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Simulation Program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초

시뮬레이션 기반 성인간호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사역할 이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Simulation-Based Adult Nursing Education on Resilience, Clinical Competence, and Role Transition of Nursing Students)

  • 한미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29-339
    • /
    • 2019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성인간호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사역할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단일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4학년 52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로 2017년 1학기에 1회 5시간씩 총 30시간 동안 디브리핑을 포함한 구조화된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수업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적 통계를,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측정을 위해 Shapiro-Wilk test를 실시한 결과 정규성을 만족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간호분야 시뮬레이션 교육 후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교육 전 3.38점에서 교육 후 3.51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t=-2.51, p=.016), 임상수행능력도 시뮬레이션 교육 후 3.50점에서 3.75점으로 상승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18, p<.001). 또한 간호사역할이행도 교육 전 3.48점에서 교육 후 3.63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t=-2.89, p=.006).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실무영역의 임상수행능력뿐 아니라 회복탄력성과 간호사 역할이행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향후 신규간호사의 현장 적응을 도와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적 중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차세대 사이버 인증 보안을 위한 알고리즘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lgorithm for Next Generation Cyber Certificate Security)

  • 이창조;김상복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69-7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이버 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인증서의 암호화 형태를 보완하고 개인의 암호사용 부작용과 그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 인증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실제 온라인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그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수시로 변하는 개인암호 및 인증서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보안이 유지되는 암호화 기법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특히 은행 및 온라인상에서 통용되고 있는 보안카드나 인증서를 관리함에 있어 기존의 DB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암호의 도용과 사이버 범죄로부터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사전차단 방어 메카니즘에 대해 시뮬레이션하고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성역할 정체성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pathy and Gender Role Identity o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최현숙;김경애;이상복;정혜영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1-50
    • /
    • 2020
  • Purpose :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empathy and gender role identity and their effect on communication competence. Methods : Participants were 183 senior nurs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a clinical practice and simulation-based practical training course. Using the IBM SPSS/WIN 21.0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t-tests and 𝑥2 tests, and influencing factors on each variable and communication underw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mpathy (r=.40, p<.001), gender role identity (r=.53, p<.001), major satisfaction (r=.18, p=.013), and peer relationships (r=.24, p<.001). When gender was entered as a covariate, empathy (t=4.41, p<.001) and gender role identity (t=6.97, p<.001)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competence with 36% explanation power (R2=.36, p<.001).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urse subjects considering the gender identities of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various programs to establish students' identity as nurses and improve their empathy and communication.

졸업 예정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Perceived Medication Administration Competence in Senior Nursing Students)

  • 김정희;강경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215-224
    • /
    • 2019
  • 본 연구는 졸업예정 간호 학생들의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제 특성들이 주관적 투약수행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함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졸업예정 간호대학생 총 128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이다. 본 연구의 측정변수는 약물용량계산 자기효능감, 약물계산 불안감, 주관적 투약수행역량이며,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chi-square test,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회귀 분석결과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주관적 투약수행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약물계산자신감(${\beta}=.463$, p<.001), 임상실습 태도(${\beta}=.168$, p=.04)이었다. 임상실습태도가 적극적이고(B=7.002), 약물계산자신감이 높을 때(B=1.648) 주관적 투약수행역량이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주관적 투약수행역량을 29.0%를 설명하였다(F=26.93, p<.001). 적극적인 임상실습 태도와 학생들의 약물계산에 대한 자신감은 간호학생들의 투약수행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환자의 약물처방에 대한 정확성 확인, 처방된 약물용량의 재계산, 투약 후 환자반응 관찰 등 학생들의 투약수행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감염관리 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Needs about Corona19 Infection Control)

  • 유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35-341
    • /
    • 2020
  • 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감염관리 교육을 위한 중요도와 수행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감염관리 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2020년 1월 6일부터 1월 30일까지 A시 간호대학 4학년 72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코로나19 감염관리 간호의 중요도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4.4점이었고, 수행도의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2.4점이었다.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개인 보호구 레벨D 착탈의와 안전한 검체 채취영역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감염관리 간호의 요구도 분석결과 개인 보호구 레벨D 착탈의, 안전한 검체채취의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도로함몰 붕괴양상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the Collapse Pattern of Road Sink Using Distinct Element Method)

  • 함명수;박선우;이현동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57-63
    • /
    • 2019
  • 서울시에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발생한 도로함몰 발생 건수는 총 4,737건으로 매년 증가하여 사회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도로함몰은 충적층이 두껍게 분포하는 송파구와 구로구에 집중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하수관로 또는 지하철이 통과하는 지역의 지반특성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도로함몰에 대한 대책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누수가 발생하는 구간에서의 지반특성과 지반거동의 관계를 정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충적층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사질토와 점성토를 대상으로 개별요소법 프로그램 중 하나인 EDE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층 내 공동의 위치 및 크기를 달리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점성토 지반보다 사질토 지반에서 함몰 규모가 크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착력이 없는 사질토 지반에서는 지하 공동의 깊이가 깊고 지하 공동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도로함몰이 쉽게 발생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점착력이 있는 점성토 모델에서는 지하 공동의 깊이가 얕을수록 도로함몰이 쉽게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다.

청소년이 인식하는 중학교 노년기 주생활 교육 실태와 교육 필요도 (Actual Condition & the Need of Education for Elderly Housing Educa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 이영자;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75
    • /
    • 200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노년기 주생활 교육 실태 및 교육 필요도를 파악하여 개정 가정 교육과정 주생활영역에서의 교과서 개발 연구와 교사의 교수 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때 배웠던 노년기 주생활 수업이 이론 위주이고 교육내용이 흥미롭지 않아 상당수가 불만족하므로 학습자들이 실습과 체험활동 등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다양한 수업방식이 필요하겠다. 청소년은 노년기 주생활 교육내용으로 노인을 배려한 공간계획 요소(안전성, 관리, 실내 환경), 노년 주거계획 전반, 노인복지 서비스를 필요로 하였고, 3세대 가족 주거와 노인전용주택의 필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교육내용은 성별, 거주면적, 가정소득, 출신 중학교 학교형태, 현 주택 거주 년 수의 일부 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필요도가 높은 교육내용을 적절한 단원에 포함시키도록 한다. 현행 7차 교육과정의 노년기 주생활 교육내용은 교과서별로 편차가 크므로 교과서 집필 시는 노년기 주생활 교육내용이 골고루 포함될 수 있도록 고려한다. 아울러 교사의 교수 시는 특성 변인의 차이를 감안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겠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생들의 체험적인 활동을 중시하고,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도록 권장하므로 현재의 장애체험 교육활동의 범위를 확장시켜 노인체험활동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구성한다면 노년기 주생활 교육의 효과가 더 커질 것이므로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도 요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