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ow

검색결과 1,454건 처리시간 0.055초

실시간 해칭 렌더링에서 그림자 기법 (Shadow Techniques in Real-time Hatching Rendering)

  • 김찬수;김대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06-810
    • /
    • 2006
  • 컴퓨터 그래픽스의 연구는 크게 사실적 렌더링 분야와 비사실적 렌더링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사실적 렌더링과 달리 비사실적 렌더링은 만화, 수채화, 해칭과 같은 사람이 손으로 표현한 것 같은 분위기와 특징을 갖는 영상을 표현해 보자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사실적 렌더링 기법의 하나인 실시간 해칭 렌더링기법과 사실적 렌더링기법인 그림자 기법을 통합하여 실시간 해칭 렌더링에서 그림자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림자 기법에는 투영 텍스쳐 그림자 기법을 이용한 그림자 기법을 해칭 렌더링에 적용하여 해칭 렌더링에서 실시간 해칭 그림자를 생성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한다.

  • PDF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를 위한 시전등록영역 구성 (Organizing Shadow Registration Region for Efficient Mobility Management)

  • 서혜숙;한상범;이근호;황종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319-321
    • /
    • 2003
  • 모바일 컴퓨팅 환경은 크게 모바일 노드, 무선망, 그리고 이동성이라는 기술로 이루어진다. 이음새없는 (seamless)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기존의 Shadow Registration 방법은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이전에 이웃한 모든 노드들(AAAF/sbu n/)에게 모바일 노드의 관련 정보를 사전등록(Shadow Registration)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핸드오프 이후에 발생하는 끊김이나 지연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Shadow Registration의 경우 백본 네트워크에 불필요한 트래픽 발생 및 데이터 관리라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새롭게 사전등록 트리거 영역(STR: Shadow Trigger Region)을 설정하고, STR 내에 모바일 노드(MN)가 위치할 경우 MN의 이동 방향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사전등록영역(SRR: Shadow Registration Region)을 찾아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SRR 은 최대 2 개의 이웃노드(AAAF$_2$)에게만 사전등록을 요청하면 되므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최대 ∑(n­2)번의 사전등록 횟수를 줄이면서 끊김과 지연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 PDF

쉐도우마스크의 열변형과 전자빔의 오차 해석 (Analysis of Thermal Deformations of Shadow Mask and Electronic Beam Mislanding)

  • 김현규;박영호;김상기;임세영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1B권6호
    • /
    • pp.81-90
    • /
    • 1994
  •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for transient thermal deformation of a shadow mask inside the Braun tube and the landing shift or mislanding of the electronic beam is calclated. The shadow mask has numerous slits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beams are guided to land on the designed phosphor. Its thermal deformations therefore cause the mislanding of the electronic beam and result in decolorization of a screen. For realistic finite element analysis, firstly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effective elastric modulus are calculated, and the shadow mask is modeled as shell without slits. Next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formulation is developed for transient heat transfer on the shadow mask, wherein thermal radiation is a major heat transfer mechanism. Analysis of the resulting thermoelastic deformations is followed, from which the mislanding of the electronic beam is obtained. The present finite element scheme may be efficiently used for thermal deformation design of a shadow mask.

  • PDF

휴대용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지연된 소거 리스트를 이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쉐도우 페이징 기법 (Flash Memory Shadow Paging Scheme Using Deferred Cleaning List for Portable Databases)

  • 변시우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3권2호
    • /
    • pp.115-126
    • /
    • 2006
  • Recently, flash memories are one of best media to support portable computer's storages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We propose a new transaction recovery scheme for a flash memory database environment which is based on a flash media file system. We improved traditional shadow paging schemes by reusing old data pages which are supposed to be invalidated in the course of writing a new data page in the flash file system environment. In order to reuse these data pages, we exploit deferred cleaning list structure in our flash memory shadow paging (FMSP) scheme. FMSP scheme removes the additional storage overhead for keeping shadow pages and minimizes the I/O performance degradation caused by data page distribution phenomena of traditional shadow paging schemes. We also propose a simulation model to show the performance of FMS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 conclude that FMSP outperforms the traditional scheme.

  • PDF

Motion-Blurred Shadows Utilizing a Depth-Time Ranges Shadow Map

  • Hong, MinhPhuoc;Oh, Kyoungsu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4호
    • /
    • pp.877-891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lgorithm for rendering motion-blurred shadows utilizing a depth-time ranges shadow map. First, we render a scene from a light source to generate a shadow map. For each pixel in the shadow map, we store a list of depth-time ranges. Each range has two points defining a period where a particular geometry was visible to the light source and two distances from the light. Next, we render the scene from the camera to perform shadow tests. With the depths and times of each range, we can easily sample the shadow map at a particular receiver and time. Our algorithm runs entirely on GPUs and solves various problems encountered by previous approaches.

Visualization Of Aerial Color Imagery Through Shadow Effect Correction

  • Sohn, Hong-Gyoo;Yun, Kong-Hyun;Yang, In-Tae;Lee, Kangwon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Korea-Russia Joint Conference on Geometics
    • /
    • pp.64-72
    • /
    • 2004
  • Correction of shadow effects is critical step for image interpretation and feature extraction from aerial imagery. In this paper, an efficient algorithm to correct shadow effects from aerial color imagery is presented. The following steps have been performed to remove the shadow effect. First, the shadow regions are precisely located using the solar position and the height of ground objects derived from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Subsequently, segmentation of context regions is implemented for accurate correction with existing digital map. Next step, to calculate correction factor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ntext region and the same non-shadowed context region is made. Finally, corrected image is generated by correcting the shadow effect. The result presented here helps to accurately extract and interpret geo-spatial information from aerial color imagery

  • PDF

음영에 의한 손실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 추적 시스템 (Photovoltaic tracking system considered loss by shadow)

  • 최정식;고재섭;정철호;김도연;정병진;정동화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5-141
    • /
    • 2008
  • In this paper a novel tracking system is described, regarding the influence of shadow between array, aimed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V tracking system. Comparing with a building site versus capacity power, domestic solar powers have a limited siting. Therefore, each array interferes with the shadow of other arrays. The loss by influence of those shadow can be compensated for by means of control algorithm of the tracking device. The paper suggests a method controlling an altitude for length which is received the shadow influence of PV array. By using an azimuth of current solar position and the length between arrays, the controller of tracking device is able to calculate the length between actual arrays and make a comparison of the shadow length at a specific time with the length between arrays. When the shadow length is longer than the length between arrays, the controller of tracking device can adjust a position by compensating error altitude of the length between arrays at an altitude of current solar position. In the paper, we develop the control algorithm able to minimize the loss caused by the influence of shadow on the PV tracking system, and compared this with conventional output system. The controller has been tested in the laboratory with proposed algorithm and shows excellent performance

  • PDF

음영감쇄 환경에서의 IEEE 802.16j 상호 협조 중계 방식 성능 평가 (Performance of IEEE 802.16j using Cooperative Relaying in Correlated Shadow Fading)

  • 하동주;김석찬;박동찬;김영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5호
    • /
    • pp.47-53
    • /
    • 2007
  • IEEE 802.16j는 기존의 IEEE 802.16e에 중계기를 도입하여 커버리지 확장과 데이터 처리율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인 셀룰러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IEEE 802.16j 또한 셀 가장자리에서 경로손실(Path loss), 음영감쇄(Shadow Fading)와 다중경로 감쇄(Multipath fading)에 의해 성능 열화를 겪게 된다. 한편, IEEE 802.16j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중계기를 상호 협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 공간 시간 부호를 사용하는 상호 협조 중계 방식은 일반적인 단일 중계기를 사용하는 방식보다 Multipath Fading 환경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며, Shadow Fading에 대해서 링크간의 통신 신뢰도를 높인다. 이 논문에서는 상호 협조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IEEE 802.16j의 성능을 링크 레벨 모의 실험을 통해 구하고, 그 방식이 기존의 단일 중계 방식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또한 서로 다른 경로들마다 각각의 Shadow Fading을 겪으므로, 이 점을 고려한 실제적인 Shadow Fading 모델을 적용하고 분석하여, 중계기의 공간적인 위치가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힌다.

SHADOW EXTRACTION FROM ASTER IMAGE USING MIXED PIXEL ANALYSIS

  • Kikuchi, Yuki;Takeshi, Miyata;Masataka, Takag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727-731
    • /
    • 2003
  • ASTER image has some advantages for classification such as 15 spectral bands and 15m ${\sim}$ 90m spatial resolution. However, in the classification using general remote sensing image, shadow areas are often classified into water area. It is very difficult to divide shadow and water. Because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water is similar to characteristics of shadow. Many land cover items are consisted in one pixel which is 15m spatial resolution. Nowadays, very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IKONOS, Quick Bird) and Digital Surface Model (DSM) by air borne laser scanner can also be used. In this study, mixed pixel analysis of ASTER image has carried out using IKONOS image and DSM. For mixed pixel analysis, high accurated geometric correction was required. Image matching method was applied for generating GCP datasets. IKONOS image was rectified by affine transform. After that, one pixel in ASTER image should be compared with corresponded 15×15 pixel in IKONOS image. Then, training dataset were generated for mixed pixel analysis using visual interpretation of IKONOS image. Finally, classification will be carried out based on Linear Mixture Model. Shadow extraction might be succeeded by the classification. The extracted shadow area was validated using shadow image which generated from 1m${\sim}$2m spatial resolution DSM. The result showed 17.2% error was occurred in mixed pixel. It might be limitation of ASTER image for shadow extraction because of 8bit quantization data.

  • PDF

베지어 곡선을 활용한 육각 그리드의 그림자 생성 방법 (Hexagonal Grid Shadow Generation using Bézier Curves)

  • 김민석;남택관;박영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4호
    • /
    • pp.47-57
    • /
    • 2023
  • 육각 그리드(hexagonal grid) 구조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간정보 데이터를 처리하고 표현하기에 우수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육각 그리드를 이용한 시각화는 다른 그리드 표현 방법 대비 시인성이 높지만, 이에 표현된 공간정보 데이터에 따라 양적 정보와 그리드 간 데이터 차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육각 그리드 외곽에 그림자를 생성하여 시각적으로 육각 그리드를 강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강조하고자 하는 육각 그리드들의 최외곽 선분들을 오프셋 시키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베지어 곡선을 생성하여 최종적인 그림자 형상을 결정한다. 그림자는 육각 그리드에서 멀어질수록 서서히 옅어진다는 특성을 활용하여, 그림자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투명도를 가변적으로 적용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육각 그리드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육각 그리드가 주어지더라도 그림자 영역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그림자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의 행정구 중 용산구에 제안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그림자를 생성한 후 시각적으로 강조한 결과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