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wage Treatment Facility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해안방류된 하수처리수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astal Environment by Discharge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 신범식;김규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1호
    • /
    • pp.127-133
    • /
    • 2020
  • 해안에 위치한 대부분의 하수 처리장의 처리수는 직접 또는 하천을 통해 해안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하수 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수질은 하천 및 해안으로 방류되는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에 인접한 하수처리장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가 연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조사와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해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처리수가 방류된 하천 및 하구 주변에서 채수된 시료로 수질과 저질을 분석한 결과,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된 처리수는 설계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로 하천으로 방류되고 있으나, 하구를 통해 해안으로 방류되는 수질은 처리수보다 오염된 상태였다. 해안방류수의 수질악화에 대한 원인은 하구 주변에서 나타난 연안표사에 의해 하구가 일시적으로 퇴적되고, 하구폐색 현상이 발생하여, 하구에서의 정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처리수가 유입된 하천수가 하계에 부영양화되어 방류됨에 따라, 하구 주변에서 저질, 수질 및 해양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연안표사가 강한 동해안의 경우, 해양으로 방류되는 하수처리시설을 계획할 경우, 연안표사에 의한 하구폐색과 같은 처리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악지역 소규모하수처리시설의 특성 및 동절기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ll-scale Sewage Treatment Plants in Mountain Area and Operation Plan for Winter Season)

  • 채희준;이지원;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3-188
    • /
    • 2021
  •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경우 유입수량의 변동폭이 크고 하수관거 노후화로 인한 불명수 유입 등에 의해 하수처리 운영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동절기 수온저하로 인한 전반적인 운영문제가 많아 본 연구에서는 산악지역에 위치한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의 운영현황과 온도에 따른 수질변화를 분석하였다. BOD, COD, SS의 경우 온도에 따라 방류수 수질 농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OD가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시적으로 동절기 수온 저하 대책을 적용하고자 생물반응조 수위를 0.4m 상승시켰으며, 생물반응조 덮개를 설치하고 운영하였을 때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개선효과가 발생하였다. 이외 동절기 생물반응조 처리효율 저하에 대한 개선방안을 생물반응조 체류시간 연장하는 방안으로 생물반응조 규격을 확대하는 방안, 유량조정조를 신설하고 외부반송하는 방안, 무산소에 산기장치를 설치하여 동절기 비상시 호기조로 사용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동절기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운영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Odor Removal Control System of Sewage Sludge

  • KIM, Su-Hye;LEE, So-Hee;YUN, Yeo-Jin;CHOI, Soo-Young;JUNG, Min-Jae;KWON, Woo-Taeg
    • 웰빙융합연구
    • /
    • 제4권2호
    • /
    • pp.19-2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odor complaints by identifying problems with odor management at the site of the water regeneration center and researching odor management methods. Due to the high population density of Korea,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adjacent to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main malodor-emitting facilities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ere preliminary treatment facilities (2,220 times), sedimentation basins (4,628 times), and sludge treatment facilities (9,616 tim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ompound malodors and designated malodor-producing substances were collected from five site boundaries of the water regeneration center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official methods to test malodor, and a total of two times (August and September 2020)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n the green area in front of the center office, compound malodors were detected at a maximum of 8 times and at least 3 times during the dawn time. As for the designated malodor-producing substances, 0.1ppm of ammonia was detected in the green area in front of the center office and the park golf course. This is within 15 times the maximum allowable emission level of compound malodors and within 1ppm of the maximum allowable emission level of ammonia. Conclusions: Even if the dilution rate of the compound malodors did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emission level, the odor could be recognized, and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to establish effective reduc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 and seasonal odor characteristics.

합병정화조 기술현황 및 전망 (Curr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On-Site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ies)

  • 임연택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제6회 하계 Workshop (98 한국막학회, 국립환경연구원 국제 Workshop, 수자원 보전과 막분리 공정)
    • /
    • pp.95-112
    • /
    • 1998
  • Water quality in the public water course has been polluted more seriously than ever before due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and aremount of pollution sources such as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water. For water quality conserv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construct sewage treatment facilities continually, of which treatment capacity reached to 11,452,400m$^{3}$/day in 1996. Night soil treatment facilites of m nationwide have the treatment capacity of 24,038m$^{3}$/day. But water quality has not been improved because the sewer systems were insufficient and the treatment efficiencies of sewage were not high, enough. For renovation of water quality, miscellaneous domestic wastewater must be treated because 27g BOD/day out of total 40g BOD/person-day come from miscellaneous wastewater, comparing to 13g BOD/day from night soil. However, sole treatment purifier treat only night soil from the flushing toilet.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treat the miscellaneous domestic wastewater and the night soil from flushing toilet together by joint treatment purifier system as on-site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In Korea, the joint treatment purifier system, introduced in 1997, have the benefit as follows; i) good water poiluion control effect, ii ) good effect on river water flow, iii) water pollution control with sewage treatment facility, and iv) rapid pollution control effect, etc. In order to achieve a good effect as stated before, i ) strengthening effluent guideline including BOD, nitrogen and phosphorus, ii ) specializing operation to maintain high performance, and iii) supporting its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by the governmental level may be necessary: In addition, automation system of joint treatment purifier, technology for its package and compactness, and a new bio-media bio-filter with higher capacity should be further developed in agreement with a more stringent effluent guideline.

  • PDF

Al(III) 응집제에 의한 하수처리수 중의 유기물 성상 변화 (Vari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2nd treated sewage water by Al(III) coagulant)

  • 김정선;한승우;김수현;강임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3-240
    • /
    • 2016
  • Control degree and property chang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were conducted by coagulation of chemical treatment for 2 sewage treatment plants with different technical methods. As the result, SUVA value of the second treated water (supernatant of the second settling pond after biological treatment) was increased and DOC was reduced in comparison with supplied raw water. And, SUVA value and DOC were reduced by coagulation after coagulation treatment of the second treated water. Properti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for 2 sewage treatment plants's DOC were divided. As the result, there was lots of hydrophilic component with hydrophilicity in case of plant A. In case of the second treated water, Plant A showed fulvic acid with little molecular weight was reduced among the hydrophobic component with hydrophobicity, but numic acide with lots of molecular weight was increased. However, in case of plant B, both fulvic acid with little molecular weight and humic acid with lots of molecular weight were increased among the hydrophobic components with hydrophilicity. Before the operation of phosphorus facility, properti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after biodegradation with effluent water showed hydrophilic components were reduced and hydrophobic components were increased. However, after coagulation treatment of the second treated water, hydrophilic components and hydrophobic components were outstandingly decreased or increased. During the biodegradation after coagulation treatment, hydrophilic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ydrophobic components were increased.

초음파와 전기장 처리에 의한 하수슬러지 탈수성 향상 (Enhancement of Dewaterability of Sewage Sludge by Ultrasonification and Electric Field Treatment)

  • 모우종;한지선;안창민;윤순욱;석희정;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30
    • /
    • 2013
  • 슬러지 처분비용은 하수처리장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경제적 요소이다. 더욱이, 2013년부터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대부분의 슬러지가 육상 처리 되어야 하기 때문에 슬러지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와 전기장 처리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탈수성 향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슬러지는 pilot-scale의 전처리 장치로 초음파와 전기장 단독처리 그리고 초음파 및 전기장 병합처리 되었으며, 처리 후 lab-scale 필터프레스 장치로 탈수되었다. 실험한 초음파 에너지 밀도 범위는 225~1,200 kJ/L였고 전기장 처리장치는 4.5~24 kJ/L였다. 초음파 단독처리와 초음파 및 전기장 병합처리 된 슬러지의 탈수 cake 함수율은 에너지 밀도 1,200 kJ/L일 때, 처리하지 않은 슬러지보다 각각 10~12% 감소하였으며 이 때 슬러지 함수율은 65~66%였다. 초음파 및 전기장 병합처리가 초음파 단독처리보다 탈수된 슬러지 cake의 함수율을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전기장 단독처리의 경우 에너지 밀도가 낮아 함수율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Onishi Model을 이용한 제주도 기반시설 환경용량 산정 및 지속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Carrying Capacity and Sustainability of Jeju Island using Onishi Model)

  • 박진선;김솔희;김유안;홍세운;서교
    • 농촌계획
    • /
    • 제26권2호
    • /
    • pp.95-106
    • /
    • 2020
  • The Onishi model is an objective indicator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relevance of city environmental management in regard to the capacities and processing status of existing urban infrastructu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ility carrying capacity and processing status of Jeju Island, a famous tourist site in South Korea. General variables covered by the Onishi model are considered, including water supply, wastewater treatment, waste disposal, and air pollution. Furthermore, the facility carrying capacities for transportation, such as airports and ports, as well as accommodations are assessed as variables pertinent to the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With the annual number of tourists exceeding that of residents on the island, more facilities for sewage treatment and waste disposal are required. Furthermore,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s used by tourists have already exceeded their capacity. For the future sustainability of Jeju Island, a plan will be needed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ourists based on the capacity of each relevant facility.

GC/FPD를 이용한 환경기초시설 폐기물의 대기중 황계열 악취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Major Reduced Sulfur Gases Emitted from Wastes Stored in Environmental Facility Using GC/FPD)

  • 이태윤;이제근;이준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7-43
    • /
    • 2009
  • 우리나라는 경제발전과 더불어 하수종말처리장과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이들 시설들은 상수원 수질보전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과 같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한편으로는 심각한 악취문제를 유발해 인근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되고 있는 탈수슬러지케잌 및 음식물쓰레기샘플을 채취, 황화수소 발생 가능량을 예측함과 동시에 발생 가능량이 많을 것으로 나타난 1개 시료를 선정하여 실험실 규모의 Flux Chamber 실험을 통해 대기 시료를 포집하여 GC/FPD분석을 실시, 혐기성 상태일 때 이들 처리장폐기물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황계열 악취물질에 대한 배출농도 측정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황화수소발생량이 가장 많은 시료는 녹산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샘플로 농도가 156.18mg/kg이었고, GC/FPD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악취농도지수(Odor Quotient)를 산정해 본 결과 개별 악취물질중 $CH_3SH$(methylmercaptan)이 총악취농도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7.3%로 가장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나타났다.

  • PDF

비수용성 위생용품 사용에 따른 물재생센터 개선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ater Regeneration Center by Using Non-water-soluble Sanitary Products: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City)

  • 김충곤;배윤환;신현곤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2호
    • /
    • pp.39-44
    • /
    • 2023
  • 본 연구는 비수용성 위생용품의 수요와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뇨 및 하수처리시설의 물재생센터 처리과정중 비수용성 위생용품 관련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물재생센터의 개선방안은 전처리설비에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며 향후 설비교체시 하수처리시설의 경우에는 현실에 맞는 각종 제진기 설치를 제안하며, 분뇨처리시설은 조목스크린과 협잡물종합처리기 연계 또는 협잡물종합처리기 단독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분뇨처리시설은 우선적으로 협잡물종합처리기 전단에 미세스크린을 설치하여 비수용성 물질을 분리하여야 하며 협잡물처리기의 유지관리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건조 하수슬러지의 석탄 혼소를 위한 연료특성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uel Characteristic and Economic Benefit for Co-combustion of Dried Sewage Sludge with Coal)

  • 강정희;강종윤;이시형;김병태;이남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1호
    • /
    • pp.11-1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건조 하수슬러지의 화석연료와의 혼소 가능성 평가를 연소특성, 경제적 이익 2가지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공업분석 결과 A하수처리장의 건조 하수슬러지의 휘발분은 36.48%, B하수처리장은 40.10%로 석탄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연료비는 0.12, 0.14로 매우 낮아 연료로써의 품질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연소성 지수가 30,000kcal/kg 이상으로 연료의 기준인 3,000~5,000kcal/kg을 크게 초과하여 건조 하수슬러지의 개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 하수슬러지의 경제성 평가 결과 석탄의 절감에 따른 이익은 연간 73.4억원, REC인증 이익은 56.4억원이 발생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반면에 회분처리비용 증가에 따른 손실은 2.6억원, 건조 하수슬러지의 혼소에 소요되는 설비의 투자 및 운영비가 4.2억원으로 산정되어 건조 하수슬러지의 혼소에 따른 경제적 이익은 연간 123억원으로 추산되었다. 다만, 건조 하수슬러지의 생산에 소요되는 동력 및 건조 하수슬러지의 혼소로 인한 환경오염 등에 대한 비용은 본 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하였으며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