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quential detection

Search Result 26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Insider threat using Markov Chain Model

  • Kim, Dong-Wook;Hong, Sung-Sam;Han, Myung-Moo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4호
    • /
    • pp.1887-1898
    • /
    • 2018
  • In this paper, a method to classify insider threat activity is introduced. The internal threats help detecting anomalous activity in the procedure performed by the user in an organization. When an anomalous value deviating from the overall behavior is displayed, we consider it as an inside threat for classification as an inside intimidator. To solve the situation, Markov Chain Model is employed. The Markov Chain Model shows the next state value through an arbitrary variable affected by the previous event. Similarly, the current activity can also be predicted based on the previous activity for the insider threat activity. A method was studied where the change items for such state are defined by a transition probability, and classified as detection of anomaly of the inside threat through values for a probability variable. We use the properties of the Markov chains to list the behavior of the user over time and to classify which state they belong to. Sequential data sets we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n occurrences of Markov attribute and classified by machine learning algorithm. In the experiment, only 15% of the Cert: insider threat dataset was applied, and the result was 97% accuracy except for NaiveBayes. As a result of our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Markov Chain Model can classify insider threats and can be fully utilized for user behavior classification.

장면전환검출을 위한 Hybrid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brid Algorithm for Scene Change Detection)

  • 이문우;박종운;장종환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507-520
    • /
    • 2001
  • 압축된 동영상에서 인덱싱을 위한 장면전환 검출기법에서 기존의 방법들은 순차검색, 비순차검색, 모션벡터 등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의 장면전환 검출 속도 및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비순차적 검색 방법을 이용한 Hybrid 기법을 제안하였다. 비순차적 검색방법만으로는 영상의 급격한 변화에는 좋은 결과를 보이지만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구간에서는 검출성능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급진적인 장면전환검색에는 이진검색기법을 사용하고 점진적인 장면전환검색에서는 분산을 이용하는 Hybrid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검색속도 및 검색성능을 개선하였다. 검색속도는 기존의 순차검색 방법에 비해 10배정도 향상되었다.

  • PDF

형광 안저 사진의 기하 왜곡 교정 (Geometric distortion correction of fluorescein ocular fundus photographs)

  • 권갑현;하영호;김수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권2호
    • /
    • pp.183-192
    • /
    • 1991
  • 형광 안저 사진은 형광 물질을 정맥에 주사한 후 안저를 연속 촬영한 것으로 이로부터 망막 및 맥락막의 혈관 상태를 관찰하여 안과계 질환 뿐만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등 내과계 질병도 진단한다. 순차적으로 안저 사진을 촬영할 때 안구의 불규칙적인 운동으로 인하여 프레임마다 특정 영역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조명 상태의 변동에 의해 프레임마다 배경 명암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형광 안저 사진에서 프레임간 변화분을 검출하기 위해 직접 두 프레임을 빼는 것은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형광 안저 사진의 프레임간 변화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형광안저 사진의 기하 왜곡을 교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안저 사진으로부터 혈관을 검출하고 이를 세선화하여 제어점의 좌표를 정한다. 제어점을 이용하여 기하 변환함수를 구하고 각 프레임을 맵핑하므로써 기하 왜곡을 교정한다. 기하 왜곡을 교정한 두 프레임을 화소별로 빼어 차영상을 구한 결과 프레임간 변화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다.

  • PDF

R형 자탐설비의 중계기 오동작 방지 대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lfunction Prevention for Transponder of Record Type Fire Alarm System)

  • 유재익;정재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4-59
    • /
    • 2014
  • The record type receivers that are operated in large industrial sites have strength in preventing fire. However, because of its long circuit lines and multiple detectors, the receivers are vulnerable to lightning, noise, and breakdown of equipments, resulting in malfunction. In case of malfunctioning of detection circuits of main protection areas, such as electrical room and server room, potential release of gaseous extinguisher agents may lead to property and life damag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nder that initiates the solenoid valves, with respect to various electromagnetic and lightning inflow conditions. Based on the measured data, we analyzed the systematic problems of the transponder. In order to prevent receiver malfunctions, a sequential circuit was configured with two additional transponders and a timer. The circuit was tested with a simulator with preference and delay circuit algorithms.

스케일-스페이스 필터링을 통한 특징점 추출 및 질감도 비교를 적용한 추적 알고리즘 (Feature point extraction using scale-space filtering and Tracking algorithm based on comparing texturedness similarity)

  • 박용희;권오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85-9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시퀀스 이미지에서 스케일-스페이스 필터링을 통한 특징점 추출과 질감도(texturedness) 비교를 적용한 특징점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해서 정의된 오퍼레이터를 이용하는데, 이때 설정되는 스케일 파라미터는 특징점 선정 및 위치 설정에 영향을 주게 되며, 특징점 추적 알고리즘의 성능과도 관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케일-스페이스 필터링을 통한 특징점 선정 및 위치 설정 방안을 제시한다. 영상 시퀀스에서, 카메라 시점 변화 또는 물체의 움직임은 특징점 추적 윈도우내에 아핀 변환을 가지게 하는데, 대응점 추적을 위한 유사도 측정에 어려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Shi-Tomasi-Kanade 추적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아핀 변환에 비교적 견실한 특징점의 질감도 비교를 수행하는 최적 대응점 탐색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자기조직화 신경망을 이용한 다중 표적 추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ple Target Tracking Using Self-Organizing Neural Network)

  • 서창진;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304-1311
    • /
    • 2003
  • 실세계환경에서 물체를 추적하는 기술은 영상의 지속적인 변화 및 영상데이터 방대함과 처리속도의 문제로 인하여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특히 해상과 같은 환경에서는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환경에서 물체를 추적하고 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기조직화 신경망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접근 방법은 코호넨의 자기 조직화 신경망 분석 기법과 영역확장 기법 및 에너지 최소화함수를 이용하여 물체 추적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자기조직화 신경망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이동하는 물체의 중심점을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적인 영상에서 이전에 탐지되어진 뉴런의 위치를 이용하여 물체를 추적할 수 있다. 자기조직화 신경망을 이용한 물체 추적의 실험결과 다양한 환경의 변화에서도 물체의 추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SAR 영상을 이용한 자동 표적 식별 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Using SAR Imagery)

  • 박종일;김경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063-1069
    • /
    • 2011
  • 레이더 영상이나 광학 영상, 적외선 영상 등을 이용하여 표적을 식별하는 기술을 NCTR(Non-Cooperative Target Recognition) 또는 ATR(Automatic Target Recognition)이라 한다. 그 중에서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지상 표적을 식별하는 것을 SAR ATR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SAR ATR은 탐지, 변별 및 식별 단계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ISAR(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 식별을 위해 개발된 극사상식별기(polar mapping classifier)를 수정하여 SAR 표적 식별에 이용하였으며, 전처리 과정을 통해 클러터 화소의 영향을 줄이고 표적의 그림자 화소들 표적 식별에 이용하여 식별 성능을 향상시켰다.

Petri Net Modeling and Analysis for Periodic Job Shops with Blocking

  • Lee, Tae-Eog;Song, Ju-Seog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공군사관학교, 청주; 26-27 Apr. 1996
    • /
    • pp.314-314
    • /
    • 1996
  • We investigate the scheduling problem for periodic job shops with blocking. We develop Petri net models for periodic job shops with finite buffers. A buffer control method would allow the jobs to enter the input buffer of the next machine in the order for which they are completed. We discuss difficulties in using such a random order buffer control method and random access buffers. We thus propose an alternative buffer control policy that restricts the jobs to enter the input buffer of the next machine in a predetermined order. The buffer control method simplifies job flows and control systems. Further, it requires only a cost-effective simple sequential buffer. We show that the periodic scheduling model with finite buffers using the buffer control policy can be transformed into an equivalent periodic scheduling model with no buffer, which is modeled as a timed marked graph. We characterize the structural properties for deadlock detection. Finally, we develop a mixed 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the no buffer problem that finds a deadlock-free optimal sequence that minimizes the cycle time.

  • PDF

자동차 환경내 안정적인 VoIP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지터 추정 알고리즘 (Network Jitter Estimation Algorithm for Robust VoIP System in Vehicle Environment)

  • 서광덕;이진호;김형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93-9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환경내 안정된 VoIP 통신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지터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패킷간의 도착시간과 생성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패킷이 겪은 현재 네트워크 환경을 추정하고, 추정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네트워크 지터 추정에 사용될 네트워크 지터 분산 가중치를 조정한 후에, 조정된 지터 분산 가중치와 네트워크 지터의 평균과 분산을 계산하여 다음에 도착할 패킷의 네트워크 지터를 추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WiFi를 이용한 VoIP에서 수신단에 도착한 패킷에 대해 Delay와 Loss를 측정함으로써 제안된 방식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부분선형모형에서 반응변수변환을 위한 회귀진단 (Regression diagnostics for response transformations in a partial linear model)

  • 서한손;윤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1호
    • /
    • pp.33-39
    • /
    • 2013
  • 반응변수의 변환을 고려하는 부분선형모형에서 이상치 문제는 선형모형에서와 마찬가지로 반응변수 변환모수의 추정에 왜곡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분선형모형에서 반응변수 변환 모수 추정과 이상치 탐지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지만 모형에 포함된 비모수 함수의 비정형성에 따른 어려움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부분선형모형의 비모수함수에 대한 추정과 순차적 검정, 최대절사우도추정 등과 같은 이상치 제거방법의 적용을 통하여 부분선형모형에서 이상치에 강건한 반응변수 변환 과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들은 모의실험과 예제를 통해 효과를 비교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