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aria viridis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인공호 호소사면 나대지의 식물분포 특성과 녹화를 위한 식물 종 선정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 천경식;김경아;서원복;장진환;유기억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41
    • /
    • 2010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was investigated in nine artificial lakes. The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64 families, 194 genera, 268 species, 3 subspecies, 30 varieties, 3 forma, totaling 304 taxa. Dominant species of nine investigated areas were represented as Ambrosia trifida,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Xanthium italicum. Dominant species of three parts based on the location of artificial lakes were as follows:Ambrosia trifida, Bidens tripartita,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Setaria viridis, Spergula arvensis, Torilis japonica in northern part (Lake Paro and Soyang);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Rumex crispus, Xanthium italicum in middle part (Lake Chungju, Daecheong, Andong and Imh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Bidens frondosa, Chenopodium glaucu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ersicaria pubescens, Setaria viridis in southern part(Lake Juam, Hapcheon and Jinyang). Among the 304 taxa, Korean endemic, endangered and rare plants were not investigat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6 taxa, and life form was Th-$R_5-D_4$-e type. Above the results,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Xanthium italicum, Matricaria matricariodes, and Spergula arvensis were considered with proper species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단자엽 식물아강(관속식물문 : 피자식물강)의 잡초 가해 곤충상 (Phytophagous Insect Fauna of Monocotyledoneae (Tracheophyta : Angiospermae) Weeds)

  • 추호렬;우건석;김준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0-173
    • /
    • 1992
  • 단자엽식물아강의 잡초가해 곤충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각도를 전자형으로 나누어 교차지점인 9개지역을 중심으로 각도에서 무작위로 실시한 결과 잡초로는 벼목에서 14속 14종이 채집되었으며 분질배유목에서 1종, 백합목에서 1종등 17속 17종이 채집되었다. 이들을 가해하는 곤충으로는 5목 13과 27속 36종이 채집되었는데 메뚜기류와 노린재류 및 풍뎅이와 잎벌레가 빈번하게 채집되었고 5종은 미동정 되었다. 그중 닭의장풀에서 노란배남색잎벌레의 가해능력이 우수하였고 강아지풀에서 Oulema dilutipes 잎벌레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그리고 골프장의 닭의장풀에서 채집된 다색풍뎅이는 가해능력은 우수하였으나 잔디와 수목해충으로 이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바람직하지못하였다.

  • PDF

제주도 개민들레군락군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 in Jeju Island)

  • 양영환;김문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7-236
    • /
    • 2002
  • 본 연구는 제주도의 개민들레군락군(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에 대하여 식물 사회학적 방법으로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조사지역에서 출현하는 관속식물상은 47과 136속 171종 22변종 1품종 (귀화식 물 16과 47속 64종 3변종 포함)이 확인되었다. 2 제주도에 분포하는 개민들레(Hypochoeris radicata)군락군은 식생학적으로 기 보고된 표징종에 의해서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갯강아지 풀 - 갯 잔디 군락(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s -Zoysia sinica community)으로 대별되었다. 3. 개민들레는 해안에서 해발 1,700m 윗세 오름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4. 개민들레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120m 서귀포시 서흥동 근처이며 , 가장 낮은 곳은 해발 2m인 남제주 성산리 해안지역이다. 5. 금번조사 중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벼과의 고사리새(Catapodium rigidium)가 발견되었다.

강아지풀 종류별 종자발아특성과 제초반응 차이 (Studies o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l Responses to Herbicides in Setaria Spp.)

  • 김진석;김태준;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7-193
    • /
    • 1996
  • 금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강아지풀 종자의 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차이를 조사하여 시험재료로서 발아력이 양호한 종자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조건들을 찾음은 물론 종간 발아특성 차이와 제초제에 대한 반응차이간의 관련성 여부를 검토하여 보았다. 금강아지풀의 경우 실온건조에서, 가을강아지풀 및 강아지풀의 경우는 저온습윤에서 가장 빨리 휴면타파 되었다. 휴면의 정도는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순으로 강한 경향이었다. 금강아지풀의 경우 휴면타파된 종자를 저온습윤 또는 저온건조에 보관하더라도 발아력에 변함이 없었으나 가을강아지풀 및 강아지풀의 경우는 저온건조에 두면 발아속도가 늦어지며 초기발아율이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50% 이상의 발아력(2개월째)은 유지하였다. 금강아지풀 종자를 실온건조에 보관할 경우 6년 이상이면 발아력이 감퇴되었다. 발아는 세 종류 모두 $30^{\circ}C$ 14시간/$20^{\circ}C$ 10시간의 온도조건에서 양호하였으며 광의 유무에 따른 발아율 타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Cycloxydim, sethoxydim, primisulfuron 처리에서는 종간 반응차이가 없었으나, fenoxapropethyl은 가을강아지풀과 강아지풀에서, fluazifopbutyl은 가을강아지풀에서, clorimuron-ethyl은 금강아지풀파 가을강아지풀에서 감수성 정도가 약간 높았을 뿐이었다. 반면에 EK-2612는 반응 차이가 현저하여 강아지풀보다 금강아지풀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로 볼 때 동일 작용메카니즘을 가지는 약제들간에도 종간에 일관된 반응차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화합물에 의존하는 반응을 보였으며, 종간 발아특성 차이와 제초반응과는 어떠한 관련성이 없었다.

  • PDF

Toxic Effects of Serpentine Soils on Plant Growth

  • Kim, Jeong-Myeong;Shim, Jae-K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4호
    • /
    • pp.327-331
    • /
    • 2008
  • Serpentine soils are distributed in a small area in Korea, and generally exhibit high contents of Ni, Cr, Fe, Mn, Co and Mg. We investigated the growth of woody plants and herbs in the Andong serpentine area, Korea.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growing on serpentine soils have high contents of Fe, Mg, Ni and Co, with contents approximately twice as high as those of non-serpentine plants. Tree species on serpentine soil also had lower ratios of tree height/DBH than trees in a control area. In greenhouse culture experiments on two bodenvag herb species, Setaria viridis and Cymbopogon tortilis, the biomass of the plan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oil type but not by seed origins. After 66 days, the growth of S. viridis and C. tortilis seedling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serpentine soil, and the dry weight of each speci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il heavy metal contents (Ni, Co and C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wth of plants was inhibited by properties of the serpentine soil, and in particular, their high heavy metal concentration, which induced dwarfing in woody plants and reduction of total plant biomass in herbs.

대구지역 노상식물군락의 분류와 분포 특성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adbed Plant Communities in Daegu, Korea)

  • 안경환;김종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31-36
    • /
    • 2005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권역 내의 노상식생에 대하여 군락분류를 수행하고, 분류된 식생 유형에 대한 생태적 분포 특성을 규명하였다. 총 50 개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자료를 이용하여 Z.-M. 학파의 군락분류법이 수행되었으며, 주좌표분석법(PCoA)에 의하여 식물군락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구지역의 노상식생은 5 개의 식물군락(그령군락, 질경이군락, 왕바랭이군락, 강아지풀군락, 바랭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광엽형 노상식생은 질경이군락뿐으로 화본형 노상식생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다. 노상식생의 서식처는 토양환경조건의 안정성과 수분조건에 의하여 안정-적습, 불안정-적습, 안정-건조, 불안정-건조의 네 가지 분할로부터 각 식생유형과 대응되었다. 노상식생에서 가장 높은 상대기여도를 나타내는 출현종은 바랭이, 왕바랭이, 그령, 질경이, 돌피, 토끼풀, 마디풀, 강아지풀, 금강아지풀, 쑥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몬순 이후에 화기(花期)를 가지는 바랭이, 왕바랭이, 그령 등이 상대기여도 50%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사실이 특기되었다. 대구 노상식생의 특성은 대구생물기후구와 한반도의 $C_4$식물계절(후몬순계절), 그리고 일본 및 동아시아의 노상식생 최상급단위로 제창된 질경이군목과의 식생학적 차별성 등으로 정의되었다.

海安 鹽濕地 植生의 純生産性 推定法의 比較 (Comparison of Estimation Methods for Primary Net Production at Herbaceous Coastal Marsh Vegetation)

  • Ryu, Beung Tae;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3호
    • /
    • pp.133-140
    • /
    • 1985
  • Aboveground net productions of four stands in the coastal salt marsh of Incheon were estimated with three different methods: first method was to measure peak live standing crop; second to measure both live and dead standing crops; thrid to measure live and dead standing crops and dead disappearance as well. Net productions estimated by the first method were lowest with a difference of 28~50% from those by the third method. Whereas estimates by the second method approximated considerably to those by the third method with a difference of 4~15%. The third method figured out the highest values and seemed to be most appropriate in estimating net production of herbaceous community. Form these results it is known that live standing crop, dead standing crop and dead disappearance respectively accounted for about 60, 30, 10% of net production estimated by the third method. Annual net productions estimated by the third method for Suaeda japonica-Salicornia herbacea, Artemisia scoparia-Limonium tetragonum, Calamagrostis epigeios, and Sonchus brachyotus-Setaria viridis stand were 650, 1, 080, 1, 409 and 1, 126 g.$m^{-2}.yr^{-1}$, respectively.

  • PDF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I)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I))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1-191
    • /
    • 1994
  • Occurrence of diseases in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is poorly known. This paper reports short descriptions on symptom, occurrence condition, pathogen, and some phytopathological notes for each 10 fungal plant diseases new to Korea; leaf spot of Rosa multiflora with Seimatosporium discosioides causing leaf spot and defoliation, leaf blight of Equisetum arvense with Titaeospora equiseti causing leaf spot to leaf blight, leaf blight of Setaria viridis with Phyrenochaeta setariae causing leaf spot of Aster tataricus with Septoria astericola causing leaf spot and black spot, powdery mildew of Clematis fusca var. coreana with Erysiphe ranunculi causing powdery mildew and dwarfing, powder mildew of Ligularia stenocephala with Erysiphe galeopsidis causing powdery mildew and dwarfing, powdery mildew of Phlox subulata with Erysiphe cichoracearum causing powdery mildew and defoliation tar spot of Lonicera japonica with Rhytisma lonicericola causing tar spot and dwarfing, white rust of Pharbitis nil with Albugo ipomoeae-pandulatae causing white rust and deformation, and white rust of Achyranthes japonica with Albugo achyranthis causing white rust and defoliation.

  • PDF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of Allium tuberosum Rottler and Weed Control

  • Kim, Jin-H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2-24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growth of Chinese chive (Allium tuberusum Rottler) and weed control. Chinese chive was grown under five mulching materials, pine leaf, oak leaf, rice straw, rice hull and sawdust,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rom June 20, 2009 to September 30, 2009. Amaranthus mangostunus, Digitaria sanguinalis, Portuclaca. oleracea, Echinochioa crus-galli var. frumetacea and Setaria viridis were dominant weeds. Both pine and oak leav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mulching materials in terms of weed control indices in both nursery and field. Soil moisture contents were 1.2~3.7% higher in mulching, especially in oak leaf mulching. Mulching with pine leaf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sheath length, leaf length, bulb-, root- and leaf-weights and yield of Chinese chiv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mulching materials although better than those in non-mulching.

잡초와 작물에 대한 알팔파 잔유물의 Allelopathy 효과 (The Allelopathic Effect of Alfalfa residues on Crops and Weeds)

  • 유창연;전인수;정일민;허장현;김이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1-140
    • /
    • 1995
  • 본 실험은 allelopathic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alfalfa식물을 이용하여 주요 특용작물과 잡초의 발아 및 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falfa 건조분말의 토양혼화시 건조분말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물, 들깨, 도라지 및 잡초(바랭이, 강아지 풀, 털진득찰, 개비름, 까마중)의 발아율 및 줄기와 뿌리생육이 억제되었으며, 건조분말농도가 10% 이상일때는 80% 이상 발아 및 생육의 억제를 가져왔다. 2. Alfalfa의 생체추출물도 작물(알팔파, 보리, 호밀, 참깨) 및 잡초(피, 강아지풀, 쇠비름)의 발아 및 뿌리와 줄기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생체추출 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반응의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생체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잡초 및 작물발아 및 뿌리와 줄기생육을 억제하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3. 알팔파 건조분말 추출물질도 알팔파, 도라지, 보리, 참깨 및 잡초(바랭이, 털진득찰, 강아지풀, 쇠비름, 피) 등의 발아율, 줄기 및 뿌리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추출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건조분말 농도가 10% 이상이었을때 털전득찰, 쇠비름 등의 발아가 전혀 안되었으며 강아지폴은 15%만 발아가 되었다. 4.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한 알팔파가 함유한 phenol compounds 중 salicylic acid가 전체 phenol compounds의 70% 정도 차지하고 있어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syringic acid, ferulic acid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