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ntiment Analysis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235초

도메인 별 감성분석을 위한 도메인 맞춤형 감성사전 구축 기법 (A Domain Adaptive Sentiment Dictionary Construction Method for Domain Sentiment Analysis)

  • 김다해;조태민;이지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15-18
    • /
    • 2015
  • SNS의 확산으로 대중들은 제품, 서비스, 사회적 이슈 등 다양한 도메인에 대하여 자신의 기분이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SNS를 분석하여 제품의 수요, TV 시청률, 주가 등의 다양한 현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감성분석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감성분석은 각 어휘에 대한 품사, 극성, 감성지수를 규정하고 있는 감성사전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동일한 단어라도 도메인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도메인의 특성을 고려한 감성사전을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도메인에 대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게 더욱 정확한 감성분석을 할 수 있도록 도메인 맞춤형 감성사전을 구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도메인 별로 긍 / 부정 평가에 있어 중요한 척도가 되는 단어들을 도메인 감성어휘로 선별하여 목록을 구축하고, 각 감성어휘의 중요도에 따라 도메인 감성지수를 새롭게 정의하였다. 실험 결과, 평가 도메인에 적합한 감성사전이 다른 도메인의 감성사전 및 범용 감성사전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도메인 맞춤형 감성사전 구축기법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n Review Data of Restaurants in Google Maps through Text Mining: Focusing on Sentiment Analysis

  • Shin, Bee;Ryu, Sohee;Kim, Yongjun;Kim, Dongwha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1호
    • /
    • pp.61-68
    • /
    • 2022
  • The importance of online reviews is prevalent as more people access goods or places online and make decisions to visit or purchase. However, such reviews are generally provided by short sentences or mere star ratings; failing to provide a general overview of customer preferences and decision factors. This study explored and broke down restaurant reviews found on Google Maps.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5,427 reviews, we vectorized the importance of words using the TF-IDF. We used a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calculate the coefficient of positivity and negativity of words used in reviews. As the result, we were able to build a dictionary of words for positive and negative sentiment using each word's coefficient. We classified words into four major evaluation categories and derived insights into sentiment in each criterion. We believe the dictionary of review words and analyzing the major evaluation categories can help prospective restaurant visitors to read between the lines on restaurant reviews found on the Web.

A Study on Korean Sentiment Analysis Rate Using Neural Network and Ensemble Combination

  • Sim, YuJeong;Moon, Seok-Jae;Lee, Jong-You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68-273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ntiment analysis model that improves performance on small-scale data. A sentiment analysis model for small-scale data is proposed and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To this end, we propose Bagging-Bi-GRU, which combines Bi-GRU, which learns GRU, which is a variant of LSTM (Long Short-Term Memory) with excellent performance on sequential data, in both directions and the bagging technique, which is one of the ensembles learning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it is applied to small-scale data and large-scale data. A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it with the exist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Bi-GRU, it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is improved not only for small data but also for large data.

Romanian-Lexicon-Based Sentiment Analysis for Assesing Teachers' Activity

  • Barila, Adina;Danubianu, Mirela;Gradinaru, Bogdane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43-50
    • /
    • 2022
  • The students' feedback is important to measure and improve teaching performance. Many teache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are based on responses to closed question, but the free text answers can contain useful information which had to be explor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lexicon-based sentiment analysis to explore students' text feedback.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teachers by students developed and used in our university. The students comments are in Romanian language so we built a Romanian sentiment word lexicon. We used this to categorize the feeback text as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In addition, we added a new polarity - indifferent - in order to categorize blank and "I don't answer" responses.

Korean and English Sentiment Analysis Using the Deep Learning

  • 마렌드라;최형림;임성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59-71
    • /
    • 2018
  • Social media has immense popularity among all services today. Data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can be used for various objectives, such as text prediction or sentiment analysis. There is a great deal of Korean and English data on social media that can be used for sentiment analysis, but handling such huge amounts of unstructured data presents a difficult task. Machine learning is needed to handle such huge amounts of data. This research focuses on predicting Korean and English sentiment using deep forward neural network with a deep learning architecture and compares it with other methods, such as LDA MLP and GENSIM, using logistic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an approximately 75% accuracy rate when predicting sentiments using DNN, with a latent Dirichelet allocation (LDA) prediction accuracy rate of approximately 81%, with the corpus being approximately 64% accurate between English and Korean.

리뷰에서의 고객의견의 다층적 지식표현 (Multilayer Knowledge Representation of Customer's Opinion in Reviews)

  • ;원광복;옥철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8년도 제3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52-657
    • /
    • 2018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mmerce, many customers can now express their opinion on various kinds of product at discussion groups, merchant sites, social networks, etc. Discerning a consensus opinion about a product sold online is difficult due to more and more reviews become available on the internet. Opinion Mining, also known as Sentiment analysis, is the task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d understanding the sentimental expressions about a product from customer textual reviews. Recently, researchers have proposed various approaches for evaluation in sentiment mining by applying several techniques for document, sentence and aspect level.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is getting widely interesting of researchers; however, more complex algorithms are needed to address this issue precisely with larger corpora. This paper introduces an approach of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the task of analyzing product aspect rating. We focus on how to form the nature of sentiment representation from textual opinion by utilizing the representation learning methods which include word embedding and compositional vector models. Our experiment is performed on a dataset of reviews from electronic domain and the obtained result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achieved outstanding methods in previous studies.

  • PDF

A Study on Efficient Market Hypothesis to Predict Exchange Rate Trends Using Sentiment Analysis of Twitter Data

  • Komariah, Kokoy Siti;Machbub, Carmadi;Prihatmanto, Ary S.;Sin, Bong-Kee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107-1115
    • /
    • 2016
  • Efficient Market Hypothesis (EMH), states that at any point in time in a liquid market security prices fully reflect all available information.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proving the hypothesis through daily Twitter sentiments using the hybrid approach of the lexicon-based approach and the naïve Bayes classifier. In this research we analyze the currency exchange rate movement of Indonesia Rupiah vs US dollar as a way of testing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In order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ion sentiments from Twitter data and the actual currency exchange rate trends we collect Twitter data every day and compute the overall sentiment to label them as positive or negative.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n 69% correct prediction of sentiment analysis and 65.7% correlation with positive sentiments. This implies that EMH is semi-strong Efficient Market Hypothesis, and that public information provide by Twitter sentiment correlate with changes in the exchange market trends.

잠재 구조적 SVM을 활용한 감성 분석기 (Sentiment Analysis using Latent Structural SVM)

  • 양승원;이창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40-2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댓글(음식점/영화/모바일제품) 및 도메인이 없는 트위터 데이터에 대한 감성 분석을 수행하고, 각 문장에 대한 object(or aspect)와 opinion word를 추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평가한다. 감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Structural SVM 알고리즘과 Latent Structural SV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비교 평가하였으며, 실험 결과 Latent Structural SVM이 더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구문 분석을 통해 분석된 VP, NP정보를 활용하여 object(aspect)와 opinion word를 추출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실제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해 감성 탐지기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감성분석 결과와 사용자 만족도와의 관계 -기상청 사례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Result of Sentiment Analysis and User Satisfaction -The case of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김인겸;김혜민;임병환;이기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93-402
    • /
    • 2016
  • 기상청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만족도 설문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SNS를 통한 감성분석이 활용될 수 있다. 감성분석은 2011~2014년 동안 '기상청'을 언급한 트위터를 수집하여 나이브 베이즈 방법으로 긍정, 부정, 중립 감성을 분류하였다. 기본적인 나이브 베이즈 방법에 긍정, 부정, 중립의 각 감성에서만 출현한 형태소들로 추가사전을 만들어 감성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기본적인 나이브 베이즈 방법으로 감성을 분류할 경우 약 75%의 정확도로 학습데이터를 재현한데 반해 추가 사전을 적용할 경우 약 97%의 정확성을 보였다. 추가사전을 활용하여 검증자료의 감성을 분류한 결과 약 75%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낮은 분류 정확도는 향후 기상 관련의 다양한 키워드를 포함시켜 학습데이터 양을 늘려 감성사전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상시적인 사전의 업데이트를 통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어휘의 사전적 의미에 기반한 감성분석과 달리 문장의 의미에 기반하여 감성을 분류할 경우 부정적 감성 비율의 증가와 만족도 변화 추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향후 설문조사를 보완할 수 있는 좋은 수단으로 SNS를 통한 감성분석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mpact of Word Embedding Methods on Performance of Sentiment Analysi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Park, Hoyeon;Kim, Kyoung-j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81-18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워드 임베딩 기법이 감성분석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비교연구를 제안한다. 감성분석은 자연어 처리를 사용하여 텍스트 문서에서 주관적인 정보를 식별하고 추출하는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이며, 상품평이나 댓글의 감성을 분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감성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분류문제 중 하나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의 분류를 위해서는 텍스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어나 문서와 같은 텍스트를 자연어 처리에서 벡터로 변형하여 진행하는데 이를 워드 임베딩이라고 한다. 워드 임베딩 기법은 Bag of Words, TF-IDF, Word2Vec 등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지금까지 감성분석에 적합한 워드 임베딩 기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리뷰의 감성분석을 위해 다양한 워드 임베딩 기법 중 Bag of Words, TF-IDF, Word2Vec을 사용하여 그 성과를 비교 분석한다. 분석에 사용할 연구용 데이터 셋은 텍스트 마이닝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IMDB 데이터 셋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TF-IDF와 Bag of Words의 성과가 Word2Vec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F-IDF는 Bag of Words보다 성과가 우수하였으나 그 차이가 매우 크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