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vere anxiety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4초

품행장애 청소년에서의 우울, 불안 증상과 부모양육특성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IN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 한성희;최경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83-91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품행장애를 보이는 청소년에서 우울및 불안의 정도를 알아보고 또한 자신의 부모가 보이는 자녀 양육 방식에 대해 그들이 어떠한 지각을 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품행장애 환아들에서 흔히 동반되는 우울, 불안 증상과 부모양육방식 사이에는 어떤 상호관련이 있으며 이는 또한 품행장애의 임상경과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저자들은 DSM-Ⅳ의 진단기준에 부합되는 품행장애 입원환아 30명과 정상대조군으로 30명의 중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에게 소아우울척도(CDI), 소아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PBI)를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행장애 환아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증상면에서 상태불안(state anxiety)이 높았으나 우울과 특성불안(trait anxiety)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2) 품행장애 환아들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 대해 돌봄이 적고 과보호가 많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어머니의 돌봄은 우울 및 품행문제의 심각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어머니의 과보호는 특성불안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품행장애 환아에 있어 아버지 양육태도의 특성은 그다지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주지 않아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부정적인 양육 방식이 품행장애 소아청소년의 우울, 불안 및 품행문제의 심각도등의 임상경과와 보다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위장관 증상을 동반한 불안장애 환자의 한방 치험 2례 (Two Case Reports of Anxiety Disorder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박진서;길봉훈;김동원;정다해;조혜미;김창완;홍욱기;정윤경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7-185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two patients who experienced gastrointestinal symptoms with anxiety disorder.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Yukgunja-tang, Banhabakchulchunma-tang) and acupuncture for 11 days and 26 days, respectively.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GSRS) scores on the day of hospital admission and after treatment were compared; both the BAI and GSRS scores decreased after treatment. Moreover, the grade of the gastrointestinal symptoms changed from severe to mild or none. Therefore, these cases are useful for describing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anxiety disorders in patients who experience gastrointestinal symptoms. However, additional case reports and studies are be needed in the future to confirm these findings.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하부요로증상의 중증도에 따른 생리학적 지수 및 불안, 우울 (A Study on Physiological Index, Anxiety and Depression by the Severity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김중경;김진범;송민선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127-13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index, anxiety and depression by the severity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the 4th to the 27th of May in 2016 on112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ysuria period of each lower urinary tract symptom,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perceived health state of the patient. The physiological index by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howed a difference in the maximum flow rate, amount of post-void residual urine and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and anxiety and depression factors also revealed a differenc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amount of post voided residual urine and PSA,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 maximum flow rate and also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to depres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belonging to the moderate and severe categories were high when the result wa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of subjec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Considering that depression levels increase as the symptom intensifies and the anxiety score is also high with mild symptoms, psychological support intervention is needed when a pattern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ppears.

긍정사고가 주요우울장애와 공황장애의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연구 (The Effect of Positive Thinking on Treatment Respons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Panic Disorder-A Pilot Study)

  • 정진이;임세원;김은진;하주원;신동원;신영철;오강섭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16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one applies positive thinking, the less severe the symptoms of stress and the better the therapeutic responsein panic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s. Methods : The study included 50 subjects with confirmed diagnoses of panic disorder or major depressive disorders. Positive thinking was assessed using Positive thinking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was used as a subjective measure for depression, and to ensure an objective measure for depression and anxiety, the Hamilton Depression and Hamilton Anxiety rating scales were implemented. Results : The positive thinking scale measured at the initial visit had shown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objective depression. Although patients with a high level of positive thinking had shown a tendency to respond better to the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ose with a lower level,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Positive thinking is likely to ameliorate major depressive disorder, panic disorder-induced depression, and anxiety. Nevertheless,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s of positive thinking on the patients' treatment responses.

  • PDF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정신건강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and Mental Health of Registered Nurses)

  • 주정민;구애진;김성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35-142
    • /
    • 2020
  • 연구목적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정신 증상 위험의 관계를 확인하여 정신신체의학 연구의 임상 근거를 창출하고, 신체화 증상의 의미에 대해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 법 서울시 내 1개 상급종합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간호사 70명에게 자가기입형 도구(Perceived Stress scale, Fatigue Severity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Beck Anxiety Inventory, Symptom Checklist-90-Revision)를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 중 12.9%가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였고 피로, 낮은 에너지, 생리통, 허리 통증이 나타났다. 신체화 증상과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불안한 느낌이나, 자신감의 감소는 신체화 증상의 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신체화 증상이 심한 집단은 우울,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신체적 피로가 높은 집단은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느끼거나 통제력이 감소되는 경험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피로 수준의 증가는 불안과는 관련이 없었고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화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 증상 중 강박과 적대감이 증가하였다. 선형회귀모형에서 스트레스, 우울, 불안은 신체화 증상을 39.3%, 신체적 피로 증상을 16.1% 설명하였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 문화에서 신체화 증상의 특징으로 스트레스 인지 증상의 감소, 우울과 불안 경험, 강박 및 적대감의 동반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신체화와 정신 증상은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상호관련성이 관찰되어 향후 중재 전략 마련에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Fluoxetine 및 Sertraline으로 유도된 심한 세로토닌 증후군 1예 (A Case of Severe Serotonin Syndrome Induced by Fluoxetine and Sertraline)

  • 전진숙;이상신;김성희;조웅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1호
    • /
    • pp.167-174
    • /
    • 2001
  • A 54-year old male patient who was suffering from bipolar I disorder for 19 years and was admitted to the National Bugok Mental Hospital due to a depressive episode, was referred to the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On arrival at the emergency room, he had confused mentality with disorientation, memory impairment, hypomania, marked anxiety and hyperirritability. The change of neuromuscular activity such as ataxia, gait disturbance, tremor, shivering, myoclonus and epileptic seizures was also shown. In addition, the symptoms and signs of autonomic instability including diaphoresis, tachycardia, hypotension, fever and facial flushing were noticed. The above symptoms develop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sertraline successive to the discontinuation of fluoxetine without any washout period. The degree of severity seemed to be severe because he had epileptic seizures, fever and hypotension. He was recovered from the severe serotonin syndrome by the supportive symptomatic treatment with sodium valproate, clonazepam, lorazepam and cyproheptadine after cessation of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during hospitalization. Therefore, this rare case of severe serotonin syndrome was reported and related literatures were also reviewed.

  • PDF

복합외상과 극단적 스트레스 장애 (Complex Trauma and Disorder of Extreme Stress(DESNOS))

  • 박선철;김석현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0-88
    • /
    • 2009
  • Disorder of Extreme Stress, Not Otherwise Specified (DESNOS) is the proposed diagnosis that meets the severe, complex, and prolonged psychological sequela of victims with chronic traumatization (e.g., family violence, incest, and childhood sexual or physical abuse). The hallmarks of DESNOS are a multiplicity of symptoms (e.g., somatization, dissociation, and depression), pathological changes in relationships, identity disturbances, and a propensity to experience repeated harm and injury at the hands of oneself and others. DESNOS can be directly assessed by Structured Interview of Disorder of Extreme Stress (SIDES) and Self- Report Inventory of Disorder of Extreme Stress (SIDES-SR). The treatment of DESNOS should be phaseoriented and involve movement back and forth among three basic stages : 1) stabilization ; 2) trauma processing ; 3) reintegration.

  • PDF

Minimal sedation using oral sedatives for multi-visit dental treatment in an adult patient with dental phobia

  • Song, Seung-Rye;You, Tae Mi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4호
    • /
    • pp.369-376
    • /
    • 2021
  • In adult patients with dental phobia, dental treatment may be difficult, or may not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level of fear or anxiety, non-pharmacological or pharmacologic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are used in the dental treatment of such patients. Among the pharmacologic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minimal sedation, that is, the lowest depth of sedation, can be easily obtained in adult patients using oral sedatives, does not require special equipment or tools, and does not affect ventilatory and cardiovascular function. Diazepam is an anxiolytic drug belonging to the benzodiazepine family that, in addition to relieving anxiety, produces muscle relaxation, and is a representative drug used in adult patients with fear of dental treatment.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a 50-year-old woman with severe dental fear who successfully underwent long-term dental treatment in approximately 20 visits with minimal sedation using oral diazepam. In addition, we reviewed the considerations for the use of benzodiazepines for minimal sedation.

입원 환아 어머니의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anxiety of mothers who have hospitalized ill children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korean mothers with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 오재우;문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311-319
    • /
    • 2012
  • 본 연구는 환아의 입원으로 인한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불안 정도를 파악하여 입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을 감소시키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전 소재의 K대학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 한국인 어머니 각 100명 총 200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는 Sielberger(1972)의 STAI를 한국인에 맞게 번역한 김정택 (1978)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상태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의 경우 2.11,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경우 2.17, 기질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의 경우 2.09,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경우 1.94로 나타났다. 입원 환아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불안을 비교해 본 결과 상태불안과 기질불안 모두에서 집단간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불안상황에서 한국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 둘 다 처치나 치료에 대한 설명이 없을 때 심한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 환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 환아의 경우 성별, 입원횟수에 따른 기질불안이(P<.05)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에서는 월평균수입 상태에 따른 상태불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다문화가정 어머니에서는 검사방법을 인지하게 된 경로에서 기질불안이(P<.05)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환아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어떠하든지, 환아의 일반적 특성에 관계없이 자녀의 입원에 대해 대부분의 어머니의 경우에서 불안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환아 어머니의 불안해소를 위한 간호가 적극적으로 계획되어 다양한 간호중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의 치과치료장면 그림에 투사된 치과불안도 (DENTAL ANXIETY OF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OJECTED IN THE DRAWING OF DENTAL TREATMENT SITUATION)

  • 김윤희;이광희;라지영;이동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90-397
    • /
    • 2007
  • 어린이의 치과불안도를 측정하고자 전주와 익산 3개 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 213명을 대상으로 치과치료장면을 그리게 하였고, 보조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정된 Sheskin 방법에 의하여 그림을 분석하고 치과불안도(Dental Anxiety Scale, DAS) 점수를 산출하였다. 치과불안도의 점수별 분포는 최저치 0점과 최고치 6점 사이에서 2점이 29.1%로서 가장 많았고, 평균치는 2.00이었다. 치과치료 경험이 없는 어린이들의 치과불안도 평균 점수는 2.82로서 경험이 있는 어린이들의 점수 1.92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P<0.05). 남아의 치과불안도 평균 점수는 2.00점, 여아는 1.99로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과치료시 심한 공포를 경험한 어린이들의 비율은 8.2%이었고, 심한 동통을 경험한 어린이들의 비율은 5.6%이었다. 치과치료에 대해 약간 혹은 매우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낸 어린이들의 비율은 19.9%, 치과의사에 대해 약간 혹은 매우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낸 어린이들의 비율은 4.6%로서 치과의사보다 치과치료에 대해 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