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ul Art Spac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8초

도심 빌딩의 이기적 풍수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서울시 종로구 A, B, C빌딩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Yeeki Feng Shui to The Buildings of City Center -Seoul Jongno-gu, A, B, C the Center of The Building)

  • 유채명;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92-99
    • /
    • 2014
  • 기존연구는 양택(陽宅)에서 형기풍수(形氣風水)를 적용한 건축물에 관한 사례연구는 많이 하였으나, 현공풍수(玄空風水)를 적용한 건축물에 대한 사례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공풍수(玄空風水)를 적용한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하는 A, B, C 빌딩의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A빌딩의 지운(地運)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A빌딩은 복(福)이 오랫동안 유지된다는 의미이다. 둘째, 4국에서 왕산왕향(旺山旺向)은 A빌딩과 B빌딩에서 파악되었다. 이 결과는 배산임수(背山臨水)와 같은 형국으로 좋은 국(局)을 갖추었다는 의미이다. 셋째, 이기풍수(理氣風水)로 판단한 길흉은 "상"으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시간과 공간이 잘 형성되어 길한 빌딩으로 기업성장에 큰 발전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선시대 후기 궁중 행사도의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에서 찾아 본 전통 꽃꽂이 양식 (Traditional Style of Flower Arrangement According to Diagram of Royal Protocol and Folding Scre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한상숙;이부영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61-92
    • /
    • 2019
  • 조선시대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등에서 꽃꽂이의 양식을 찾아보았다. 의궤의 도식과 도병에서는 국연(國宴)이 열리는 궁궐 정전(正殿) 중앙의 어좌(御座) 좌우를 장엄하는 선형, 둥근형, 타원형의 준화(樽花)을 확인, 음식 위를 장식하는 상화(床花), 관이나 모자 등을 장식하는 잠화(簪花), 화안(花案)이라고도 하며, 궁중 행사시 차일을 받쳤던 기둥장 식인 화가(花架) 등의 양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가는 초기에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1848년 무신진찬도병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다. 1795년 원행을 묘정리의궤와 화성능행도병에서는 테이블장식과 현대 공간장식으로 볼 수 있는 바닥공간장식과 어사화, 왕이 하사한 꽃을 지팡이에 묶은 꽃 장식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복식미를 보는 시(視)형식 개발 (The Development of Perspectives for Viewing the Aesthetics of Costume)

  • 신주영;김민자
    • 복식
    • /
    • 제58권7호
    • /
    • pp.76-9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cribe formative perspectives as a framework where the aesthetic taste and demands of a certain period are embodied and to develop new analytical tools to examine the beauty of dress in terms of form. First, the theoretical tools selected for this study are Heinrich Wolfflin's formative perspective theory derived from art and Marilyn R. DeLong's framework for visual analysis of dress. Second, several issues that limited the development of a new framework for analyzing the form of dress were identified and addressed. Third, the selected aspects of dress form to be analyzed are specified. They are: silhouette, inner form, structure form, materials and patterns based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dress and space in order to develop new formative perspectives. Based upon these theories a new framework for analyzing dress aesthetics in terms of form is developed. This reconstructed framework consists of three sets of antagonistic representational styles: closed form/open form, linear form/painterly form and multiplicity/unity. Closed form/open form represented in dress can be classified by the clear or obscure silhouette shown no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ess and space around the dress, but also from changeability or invariability of dress in relation to the body. The material, pattern and various design elements are used as the central criteria to determine the linear/painterly characteristics in dress representations. Finally, the multiplicity/unity can b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s. Multiplicity is represented in dress when the parts have a visual priority over the whole, whereas unity is represented when a dress as a whole has visual priority over the parts. A dress represented with closed form, linear characteristic and multiplicity is perceived as a clear form. In contrast, a dress with open form, painterly characteristic and unity is understood to be an obscure form.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establish the formative perspectives for analyzing the form of dress in various periods, cultures and races for the future studies.

1915년 경성 연예관의 일본공연단 연구 - 극장, 퍼포먼스, 나카라이 도수이(半井桃水) (A Study of Japanese Performers in 1915' KEIJO ENGEIKAN : Theater, Performance, and Nakalai ToSui)

  • 홍선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40권
    • /
    • pp.239-264
    • /
    • 2015
  • 20세기 초 '제국'일본의 지(知)를 축적하고 전파하기 위하여 제국대학, 도서관, 박물관 등이 있었다면, 식민지 문화의 영유(領有)를 위해서는 극장이 설립되었다. 극장에서는 연극단과 흥행단, 활동사진 등 다양한 장르의 흥행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박람회가 가지는 다양한 성격 가운데 '박람회는 구경거리', 즉 일상적이지 않은 이벤트이면서 '시정(始政)5년 기념'이라는 국가제전과 융합되었다. 1915년 경성 최장기 흥행은 일본 예기들에 의한 무용 공연이었으며 그들의 노래[패(唄)]는 지배의 정통성을 전한다. 본고는 극장이라는 '문화' 전파의 공간에서 펼쳐진 퍼포먼스에 주목함으로써 그들이 담당한 '제국'의 문화적 파장을 조명하고, 이러한 문화 접경지대에 나타나는 히에라르키의 긴장관계를 주목하였다. 특히 1915년 연예관 공연은 경성의 일본인 연극계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첫째는 연예관이라는 대형 공연장의 출연, 둘째, 50 여 일간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연이 이루어졌다는 점 등에서 그러하다. 또 시기적으로 뒤를 이어 1915년 11월 예술좌의 경성공연 등 거물급 극단의 출연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본고에서 검토한 1915년 경성 연예관 공연의 예술단, 공연장르의 문제, 관객구성의 문제 등을 살펴보고 흥행성과 오락성을 담보하면서 문화지배를 통한 오락과 통치가 공존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조선 일본인의 문화역량을 결집시킨 '경성협찬회'라는 조직적 운영이 동반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결국 1915년 경성 연예관 공연은 예술장르 간의 긴장관계, 공연주체 간 경합관계, 문화권력의 문제를 고스란히 담고 있었다.

3D 프린팅 기술이 접목된 여성 슈즈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men's Shoes Design Utilizing 3D Printing Technology)

  • 김영삼;전여선;박근정;김장현
    • 복식
    • /
    • 제66권8호
    • /
    • pp.14-32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morphological expression typ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men's shoes designs that integrate 3D printing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phological expression types of contemporary shoes that integrate 3D printing technology express a structural form created by repetition. Second, it expresses a dynamic form, which combines organic curves that create an external volume. Third, it expresses a surrealistic form centered on an object with the creation of a unique shape that utilizes objects easily experienced in local surroundings. Fourth, it expresses a hybrid form on a partial derivation. Each of the other system's components are fused to create another beauty that develops a new value in a colorful variation on the shape of 3D printing shoes. The first formative characteristic of women's shoes designs that integrate 3D printing technology is continuity. This creates an invisible form of a new space through repetitive unidirectional layers with a gradual expansion of a unitary seamless curves. Second, it is an exaggeration. This exaggeration elicits an enormous aesthetic quality by structuring the outward space in the difference of the volume formed based on the maximization of a specific part and the volume of a line's atypical movement. Third, it is a decoration. It displays the beauty of a decoration that evokes a unique artistic inspiration by partial unification or a practical representation of a specific form. This can also be seen as superimposing a 3D printing figure that has an outstanding shape onto part of the fashion shoes. Fourth, it concerns a geometrical characteristic that formulates a new structure with rationality in combining basic shapes such as circles, triangles and squares with lines, hexagons and interconnected geometrical forms to create a multi-dimensional space for shoes in a systematic and unidirectional pattern.

숭의묘 건립과 숭의묘 제례악 (Soongeuimyo 崇義廟 Establishment and Soongeuimyo Jeryeak 祭禮樂)

  • 이정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19호
    • /
    • pp.317-346
    • /
    • 2009
  • 숭의묘는 유비를 주향으로 하고 관우와 장비를 배향한 것 외에도 제갈량·조운·마초·황충·왕보·주창·조루·관평 이상 8인을 종향한 사당이다. 배향 인물 중 관우가 포함되어 있어 관왕묘의 하나로 인식되고 논의되었다. 이는 기존에 있던 관왕묘인 동묘, 남묘, 북묘에 이어 '서묘(西廟)'라고도 불린 명칭에서도 확인된다. 물론 관우라는 인물을 모셨다는 공통분모 때문에 관왕묘와 숭의묘의 관련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숭의묘는 관왕묘와 차별되는 면모가 있다. 숭의묘는 배향인물의 측면에서 관왕묘보다 격이 높았고 아악·아악악현·육일무가 수반되어 사용되는 악무(樂舞)의 종류가 현격히 달랐다. 러일전쟁 발발 직후 1904년 4월 27일에 첫 봉안의식이 행해진 후 1908년 7월에 폐지되기까지 숭의묘제례가 행해진 기간은 불과 4년 밖에 안 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덜 알려져 있었다. 게다가 숭의묘 터를 조선총독부에서 고아원과 맹아원으로 사용해 버리는 바람에 그 묘역까지 철저히 훼손되어 숭의묘의 기억을 되돌릴 공간마저 잃어버렸다. 그러나 숭의묘제례는 조선의 전통적인 제례용 악무(樂舞)의 형태를 두루 갖추어 중사(中祀)격으로 행례된 중요한 국가제례의 하나였다. 또한 고종이 황제로 즉위한 후 대한제국의 군사력을 강화하려는 강병책의 일환으로 구상된 제례로, 칭제(稱帝) 이후 환구제례와 더불어 새롭게 만들어졌으며, 대한제국 최후의 국가사전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전시홀 공간특성이 참관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atial features on visitor attitudes at exhibition hall)

  • 단명명;김영선;김봉석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9권
    • /
    • pp.89-10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홀 공간특성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그 요소들이 참관객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이론적 모텔을 정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시주최자가 전시참관객을 유치하기 위해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실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와 관련된 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문헌연구 고찰과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0월 28일부터 11월 5일까지 서을 COEX에서 개최한 전시회를 방문한 참관객을 대상으로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전부 회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총 303부가 실증분석에서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은 SPSS 24.0으로 구현되었다. 연구결과는 전시홀 공간특성의 각 구성요소들은 참관객 지각적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관객 행동적 태도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시홀 공간특성의 각 요인들은 접근성, 심미성, 쾌적성, 편리성 순으로 참관객 지각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전시홀 내의 부스배치, 사설물 배치, 실내 공간의 매력, 실내 온도와 조명 등의 장점을 더욱 강화시키고 실내 휴식공간 등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해나가면 더 많은 참관객 유치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전시홀 공간특성이 참관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여 보다 더 매력적이고 쾌적하고 접근성이 좋은 전시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전시홀 공간의 전략적 경영방안을 마련하는데 지침을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상상적 자아이미지와 패션스타일 - 여성의 퍼스널 패션블로그를 중심으로 - (Imaginary Ego-image and Fashion Styles represented in the Social Media - Focusing on women's personal fashion blogs -)

  • 서성은;김민자
    • 복식
    • /
    • 제64권7호
    • /
    • pp.128-142
    • /
    • 2014
  • In the new media age, the importance of personal style is highlighted, as the fashion recipients independently create their own images by transforming and recombining the fashion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fashion blogs -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social network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and styles of imaginary ego-images represent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as a new space of self-expression, based on Lacan's gaze; the imaginary of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ego-concept. According to literature search, the imaginary ego-image is classified as narcissism, regression, identification, and virtuality. In the case study, Narcissism is represented mostly as bloggers' satisfaction and beliefs about their fashion styles. The degeneration represents childhood images including a mother, as well as retro and vintage images that recreate the fashions of bygone eras - such as medieval, $19^{th}$ or 20th century fashion. Identification is the connection with the various areas of culture and art, especially movies and music. Virtuality represents hypothetical situations of mythical, fairy tale-like, surreal, or dreamlike atmospheres and hypothetical bodies that appear removed, disassembled, or crooked. The imaginary ego-images emerg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are also classified into specific style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the ego images-such as kidult style, retro style, ethnic style, and surreal style.

아파트 거주 아동의 생활재 및 수납현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3침실형 아파트에 거주하는 맞벌이 1자녀 가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Household Items for children and Storage Living in Apartment - Focused on One-child Families in 3-bedroom Apartment in Seoul -)

  • 정경숙;윤지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65-7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tention status of household items for children and the real condition of storage targeting dual career families of living in 3-bedroom apartment. To do this,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by having subjects as 30 households of conforming with the requirements. This led to understanding kinds and quantities of household items for children inside the residence and to surveying the present status on household items of being stored by room, thereby having analyzed a difference in household items according to children's age.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ousehold items for children within dwelling were indicated to be totally 145 detailed items. In the quantities of the detailed items, a great difference was shown by age in clothes, books, teaching aids, toys, and stationer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a place of being stored the household items for children, the household items in great quantities were found in living room, room 1, and room 3 even in addition to room 2 that is children's room. Third, in consequence of looking at the storage status of household items for children by age level, it could be known that very different household items are being used depending on children's age, and that a place of storing household items is much varied by age. This outcome could lead to being capable of knowing that one-child families living in 3-bedroom apartment are using every room focusing on child, and that child's household items are being disorderedly stored in each space, thereby requiring the systematic storage plans so much that reflect the real situation.

아산배방 복합단지개발 PF사업 조경설계 (A Landscape Design of Mixed Use Development Project by Project Financing in Baebang, Asan)

  • 노환기;최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104-113
    • /
    • 2005
  • This landscape design proposal was presented for a competition for mixed-use development project by project financing in Asan Baebang which was held by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in July of 2005. The site is a center of Asan Baebang New Town Development District and has a commercial area of $57,929m^{2}$. Design guidelines and judging criteria of this competition were to build a symbolic center and cultural core for district, to elevate positive image and identity of Asan New Town by attractive place making, to link with separated block in the site and regional context, and to mak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sign by creating an attractive waterfront of Jang Jae stream passing through the site. This i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the design. Therefore, the authors developed design concept and strategy within the guidelines and this conditions. The schema of the design was introduced by the water in the site. To evolve design concept, we reinterpreted water and context in the site combining with landscape design strategy. So the proposal set the main design concept as 'all that is solid melt into water' as if Marshall Berman said. By doing that, design concept of the proposal evolved as follows: 'extension' of water and greer, 'a joint' of space,'newness' of experience, 'breath' of consensus with each other. The spatial concept of this project was developed by expressing five theme spaces; eco zone, entertainment zone, art zone, culture zone, leisure zone. These theme spaces were consecutively placed along the pedestrian path and to consists of vertical layer in each level and diverse design technique and spatial effects are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