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myongji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서지학적 분석을 통한 임원경제지 섬용지 영조기사의 구성과 특징 연구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Dealing with Architecture in the Chapter of Seomyongji of Imwongyeongjeji)

  • 이강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9-69
    • /
    • 2010
  • Imwongyeongjeji, Administration of Our Daily Life in Woods and Fields, is a sort of encyclopedia compiled by Seo, Yoo Goo in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This voluminous work is made up of 16 chapters with various references including many articles dealing with architecture. The chapter Seomyongji covering the daily necessities contains a number of methods and materials of building construction.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se articles is that they are mostly from Joseon's books. It is not similar to other chapters which are made of quotations from Chinese books. Especially, he quoted many of articles about architecture from his own work Geumhwagyeongdokgi, Record of Plowing and Reading in Geumhwa. In addition, He selected only empirical knowledge, put it in the book, and commented on it in his judgment. These article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architectural knowledge in late Joseon period.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 나타난 복식(服飾)에 대한 연구(硏究) - 복식지구(服飾之具)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Attire and Accessories as Recorded in the Imwon Sipyukji - Focusing on Boksik Jigu -)

  • 장숙환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5-49
    • /
    • 2010
  • The Imwon Sipyukji of this study was compiled by Seo Yugu (1764~1845), a famous agronomical scholar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The contents of this book are divided into sixteen chapters related to all the important parts of rural home life ranging from daily routines to social life covering the agro-industry and the six skills of manners, music, archery, calligraphy, mathematics and horseback riding. Seomyongji, one of the sixteen chapters, covers all that is necessary for living a rural existence such as house-building, clothing adornments and transportation as well as how to make and use daily household items. The contents of the Boksik Jigu sub-section in the Sumyongji chapter consist of eight large units covering men's and women's clothing, bedding and pillows, sewing tools, belt and shoes accompanying the attire and storage for clothes. These eight are further subdivided into 65 items, each warranting a detailed explanation. My study will translate the original Chinese text of Boksik Jigu into Korean. This sub-section in the Seomyongji chapter will facilitate an investigation into the information contained therein on attire and accessories.

  • PDF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통해 본 전통조경공간 설계 시공방법 (A Study on the Design & Construction Method of Traditional Landscape Space through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 이정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는 과거 전통조경공간의 설계 및 시공과 오늘날 이를 유지 계승하기 위한 문화재수리 및 정비 등의 시공방법을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토대로 서술방식,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 추출, 시공방법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서술방식 및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을 살펴본 결과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생활공간 전반의 시공방법을 집대성한 백과사전서로 구성요소별 시공방법의 사용처, 효과, 장·단점을 서술하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여 전통조경공간 시공의 제도의 보급을 목적으로 삼았다.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의 공정 전반을 제시하였으며,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일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중 기초공사,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이 전통조경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주요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전통조경공간 시공방법을 기초공사와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의 공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보면, 기초공사는 지반을 다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지붕공사 중 기와지붕 조성은 서까래 위에 산자를 설치하고 기와를 쌓았으며, 초가지붕은 볏짚을 여러 다발로 묶어 차례로 지붕을 덮었다. 석판지붕은 기와 대신 얇고 넓은 돌을 사용하였으며, 너와지붕은 나무판자를, 굴피지붕은 건조시킨 굴피를 여러 겹으로 깔아 조성하였다. 조경공사는 주로 잡석다짐을 통한 포장기법과 여러 단을 조성하고 상부에 석물이나 화초나 관목 등을 식재하는 화계 시공이 주를 이루고 있고 담장공사는 쌓는 재료에 따라 흙을 다져 쌓은 토담, 돌과 진흙을 사용한 돌담, 기와로 무늬를 만든 영롱담, 널판을 벽면으로 사용하는 판장 시공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시공방법을 비교해보면,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전통공간의 신규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의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 현장의 다양성을 고려한 전반적인 시공 절차를 제공하여 시공의 범위 설정에 차이가 있다. 또한 과거 전통조경공간은 일상거주공간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곳으로서 기 구축된 시설의 유지관리 공정이 이루어지며, 관람환경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이 추가되었다. 전통지식의 계승 차원에서 과거의 시공방식은 오늘날 문화재 수리에도 일정 부분 유사한 방법들이 확인되며, 일부 소재나 배합방식, 후대 추가된 시설의 구분, 효율적인 시공방식의 도입 등 전통기술을 재구성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서유구(徐有榘)의 복식관(服飾觀) - 「섬용지(贍用志)」 '복식지구(服飾之具)'의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ume View of Seo Yu-Gu - Focused on the Analysis of 「Seomyongji」 'Boksikjigu' -)

  • 차서연;장동우
    • 복식
    • /
    • 제62권6호
    • /
    • pp.80-97
    • /
    • 2012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Seo Yu-gu's views on constumes that are based on 'Boksikjigu[服飾之具]' of Seomyongji[贍用志] in Imwonkyungjeji[林園經濟志]. In 'Boksikjigu', Seo Yu-gu explained different situations and problems that were related to costumes and proposed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and divide the items into caps, accessories, and clot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o Yu-gu in he rited the tradition of erudition. Seo Yu-gu classified various costume items systematically, and explained in detail about the origin, history and materials of the costume items. Second, he emphasized frugality, effective use, and welfare. Seo Yu-gu argued that the sleeves should be shortened for convenience and tried to improve practicality in the functional aspect. Also, he wanted to enrich people's life 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goods used in daily life. Third, he tried to establish identity as a Confucian intellect. This idea was clearly shown in 'costumes'; therefore, they served as evidences that Seo Yu-gu used to correct wrong practices through precise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review of Shim-ui[深衣], the symbol of the practice of Jujagarye[朱子家禮]. In his later years, he discovered the plain dress that was worn as a casual wear by ZhuXi[朱熹]and tried to wear it in dailylife.

조선시대 정원의 지식정보 전개와 수용 - 15~19세기 편찬된 정원 및 화훼 관련서적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Acceptance of Knowledge Information in Garden of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Garden and Flowering Books Compiled from the 15th and 19th Centuries -)

  • 김동현;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20
    • /
    • 2020
  • 본 연구는 15~19세기 편찬된 조선시대 정원 및 화훼 관련서적을 대상으로 통시적 분석을 통해 시기별 정원에 대한 지식정보가 전개되는 특징을 도출하고, 그 요인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원 및 화훼 관련서적을 편찬한 저자들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조선시대 실학의 계보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강희안의 실학적 면모는 후대 실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수광은 연행의 경험을 통해 정원 관련 지식을 축적하였다. 이후 중농학파 홍만선의 이념은 남인 계열의 유박과 관련이 있으며, 서유구 또한 중농학파의 경세론과 중상학파의 인물들과 교류를 통해 실학을 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다. 류중림은 『산림경제』를 증보하면서 중농학파와의 관계성이 나타났다. 둘째, 『양화소록』과 『지봉유설』 「훼목부」, 『산림경제』 「양화」, 『증보산림경제』 「양화」, 『화암수록』, 『임원경제지』 「예원지」에는 정원 식물의 특성과 재배법, 관리방법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임원경제지』 「이운지」, 「상택지」, 「섬용지」에는 정원의 입지선정과 시설 배치, 조성방법, 재료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들 정원 관련 서적의 서술방식은 개론이 55%로 가장 높았고, 방법론의 제시(42.8%), 이기론(15.5%), 분류(12.4%), 제도(1.9%) 순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정원 관련 지식정보의 비중을 기준으로 시기별 정원 관련서적들을 분류한 결과 17세기 이전 편찬된 『양화소록』과 『지봉유설』을 전기, 18세기 편찬된 『산림경제』와 『증보산림경제』를 중기, 19세기 편찬된 『임원경제지』가 후기로 분류되었다. 정원 관련서적들은 전대에 수록된 중국 고서와 저자의 경험, 의견들이 후대 정원관련서적에 인용되었으며, 저술 당시 발달한 농업기술과 전문지식을 반영한 정원 관련 지식의 보강이 이루어졌다. 넷째, 시기별 정원 지식정보의 전개와 수용양상을 분석한 결과, 전기에는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훼를 다루고 있었다. 이후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의 방대한 정원 관련 지식정보가 유입되어 사대부들 사이에서도 다양한 지식 섭렵의 일환으로 정원 조성에 대한 당위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원에 대한 전문성이 확장되었다. 19세기 정원 조성의 유행에 대응하여 그간에 집적된 정원 관련 지식정보를 바탕으로 전문서적이 저술되면서 초기 정원 식물의 수집과 관리에서부터 정원 조성의 당위성, 조성방법, 향유방식, 자아실현 등의 체계가 정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