 일부 변이를 보였다. 생태길드분석에 따르면, 민감종과 충식종은 각각 91%, 56%로서 생태적으로 수환경이 건강한 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S1과 S2의 2차 하천에서는 내성종이 66%, 잡식종이 76%가 채집되어 물리적 서식지의 질적 저하가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수계에서 생태건강도의 평균 모델값은 38로서 양호상태를 보였고, 개별적 IBI 값의 패턴은 다른 산간계류형 하천들과 유사하여 비교적 이화학적 오염에 의한 영향이 적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하천차수에 따른 IBI 값과 종다양성 지수와의 비교에 따르면, 두 변수 값은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Shannon-Weaver의 종다양성 지수는 실제 군집상태를 잘 반영하지 못했으며, 특히 2차 하천에서의 종다양성 지수 변이의 폭은 IBI 값으로 산정한 생태 건강도에 비해 훨씬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변수 메트릭에 의한 연구 접근방식은 수생태계 관리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나, 기존의 종 다양도 지수와 같은 군집 분석법은 하천차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순천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근권에서 유래한 해양세균의 계통학적 분석 및 다양성 (Phylogenetic Analysis and Diversity of Marine Bacteria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s of Halophyte in Suncheon Bay)

  • 유영현;박종명;이명철;김종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5-78
    • /
    • 2015
  • 순천만의 염생식물 근권에서 정주하는 세균의 분리를 위해 순천만에서 우점하는 자생식물인 칠면초 군락 3개 지점을 선발하여 샘플링 하였다. 시료는 marine broth, tryptic soy broth 한천배지를 통해 분리되었으며, 형태학적인 구분을 통해 순수분리되었다. 분리주의 16S rDNA를 분석하여 총 92 균주가 동정되었다. 이들의 유연관계 확인을 위한 계통수 작성 결과, 각각 firmicutes (56.5%), gamma-proteobacteria (29.3%), alpha-proteobacteria (5.4%), actinobacteria (5.4%), bacteroidetes (3.3%)에 속하였다. Shannon’s Diversity index (H')를 산출하였을 때 각각 1.675, 1.924, 2.04로, 채취 지점별로 종 다양성의 차이를 보였다.

토픽 모델링 기반 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학제성 측정 연구 (Topic Modeling based Interdisciplinarity Measurement in the Informatics Related Journals)

  • 진설아;송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32
    • /
    • 2016
  • 본 연구는 인용 정보와 주제범주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한 기존 하향식 접근법과 달리 문헌에 출현한 단어정보를 기반으로 세부주제를 자동 추출하는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여 학제성을 측정하였다. JCR 2013의 Information & Library Science 주제범주에서 5년 영향력 지수 상위 20개 학술지의 최근 5년 동안의 논문 제목과 초록 텍스트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학제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수로 '분야적 다양성'을 나타내는 Shannon 엔트로피 지수와 Stirling 다양성 지수, '네트워크 응집성'을 나타내는 지수로는 토픽 네트워크의 평균 경로길이를 사용하였다. 계산된 다양성과 응집성 지수를 통해 학제성의 유형을 분류한 후 각 유형을 대표하는 학술지들의 토픽 네트워크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텍스트 기반 다양성 지수는 기존의 인용정보 기반 다양성 지수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성과 응집성을 모두 고려하여 분류된 각 학술지의 토픽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 학술지가 다루는 세부주제의 특성과 연결 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토픽 모델링을 통한 텍스트 기반의 학제성 측정이 학술지의 학제성을 나타내는 데에 다양한 역할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다양성지수를 통한 에너지안보수준 분석: 한국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nergy security by the diversity indices: A case study of South Korea)

  • 장용철;방기열;이관영;김경남
    • 에너지공학
    • /
    • 제23권2호
    • /
    • pp.93-101
    • /
    • 2014
  • 본 논문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에너지안보의 문제를 지수화 방식으로 한국사례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한다. 에너지안보는 화석연료의 수요 급증, 중동정세 불안, 화석연료고갈 등 다양한 문제점 및 우려로 인해 국가적 주요 쟁점으로 자리 잡았다. 에너지안보는 유용성, 접근성, 환경용인성, 가격적 절성으로 구분 설명될 수 있다. 특히 접근성은 생산과 소비의 공간적 불균형에 관한 의미를 담고 있다. 본 논문에서, 연료의 다양성이 높아지면 일부 에너지원에 의한 취약성을 분산시켜 에너지안보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가설에 의거, 접근성 차원에서의 에너지안보를 연구대상으로 정했다. 연료 다양성 수준의 측정은 Shannon-Wiener식을 사용했다. 분석 결과 2012년 기준 한국의 다양성지수(H지수) 성장률은 18.38%로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한국의 다양성 지수값 자체는 1.93으로 선진국 대비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가장 큰 이유는 선진국 대비 전체 에너지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이다. 화석연료자원이 없는 한국이 에너지안보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독일과 같은 강력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을 바탕으로 에너지믹스의 구성을 변화시키는 적극적인 다양성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고성 심해에서 수심에 따른 해양미생물의 다양성 비교 (Comparison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Water Columns of Goseong Deep Seawaters)

  • 강용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2-285
    • /
    • 2013
  • 강원도 고성군 근해에서 수심 300 m와 500 m의 심층수에 서식하는 해양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심해미생물을 16S rRNA genes pyrosequencing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300 m 심층수 시료에서 얻은 19,474 reads에서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가 각각 57.41%와 38.85%의 분포 비율을 보였다. 심해 500 m의 시료에서 얻은 82,806 reads에서는 Gammaproteobacteria가 99.6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수심 300 m에서는 Rhodobacterales (57.31%)가 우점하였고, 수심 500 m에서는 Alteromonadales (45.65%)와 Oceanospirillales (34.61%)가 우점하였다. Operational Taxonomic Units와 diversity indexes (Shannon과 Simpson)를 기준으로 할 때 해양미생물의 다양성은 수심 500 m지역이 수심 300 m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