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e guid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Shade guide의 형태가 색상 결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HADE GUIDE DESIGN ON COLOR HATCHING)

  • 박걸;김동준;이시은;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3호
    • /
    • pp.170-17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hade guide를 이용하여 치아의 색상을 결정하는데 있어 shade guide의 형태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8가지 서로 다른 색상 code (Al, A2, Bl, B2, B3, C2, C3, D3)를 사용하는 광중합 복합레진 (Esthet-X, Dentsply, USA)을 이용하여 각 색상마다 상악 중절치 모형, 치아형 shade guide, 도넛형 shade guide, 및 회색 shield를 포함하는 shade guide를 제작하고 무작위로 기호를 부여하였다. 제작된 치아 모형을 배열하고 전남 대학교병원 치과 진료처에 근무하는 19명의 수련의와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2, 3학년 학생 65명을 대상으로 회색 배경 판과 D$_{65}$ 표준광 하에서 각 치아의 색상과 일치하는 shade guide를 선택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Bl 색상은 실험에 적용한 3가지 형태의 모든 shade guide에서 약 95%의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 색상간 색차가 가장 적은 B2와 C2는 3가지 형태의 모든 shade guide에서 서로 비슷한 정도의 교차 선택율을 보였다. 또한 관찰자에 상관없이 치아 형태의 shade guide는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인 반면 (p < 0.05), 도넛 형태의 shade guide는 가장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p <0.05).

복합레진과 shade guide의 색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Differences Between Composite Resins and Shade Guides)

  • 김희선;엄정문;강명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1호
    • /
    • pp.107-120
    • /
    • 1996
  • 복합레진은 조작이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중합시간이 짧고 법랑질과 상아질에 접착이 가능하며 연마성이 뛰어나고 자연스러운 색상을 나타내므로 심미적 수복에 가장 일반적으로 선택되는 재료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복합레진 kit에는 shade guide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기준으로 중합된 후의 복합레진 색조를 예상하여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shade guide들은 대개 복합레진이 아닌 plastic으로 제조된 것으로 중합된 복합레진의 실제 색조와는 차이가 생기게 되며 결국 shade guide 자체의 문제점으로 인해 이상적인 색조선택이 어려워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5종의 복합레진 제품을 선정하여 분광 광도계를 이용해서 shade guide와 중합된 복합레진 사이의 색조차이를 측정, 비교 연구하였다. 직경 16mm. 두께 1.6mm의 plastic mold에 5종의 광중합형 복합레진(Z100, Prisma TPH, Tetric, Silux Plus, Herculite XR)을 충전하고 응축기에 넣어 압축한 후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광중합기로 중합시킨 후 mold에서 시편을 제거하여 보관했다가 젖은 sandpaper 상에서 순차적으로 연마하였다. shade guide는 step부분을 갈아내어 복합레진 시편과 동일한 두께로 만든후 연마하였다. 분광광도계에 shade guide를 넣고 CIE illuminant D65 하에서 spectral reflectance를 측정하고 해당 색조의 복합레진 시편도 통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L^*$, $a^*$, $b^*$값과 ${\Delta}E^*$값을 얻은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Z100의 D3, A3, B2 shade와 Prisma TPH의 B2 shade를 제외한 모든 시편에서 shade guide와 복합레진간에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차(${\Delta}E^*$ > 1.0)가 관찰되었다. 2. 평균적으로 Z100이 가장 적은 색차를 나타내었고 Prisma TPH, Tetric, Silux Plus, Herculite XR 순으로 색차가 증가하였다. 3. Prisma TPH의 A2 shade. Tetric의 W shade. Silux Plus의 YB, U shade, Herculite XR의 L, LY shade는 ${\Delta}E^*$값이 3.3 이상으로 나타났다. 4. Z100, Prisma TPH, Tetric, Silux Plus에서는 복합레진보다 shade guide가 더 높은 $L^*$값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Herculite XR에서만 복합레진이 더 높은 $L^*$값을 나타냈다. 5. 모든 시편에서 $b^*$ 값은 (+)로 관찰되었고, Z100, Prisma TPH, Tetric, Silux Plus의 shade guide는 복합레진에 비해 높은 $b^*$값을 보였다. 6. 모든 시편에서 $a^*$값은 (-)로 관찰되었고. Herculite XR 및 Silux Plus에서는 복합레진이 shade guide 에 비 해 낮은 $a^*$값을 나타냈다.

  • PDF

수종 도재 색조 선택 시스템의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색조 재현성 평가 (THE REPRODUCIBILITY OF VARIOUS PORCELAIN COLOR SELECTION SYSTEMS USING SPECTROPHOTOMETRY)

  • 김이경;조인호;신수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44-555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Shade selection has traditionally been accomplished by visual examination, which is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shade selection of anterior teeth, but the subjective nature of visual analysis can lead to errors in shade matching. Recently shade selection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a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clarifying shade selection.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sis of various shade analyzing equipment with the goal of providing a more objective shade selection. Materials and method: Visual shade matching system selection(Vita Lumin Vacuum shade guide, Vitapan 3D Master shade guide) and mechanical shade matching method($ShadeEye^{(R)}$-EX Chroma Meter, $Shadescan^{TM}$ System) used for this study. The shade guide tap specimens for 10 extracted maxillary anterior teeth were produced by selecting shades using each shade matching system. The accuracy of the selection of shades for the teeth and fabricated specimens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calculated shade difference(${\Delta}E^*$), using a spectrophotometer and calculating the output of value $L^*,\;a^*,\;b^*$.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Delta}E^*$ value (difference of shade) of the shade tap specimens to the actual specimen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Vita Lumin Vacuum Shade Guide(VL), $ShadeEye^{(R)}$-EX Chroma Meter(SE) Vitapan 3D Master Shade guide(V3), and $Shadescan^{TM}$ System(55) : a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VL and SS (p<0.05). In the analysis of the ${\Delta}E^*$ (difference of shade) value,40% of the VL group was found to be less than 3.3 (limit value of shade tap specimens clinically acceptable), 60% in the V3 group, 50% in the SE group, and 80% in the SS group.

가시광선영역에서 shade guide에 따른 광투과도 특성 연구 (ANALYSIS OF OPTICAL TRANSMISSION CHARATERISTICS BY VISIBLE LIGHT INTO SHADE GHIDES)

  • 최근배;박찬운;송창용;고석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7-15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valuation of spectral transmission of the commercial three shade guides and the relationship of hue, value, and chroma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ate. The spectral transmittance of three shade guides - Vita Lumin Shade Guide, Vintage and Unibond Shade Guide, and Vitapan 3D-Master Shade Guide - were measured. For direct transmission measurements, each shade tabs were placed at the entrance port of the 1mm diameter intergrating sphere.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passing through the shade tabs to the right angle was continuously recorded for wavelength from 400 to 700 nm. A transmission spectrum and digital data were obtained for each measurement and they were evaluated using Microcal Origin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Vita Lumin Shade Guide, sum of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shade tabs at the wavelength 400-700nm was decreased in agreement with the arrangement order at each A, B, C, D group, except D4 shade tab. However, there were no relationships between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shade tabs and the value-oriented. 2. In Vintage and Unibond Shade Guide, sum of the total transmission rate of the shade tabs was decreased in agreement with the arrangement order at each A, B, C, B group. When all shade tabs arranged in value-oriented, transmission rate was accord with the order, except D4 shade tab. 3. When shade tabs of the Vitapan 3D-Master Shade Guide have the same value and hue, sum of their total transmission rate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chroma-oriented. When the shade tabs have the same value and chroma, there were no differences from the order of the transmission rate to the various hue type. However, in the 'R' tabs of reddish hue type, the transmission rate increased at the long wavelength range area. In conclusion, we need the quantitative analyzing instruments in transmission determination. Vitapan 3D-Master Shade Guide covers the tooth color space taking into account the parameters of the systematic value, chroma, hue oriented, and the transmission rate relatively accorded with that sequence.

  • PDF

색조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shade guide의 색조 분석 (Evaluation of shade guide using digital shade analysis system)

  • 이승택;이종혁;신수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1
    • /
    • 2009
  • 연구목적: 심미 수복을 위한 색상 결정 방법으로는 색견본 (shade guide)과 치아를 눈으로 직접 비교하는 기존의 비색법과 최근 소개되기 시작한 색상 측정용 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비색법은 치과의사들과 기공사들 간의 색조 선택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지만 아직도 이러한 방법에 의한 색상 결정과 결정 색상에 대한 표현 방식이 임상 치의학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료실과 기공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색견본이 같은 값을 가지는지 ShadeEye - $NCC^{(R)}$ dental chroma meter (Shofu Inc., Kyoto, Japan)로 확인하고 또한 이 측정 기기의 두 가지 모드가 동일한 shade tab을 같은 값으로 인식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첫 번째 실험에서는 모두 8개의 Vita Lumin Vacuum shade guide (Vident Inc., California, USA)를 모아 그 중 A1과 B1 shade tab을 각각 5회씩 색상 측정용 기기인 ShadeEye-$NCC^{(R)}$의 tooth mode와 porcelain mode로 나누어 색조 분석을 하였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치과 진료실과 기공소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Vita Lumin Vacuum shade guide를 각각 12개씩 모아 역시 A1과 B1 shade tab을 색상 측정용 기기인 ShadeEye-$NCC^{(R)}$의 tooth mode와 porcelain mode로 나누어 색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 실험에서 8개의 색견본의 A1과 B1의 5회씩 측정에서 두 가지 mode에서 모두 채도 (shade), 명도 (value), 색상 (hue)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두 번째 실험에서는 진료실에서 사용하는 색견본과 기공소에서 사용하는 색견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1의 porcelain mode 에서 채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 (P<.05), 같은 shade tab이라 할지라도 채도에서 차이가 날 수 있음을 보였다. 결론: ShadeEye-$NCC^{(R)}$의 mode에 따라 동일한shade tab을 다른 값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진료실과 기공소 간에 동일한 mode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중합형 복합레진과 shade guide의 색차에 관한 연구 (A Spectrophotometric Study on Color Differences between Various Light-Cured Composite Resins and Shade Guides)

  • 임경민;이민호;송광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1호
    • /
    • pp.13-22
    • /
    • 2009
  • 심미적인 특성을 가진 복합레진은 전치부 수복용 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복합레진 수복 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색조의 선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 대부분의 수복용 복합레진은 Vita Lumin 색조견본(shade guide)이나 각각의 회사에서 제공하는 색조견본을 사용하고 있으나, 색조 견본 사이의 색차와 수복물과 견본 사이에 색차가 예상되어 그 차이를 규명하여 임상적인 선택 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4종의 광중합 복합레진(Gradia Direct (GD), Z250 (Z250), Clearfil AP-X (AP-X), $Esthet{\cdot}X$ ($E{\cdot}X$))과 A2와 A3의 색조 견본을 사용하였다. 각 재료마다 3개의 시편과 1개의 색조 견본을 제작하였다. Teflon 주형(깊이 1.35 mm, 직경 8 mm)에 각각의 복합레진을 채우고 응축한 후에 중합하여 젖은 사포로 연마하였다. 색조 견본을 연마용 stone과 고무를 이용하여 1.35 mm 두께로 연마하였다. 컴퓨터에 의해 조절되는 spectrophotometer(color i5, GretagMacbeth, USA)를 이용하여 시편과 색조견본의 색의 특성을 CIELAB coordinates ($L^*$, $a^*$, $b^*$)로 평가하였다. CIELAB 계측을 통하여 복합레진과 색조 견본의 색차(${\Delta}E^*ab$)를 비교 평가 하였다. 광원으로는 CIE standard D65를 사용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일한 shade로 설계된 여러 제조회사의 복합레진 시편의 $L^*$, $a^*$, $b^*$ 값 간에 유의할 만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냈다(p<0.05). 2. 동일한 shade로 설계된 여러 제조회사의 복합레진 시편 간에 대부분 육안으로 인지할 만한 색차(${\Delta}E^*ab>3.3$)값을 나타냈다. 3. 동일한 shade로 설계된 여러 제조회사의 복합레진과 제조회사에서 제공되는 shade guide 및 Vita Lumin shade guide 간에 대부분 육안으로 인지할 만한 색차(${\Delta}E^*ab>3.3$)값을 나타냈다. 4. 임상에서 보다 나은 색 조화를 얻어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제 수복물로 제작한 custom shade guide의 제작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조사에 의해 제공되는 색조 견본이나 Vita Lumin 색조 견본은 임상의에게 복합레진의 색조 선택 시에 정확한 기준을 제공하지는 않았고, 대부분의 제품에서 인지할 수 있는 색차가 있었다. 그러므로 보다 나은 색조 선택을 위해 수복용 레진으로 제작한 맞춤형 색조 견본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Proposal for a gingival shade guide based on in vivo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s

  • Polo, Cristina Gomez;Montero, Javier;Casado, Ana Maria Mart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5호
    • /
    • pp.239-24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assess a shade guide for pink gingival aesthetics using a Spanish population sample. MATERIALS AND METHODS. The $L^*$, $C^*$, h, $a^*$ and $b^*$ coordinates of 259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in 3 standardized points along the attached gingiva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as applied to obtain separate solutions regarding the number of shade tabs. For each of the solutions obtained, color differences (${\Delta}E^*$) were calculated using the CIELab and CIEDE2000 formulas, and the proposed shade guide was selected considering (1) the color differences between tabs and (2) the coverage error of each of the solutions. RESULTS. The proposed shade guide consisted of 8 gingival shade tabs and achieved CIELab and CIEDE2000 coverage errors of less than the respective 50:50% acceptability thresholds (${\Delta}E^*=4.6$ units and ${\Delta}E_{00}=4.1$). The coordinates for the various gingival shade tabs were as follows: Tab 1: $L^*43.3$, $a^*21.9$, $b^*12.3$ (1.6); Tab 2: $L^*42.9$, $a^*34.1$, $b^*19.1$; Tab 3: $L^*46.5$, $a^*25.8$, $b^*10.9$; Tab 4: $L^*46.5$, $a^*27.3$, $b^*15.1$; Tab 5: $L^*49.6$, $a^*23.5$, $b^*16.8$; Tab 6: $L^*51.5$, $a^*19.7$, $b^*13.6$; Tab 7: $L^*55.9$, $a^*22.0$, $b^*15.0$; and Tab 8: $L^*56.0$, $a^*19.9$, $b^*18.8$. CONCLUSION. The CIELab and CIEDE2000 coverage errors for the 8 shade tabs of the proposed gingival shade guid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uides. Therefore,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proposed guide is more appropriate for matching gingival shade in the Spanish general population.

Spectrophotometric evaluation of restorative composite shades and their match with a classical shade guide

  • Rafael Melara;Luciana Mendonca;Fabio Herrmann Coelho-de-Souza;Juliana Nunes Rolla;Luciano de Souza Goncalves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4호
    • /
    • pp.60.1-60.8
    • /
    • 202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atch between 5 shades of composite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with a shade guide and among the systems using a portable spectrophotometer. Materials and Methods: Shad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specimens of Z350 XT (3M ESPE), Charisma Diamond (Heraeus Kulzer GmbH), Esthet X-HD (Dentsply Caulk), and Empress Direct (Ivoclar-Vivadent) for shades A1, A2, A3, B1, and C3 using a Vita Easyshade spectrophotometer (Vita Zahnfabrik) against a white background. Corresponding shades of Vitapan Classical (Vita Zahnfabrik) guide were measured likewise and shade variation (ΔE) was calculated based on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L*a*b* parameters. The ΔE of the composites in each shade was compar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s post hoc test (α = 0.05). Results: All composites presented ΔE > 3.7 compared with the shade guide. Variation in shades A3, B1, and C3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composites. ΔE of Z350 XT was significantly lower for A1 than for the other shades, whereas ΔE of Z350 XT and Charisma Diamond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A2 than for the other shades. Conclusions: No composite shade matched with the shade guide. Equivalent shades of the restorative composite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may show clinically noticeable ΔE.

ShadepilotTM을 이용한 색조 선택 (Clinical Color Match using ShadepilotTM)

  • 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3호
    • /
    • pp.219-225
    • /
    • 2007
  • The ability of a dentist to select and communicate an acceptable shade match to a dental laboratory may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sthetic restorative dentistry. However, shade matching is a very complex situation.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compare and evaluate the conventional visual assessment and colorimetric analysis in clinical shade matching. 20 patients were selected and their maxillary central incisors shade were measured by Vita classic shade guide, using $Shadepilot^{TM}$ and ShadeEye $NCC^{(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much variation in the shade selection by visual and instrumental methods.

ShadepilotTM을 이용한 색조 선택 (Clinical Color Match using ShadepilotTM)

  • 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2호
    • /
    • pp.131-137
    • /
    • 2007
  • The ability of a dentist to select and communicate an acceptable shade match to a dental laboratory may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sthetic restorative dentistry. However, shade matching is a very complex situation.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compare and evaluate the conventional visual assessment and colorimetric analysis in clinical shade matching. 20 patients were selected and their maxillary central incisors shade were measured by Vita classic shade guide, using $Shadepilot^{TM}$ and ShadeEye $NCC^{(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much variation in the shade selection by visual and instrumental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