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wage dredged soi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하수준설토와 석분의 건설재료로 재활용을 위한 지반물성연구 (A study of Geotechnical Property of Stone Filler and Sewage Dredged Soil as Construction Materials)

  • 정재욱;장연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4호
    • /
    • pp.8-1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석분과 하수준설토에 지반물성시험과 토양환경오염 우려기준에 의거한 오염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하수 준설토는 모래가 $70%{\sim}80%$의 비율의 사질계열의 흙으로써 건축 토목공사의 골재재료로써 가치가 크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석분은 세립분의 함량이 큰 관계로 건설재료로 좋은 품질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폐광, 석산에서 석재 채취 후 빈 공간 등을 채우는 용도에 적용시킨다면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 함유량은 두 시료 모두 토양오염우려기준에 훨씬 못 미치는 수치로서, 재활용시 토양오염에는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차집관로 준설토양의 콘크리트골재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Use of Dredged Soil from Sewage Pipes as a Concrete Material)

  • 김준하;김형욱;김인식;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2호
    • /
    • pp.10-16
    • /
    • 2017
  • Recently, the gap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natural aggregate has increased owing to the depletion of aggregate sources. Therefore, policy support is necessary for the stable supply of aggregate resources. Public and construction works experience problems when they do not receive a steady supply of aggregate. Further, instabilities in aggregate supply lead to increases in aggregate prices, and consequently construction costs. As a result, the likelihood of poor construction using low-grade aggregate increases. It is therefore crucial to put measures in place that deal with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load imposed by aggregate use on the environment by recycling soil dredged from sewage ducts to reduce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fine aggregate. The dredged soil is assessed using an applicability test fo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olidification with basic properties. This study aims to secure the safety of dredging soil and solidified objects through interior physical and chemical analyses and to utilize it as a base material for concrete solidification in the future.

지반공학 실험을 통한 하수준설토의 재활용방안 연구

  • 장연수;정재욱;류혜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30-233
    • /
    • 2006
  • 국내에서는 매년 60만 톤의 하수슬러지가 준설된다. 현행법상 하수 준설토는 산업폐기물로 정의되며, 재활용되도록 강조되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입에 의한 처리로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 준설토의 재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지반 공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준설된 순수한 하수 준설토의 경우 국내 건설용 성토재료 요구기준에 충분히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하수도 준설토 재활용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Recycling of Dredged Sewage Sediment)

  • 김홍민;최윤정;윤석표;김준경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3호
    • /
    • pp.33-37
    • /
    • 2018
  • 하수도 준설토를 재활용하기 위해 준설토의 입경과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1.0 mm 이상의 입자의 경우 체선별 하여 잔골재로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mm 이상의 입경에서는 무기성이지만 잔골재 이외의 이물질이 다수 함유되어 있어 이들도 체로 사전에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1.0 ~ 5.0 mm 사이의 체선별한 성분 중에는 부유성의 유기물질이 존재하므로 이들은 부유선별방법을 통하여 제거하였다. 사전 체선별 후 부유선별 방식을 통해서 하수도 준설토에서 잔골재를 얻을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잔골재의 비율은 38 % 수준이었다.

하천준설토를 세척 선별한 준설모래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Dredged Sand Treated by Washing and Sorting Dredged Soil)

  • 이윤성;이상수;송하영;배기선;이성복;이도헌
    • 토지주택연구
    • /
    • 제1권1호
    • /
    • pp.35-42
    • /
    • 2010
  • 하수도관 정비사업 및 정부의 4대강 사업에서 발생되는 준설모래는 대부분 투기 및 매립에 의존하여 처리되고 있다. 이는 준설모래를 적절히 이용하는 관련 재활용 기술의 부족과 기존의 준설모래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된 준설모래의 높은 흡수율과 미립분 함유량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준설모래 생산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한 최적의 세척선별시스템을 통해, 준설모래 품질개선 성능과 세척선별시스템의 미립분과 유기이물질 제거 성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처리된 준설모래의 기초물성을 평가한 결과, 세척선별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준설모래가 흡수율, 0.08 mm체 통과량, 점토덩어리량, 유기이물질 함유량에서 큰 폭의 품질개선효과를 나타냈으며,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품질기준인 KS F 2573(콘크리트용 순환골재)과 KS F 2526(콘크리트용 골재) 기준에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준설토 일괄처리시스템을 위한 진공사이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Vacuum Silo for Batch Treatment System for Dredged Soil)

  • 김용석;양해림;김학선;정찬세;양순용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5호
    • /
    • pp.571-57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우수관로부터 발생되는 퇴적토의 준설처리를 위한 소형의 이동식 준설일괄처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특히 진공사이로와 1차 선별분리기 그리고 컨베이어를 일체화하는 진공사이로 선별분리장치를 설계하였다. 진공사이로 선별분리장치는 저장조, 이송 스크류, 진공 게이트, 스크린 바, 스크린 바 클리너, 진공배출장치로 구성된다. 특히 저장조 내에서 흡입공기의 흐름은 선별분리 성능의 주요 요소임을 고려하여 CFD 유동해석을 통해 최적형상을 도출하였다. 또한 CAE 구조해석을 통해 판재로 이루어지는 저장조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3D-CAD 모델링을 통한 구동 메커니즘의 기구적, 역학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사양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 이어서, 드럼 스크린형 2차선별기, 데칸터형 탈수장치 그리고 보조장치인 오수탱크와 펌프 등을 설계할 것이다. 그리고 본 설계를 바탕으로 시제품을 제작하고 필드테스트를 수행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