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Processing Abilit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2초

감각처리 영역이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Areas on the Parenting Stress of Parents)

  • 최정실;이미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42
    • /
    • 2004
  • Objective : To evaluate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y in relation to parenting stress and find the sensory modulation areas affecting the parenting stress in disabled children Methods : Parents of 124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tween 3 to 7 years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in Seoul and Gyeonggi-do made out the questionnaire and in items of questionnaire, Short Sensory Profile and Parenting Stress Index of short form was included. Results : Among general information, parenting stress of parent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correlation with the lower level 2 of Parenting Stress Index. The more sensory processing disability was increased, the more parenting stress was increased. Parenting stress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vement sensitivity area and under-responsiveness/behaivor area seeking specific stimulation among sensory processing areas and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actile sensitivity and auditory filtering. Sensory processing areas which affect the most the Parenting Stress were movement sensitivity and under-responsiveness/behaivor area seeking the specific behavior among sensory control disabilities. Conclusion : The parenting stress of parents with the disabled children had the correlation with sensory processing ability. The difficulty of sensory processing increased the parenting stress. Hence,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ensory processing ability, the appropriately cop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ll be necessary.

  • PDF

성인용 감각처리 평가도구의 필요성 및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소개 (The Necessity for Adult's Sensory Processing Evaluating Tool and the Introduction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 박미희;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8
    • /
    • 2006
  • The person's behaviors are interactive with sensory processing ability. So sensory processing ability is very important. Most of tools which evaluate sensory processing are developed for the child. But sensory integrated problems are not restricted to the child. It is possible for sensory integrative problems to happen independent of the intellectual level and the social stratum. And sensory integrative problems are distributed in all age. Adults who have a sensory defensiveness use various coping strategies. But it does not solve a basic sensory defensive problem. Previous studies reported the fact that the sensory integrative treatment has a high treatment effect in these peopl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necessity for adult's sensory processing evaluating tool. We introduces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It will discriminate adults who have sensory defensiveness from adult. It will provide these people with the suitable help.

  • PDF

지적 장애인의 감각처리능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ensory Processing Skill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정병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80-288
    • /
    • 2017
  •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들의 감각처리 유형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장애인복지시설에 생활하는 98명의 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감각처리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지적 장애인들의 감각처리능력은 4가지 영역(낮은 감각등록, 감각찾기, 감각민감성, 감각회피)에서 모두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보여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적거나 매우 적은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연령을 청소년기(11세에서 17세)와 성인기(18세 이상)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에서는 낮은 감각등록, 감각찾기, 감각민감성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 등급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은 낮은 감각등록과 감각회피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차후 연구에서는 지적 장애인의 거주 환경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확인하고,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장애등급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감각처리유형과 자존감, 학습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Type, Self-Esteem and Academic Ability in the College Students)

  • 박초희;김경희;백정은;김진연;오가희;민예지;임가영;천슬기;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3-39
    • /
    • 201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감각처리유형과 학습 능력, 자존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10월 3일부터 2011년 4월 1일까지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C 대학의 작업치료과 학생 총 84명이었다.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고,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사항,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 자아존중감 척도, 학점으로 구성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5를 사용하여 피어슨 상관분석하였다. 결과 : 감각처리유형의 감각 회피(r=-.25), 감각 민감(r=-.22), 감각 저하(r=-.31)는 자아존중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감각처리유형 중 감각추구(r=.22)와 학점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에서도 감각처리능력이 자존감 및 학습능력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어 성인의 감각처리능력을 강조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노인의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에 관한 상관성 연구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Safe Driving Behavior in Older Adults)

  • 김희동;고효은;장연식;조남주;백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743-2748
    • /
    • 2014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에 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5세 이상 정상노인 31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의 총점 및 하위요인 간의 상관성이 있는 결과를 가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들은 노화로 인해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의 어려움을 보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운전 행동에 관한 적절한 평가와 작업치료 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Social Matur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Farming Villages)

  • 김희동;장연식;백지영;한재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77-286
    • /
    • 2014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이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을 양육지원하기 위한 교육정책과 적절한 사회성숙도를 통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아동 54명을 대상으로 단축감각프로파일, 사회성숙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처리능력은 평균 $154.33{\pm}21.24$점, 사회성숙도의 영역 중 사회연령은 $5.46{\pm}1.76$세, 사회지수는 $91.28{\pm}18.31$로 각각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도의 지연을 보였다. 둘째, 감각처리능력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연령의 영역에 움직임 민감성,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에 해당하는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사회지수의 영역에서는 움직임 민감성,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 청각 여과하기,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의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셋째, 감각처리능력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의 변인 분석 결과에서는 사회성숙도의 영역 중 사회연령 영역에 45.3%, 사회지수 영역에 66.3%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 김채현;김경미;장문영;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군 아동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고, 중독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3~6세 아동 32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군과 정상사용군을 구분하기 위해 유아동 스마트폰 중독 관찰자 척도를 사용하였고, 감각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단축감각 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스마트폰 중독군과 정상사용군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중독군에서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중독군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은 감각처리능력 중 촉각 민감성(p=.020), 맛/냄새 민감성(p=.021), 움직임 민감성(p=.042),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p=.000), 청각 여과하기(p=.000),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p=.000), 시각/청각민감성(p=.000), 총점(p=.000)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감각처리 영역 중 청각여과하기(r=-.293), 시각/청각민감성(r=-.39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3~6세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 정상사용군과 감각처리능력에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은 감각처리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감각처리 특성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 (A Study on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With Feeding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 김미수;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40
    • /
    • 2019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107명으로 조산아 51명, 만삭아 56명이었다.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영유아 감각프로파일 2(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2; ITSP 2)를 사용하였고 섭식을 평가하기 위해 아동섭식행동평가(Behavioral Pediatrics Feeding Assessment; BPFA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산아와 만삭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조산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한 결과 감각특성 중 감각예민(p=.019), 하위영역 중 구강감각처리능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산아와 만삭아의 섭식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 조산아의 감각처리특성 중 감각회피(r=.443), 감각예민(r=.374)은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각처리 하위영역 중 일반적 행동(r=.390), 구강감각처리(r=.513)는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강감각처리(r=.529)는 섭식문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조산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은 섭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산아의 섭식을 이해하기 위해 감각처리능력이 중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on the Parent's Understanding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박해성;김경미;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3-43
    • /
    • 2015
  • 목적 :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발달지체 아동의 부모 30명으로, 연구 기간은 2015년 3월 15일부터 동년 5월 10일까지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임의로 배정하였고, 실험군 15명에게는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을 1:1로 집중적으로 시행하였다. 대조군 15명에게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 변화는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과 부모의 이해도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집단 간 치료 효과는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집단 내 치료 전후의 효과는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단축감각프로파일의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며 부모의 이해도 설문지의 총점은 높아졌다. 이를 통해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 있는 중재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는 치료사들에게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좋은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의 비교 (A Comparis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Depending on the Smartphone Usage of Toddlers in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 김윤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4-43
    • /
    • 2020
  • 목적 :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 124명이었고,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부터 동년 12월까지이었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로 일반적 특성, 유·아동 스마트폰 중독 관찰자 척도, 단축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와 중독군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사용 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집단 간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스마트폰 중독합계(p=.000)와 현저성(p=.027), 충동·강박적 사용(p=.019), 금단(p=.046), 내성(p=.003), 대인 간 갈등(p=.046)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 간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는 SSP 총점(p=.000)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42). 결론 :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