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vere alveolar ridge resorp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단일치아의 심한 치조골 소실 환자에서 블록형 자가치아골이식재를 이용한 치조능증대술: 증례보고 (Ridge Augmentation Using Block Type of Autogenous Tooth Bone Graft Material in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of Single Tooth: Case Report)

  • 박인숙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62-465
    • /
    • 2012
  • Horizontal and vertical ridge augmentation with implant placement was performed, using a block type of autogenous tooth bone graft in a 37-year old male patient. This material was very useful for the case of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of a single tooth. After 13 months, excellent bony healing was obtained and final restoration was performed successfully.

과도한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무치악 환자에서 Centric tray와 폐구법 인상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Fabrication of complete denture using Centric tray and closed mouth technique for edentulous patient)

  • 정수아;마보영;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20-125
    • /
    • 2018
  • 기존의 의치 인상채득 방법은 치조제 흡수가 심한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한계점이 있으며, 의치상을 과도하게 연장하여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나 가동성조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인상 채득을 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총의치의 적절한 안착을 방해할 수 있다. 치조제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폐구법 인상을 이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하면 더 나은 안정성과 유지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86세의 여자환자로 상악 전치부에 치은열성비대가 존재하며 하악의 심한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무치악 환자이다. 따라서 Centric tray를 이용하여 잠정적인 교합고경을 결정 후 고딕아치 장치를 부착한 맞춤형 트레이를 제작하였고, 폐구법 인상채득을 시행하여 상하악 총의치를 제작하였으며, 의치의 충분한 안정성과 유지력을 얻어 환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불량한 치조제에서의 임플랜트 시술증례 (IMPLANT REHABILITATION IN THE UNFAVORABLE ALVEOLAR RIDGE)

  • 박재범;안상헌;정수일;조병완;안재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1호
    • /
    • pp.35-44
    • /
    • 1997
  • The most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which type of implant to be used would be the available bone of the patient. Usually a minimum of 5mm in the bone width and 8mm in the bone height is necessary to ensure primary implant stability and maintain the integrity of bone contact surface. Placement of implant is limited by the several anatomic strutures such as maxillary sinus, floor of the nose, inferior alveolar neurovascular bundle and nasopalatine foramen, etc. When severe resorption of alveolar ridge is encountered, implant placement would be a problematic procedure. A number of techniques to improve the poor anatomic situations have been proposed. This article reports 4 cases of patients using surgical procedures such as blade implant technique, cortical split technique in the anterior maxillary area, sinus lifting and lateral repositioning of inferior alveolar nerve, We treated dental implant candidates with unfavorable alveolar ridge utilizing various surgical techniques, resulted in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ridge.

  • PDF

심한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무치악 환자에서 Jiro Abe법에 의한 완전틀니 제작 증례 (Complete denture fabricated by Jiro Abe's method for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ridge resorption: a case report)

  • 전대전;양동헌;방몽숙;양홍서;박상원;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38-345
    • /
    • 2014
  • Jiro Abe법에 의한 완전틀니 제작 방법은 의치 상연부의 전체 주위를 가동 점막으로 봉쇄하는 것에 의해 연하 또는 교합 시 의치상 내면에서 일시적인 음압을 형성하여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특히 하악 치조제가 심하게 흡수된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Jiro Abe법에 의한 인상채득과 의치 제작을 함으로써 임상적으로 의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환자의 만족도를 높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 (Alveolar ridge preservation using granulation tissue for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on maxillary anterior tooth)

  • 이창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23
  •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의 성공에 있어서 심미적인 요소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심미적인 결과를 얻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치주염으로 인해 치조골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라면 더욱 그러합니다. 상악 전치부의 경우, 발치 직후부터 시작되는 치주 조직의 위축이 심미적 수복을 방해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치 즉시 임플란트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치조골 소실이 심한 경우 발치 즉시 식립은 심미적 실패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고, 이런 결과는 돌이킬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그래서 치조제 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을 시행하고 이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기도 합니다. 2019년 JCP에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시기와 발치와 처치에 대한 유럽치주학회의 consensus가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심미적으로 중요한 부위에서 순측 치조골의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 치조제 보존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치조제 보존술을 하게 되면 primary closure가 어렵기 때문에 open membrane technique으로 이차치유를 유도하거나 FGG, CT graft를 시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차 치유 과정은 골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연조직 이식은 환자와 술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치조골 결손이 심한 발치와에 있는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하게 되면 연조직 이식 없이도 primary closure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육아 조직에 조직 재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줄기세포가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치조골 및 연조직 결손이 심한 상악 전치부 치아를 육아 조직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을 통해 임플란트 수복을 시행하였습니다. 결손이 심한 발치와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치조제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중립대 및 치조제 관계를 고려한 총의치 수복 증례 (Neutral zone and alveolar relation consideration for fabricating complete denture in a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 case report)

  • 김형준;장우형;박찬;윤귀덕;임현필;박상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14-221
    • /
    • 2023
  • 잔존 치조제의 흡수가 심하게 진행된 환자에서 안정된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그 중 하나는 중립대(Neutral zone)로, 기능하는 동안 구강 안에서 밖으로 향하는 혀의 압력과 밖에서 안으로 향하는 볼과 입술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는 잠재적인 영역으로 정의된다. 만약 치조제의 흡수가 심한 경우에 통상적으로 잔존 치조제 상방에 치아를 배열한다면 치아는 기존 위치보다 설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혀의 기능공간을 침범하게 되어 혀가 후방으로 위치하게 되고, 설측 변연의 봉쇄가 깨져 의치를 탈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하악의 치조제를 잇는 치조정간선을 상정하고 저작력을 치조정간선에 일치시키도록 상·하악 인공치를 배열하는 것 또한 의치의 안정에 중요하다. 따라서 불량한 잔존 치조제를 지닌 환자에게 중립대 인상 및 치조제 관계 분석을 이용해 의치를 제작하여 좋은 임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Effect of slow forced eruption on the vertical levels of the interproximal bone and papilla and the width of the alveolar ridge

  • Kwon, Eun-Young;Lee, Ju-Youn;Choi, Jeomi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379-385
    • /
    • 2016
  • Objective: Forced eruption has been proposed for the reconstruction of deficient bone and soft tiss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alveolar ridge width and the vertical levels of the interproximal bone and papilla following forced eruption. Methods: Patients whose hopeless maxillary anterior teeth were expected to undergo severe bone resorption and soft tissue recession upon extraction were recruited. In addition, patients whose maxillary anterior teeth required forced eruption for restoration due to tooth fracture or dental caries were included. Before and after forced eruption, the interproximal bone height was measured by radiographic analysis, and changes in the alveolar ridge width and the interproximal papilla height were measured with an acrylic stent. Results: This prospectiv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levels of the interproximal alveolar bone and papill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1.36 mm and 1.09 mm, respectiv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alveolar ridge width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an average of 0.67 mm in the buccolingual direction. The changes in the level of the interproximal alveolar bone and papilla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nclusions: Although the levels of the interproximal bone and papill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lveolar ridge widt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forced eruption. There was a modest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in the height of the interproximal alveolar bone and the papilla. Based on our findings, modification of vertical forced erup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augmentation of the alveolar ridge width is required.

Socket preservation using deproteinized horse-derived bone mineral

  • Park, Jang-Yeol;Koo, Ki-Tae;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Rhyu, In-Chul;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0권5호
    • /
    • pp.227-231
    • /
    • 2010
  • Purpose: The healing process following tooth extraction apparently results in a pronounced resorption of the alveolar ridge. As a result, the width of alveolar ridge is reduced and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occur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evaluate the results of using horse-derived bone mineral for socket preservation. Methods: The study comprised 4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extraction as a consequence of severe chronic periodontitis or apical lesion. The extraction was followed by socket preservation using horse-derived bone minerals. Clinical parameters included buccal-palatal width, mid-buccal crest height, and mid-palatal crest height. A histologic examination was conducted. Results: The surgical sites healed uneventfully. The mean ridge width was $7.75{\pm}2.75\;mm$ at baseline and $7.00{\pm}2.45\;mm$ at 6 months. The ridge width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aseline and 6 months. The mean buccal crest height at baseline was $7.5{\pm}5.20\;mm$, and at 6 months, $3.50{\pm}0.58\;mm$. The mean palatal crest height at baseline was $7.75{\pm}3.10\;mm$, and at 6 months, $5.00{\pm}0.82\;m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aseline and 6 months regarding buccal and palatal crest heights. The amount of newly formed bone was $9.88{\pm}2.90%$, the amount of graft particles was $42.62{\pm}6.57%$, and the amount of soft tissue was $47.50{\pm}9.28%$. Conclusions: Socket preservation using horse-derived bone mineral can effectively maintain ridge dimensions following tooth extraction and can promote new bone formation through osteoconductive activities.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condyle fracture using gothic arch tracing and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A case report)

  • 최인호;김성아;김나홍;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45-152
    • /
    • 2020
  • 심미와 기능이 조화를 이루는 총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상하악 관계를 정확히 기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고딕아치 묘기법은 하악의 운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정확하고 반복재현성 있는 중심위를 확립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고도의 치조제 흡수를 갖는 환자에서는 총의치의 적절한 유지 및 안정을 얻기가 어려운데, 이런 경우 환자의 생리적인 동작으로 변연을 형성하여 의치상연 주위가 가동점막으로 봉쇄되도록 하는 폐구 인상법이 유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우측 하악과두골절 병력과 고도의 하악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서 폐구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로 수복하였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치조골 흡수가 심한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 증례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is for complete edentulous maxilla with severe alveolar ridge resorption: A case report)

  • 최윤지;이지현;진민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52-159
    • /
    • 2016
  • 상악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수복 치료는 전통적인 가철성 의치에 비해 안정성과 유지력이 개선되어 저작, 발음 등의 기능적인 면과 환자의 심리적 안정성 및 만족도에서 이점을 갖는다. 본 증례에서 환자는 치주질환에 이환된 국소의치의 지대치를 모두 발거한 상악무치악 상태로, 7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였다. 잔존 치조골의 흡수가 심한 전치부 골 결손부위에는 적절한 상순 지지를 얻기 위해 부피가 큰 지르코니아 하부구조물을 제작하였고, 치경부에 분홍색 도재를 축성하여 치은 연조직의 색조 및 외형을 재현하였다. 치료 후 9개월간의 임상 관찰에서 환자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하였고, 보철물은 합병증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