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agnosed Oral Sympto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서울시 돌봄 서비스 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이 주관적 구강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Care Service Workers on Self-diagnosed Oral Symptom in Seoul)

  • 홍민희;이정민;장기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74-28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돌봄 서비스 노동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요인이 구강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돌봄 서비스 노동자 150명을 대상으로 7월 24일부터 8월 6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직무스트레스, 정신건강(신체증상, 불안, 불면), 주관적 구강 증상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p=0.001)는 구강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증상(p<0.001), 불안 증상(p<0.001), 불면 증상(p<0.001) 모두 구강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 요인 중 신체 증상이 구강 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불안 증상, 불면 증상, 구강 증상의 상관성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신체 증상(p<0.001), 불안 증상(p<0.001), 불면 증상(p<0.001), 구강 증상(p<0.01)이 모두 증가하는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돌봄 서비스 노동자들은 돌봄 대상자를 신체적·정신적으로 보살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하므로 육체적·심리적 노동력 소진이 크다. 자신의 건강과 구강건강 상태가 좋아야 업무수행력을 높일 수가 있기에 노동자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제도적 확대 방안이 필요하며,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맞춤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도입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자활프로그램 참가 근로자들의 우울 수준과 구강 증상이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Oral Symptoms on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ting workers)

  • 홍민희;이정민;장기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11-519
    • /
    • 2021
  •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자활프로그램 참가 근로자들의 우울 수준과 구강 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자활 근로자 569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26일부터 9월 5일까지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우울 수준, 잇몸 지수, 주관적 구강 증상, 구강 건강 삶의 질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전신질환이 있는 근로자에서 우울 수준, 잇몸 지수, 구강 증상, 삶의 질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이 높은 집단은 잇몸 건강, 구강 증상, 구강 건강 삶의 질 모두 부정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우울은 잇몸 건강, 구강 증상, 구강 건강 삶의 질과 부적 상관성을 나타냈다. 우울, 잇몸 지수와 구강 증상은 구강 건강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구강 증상이 구강건강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자활근로자는 구강 건강에 취약하므로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관리를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며 계속구강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구강보건정책 개선이 필요하다.

직접외상에 의한 급성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의 치험례 (A Case Report on the Treatment of Acut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tion in TMJ Disorders by Direct Trauma)

  • 조수현;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3호
    • /
    • pp.281-288
    • /
    • 1998
  • The authors treated a 30-years old female patient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PNUH due to the chief complaint of limitation of mouth opening.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ing clinical examination was used for establishing an accurate and reliable diagnosis and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having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in the right joint and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in the left joint. For managing acut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mandible manipulation was applied first focusing on pain control and then stabilization appliance was used for maintenance of joint stabilization. With time, the sign and symptom was remarkably reduced and an active exercise program was recommended to maintain of normal muscle length, increase joint range of motion and develop normal coordination arthrokinematics. As a result of treatment, the patient did not complain discomfort of normal daily activities and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he displace disc was not reduced completely, but the improvement in range of motion and joint mobility were remarkably found. Therefore, an exercise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to maintain joint mobility and be effective as a self-care.

  • PDF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건조감 및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in Dry Mouth and Self-Diagnosed Oral Symptoms on Workers)

  • 조혜진;조민희;조윤지;장영은;전은희;정복림;정윤선;차혜경;최영주;한인성;황지영;홍민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34-643
    • /
    • 2012
  • 직무스트레스는 점차 복잡하고 다양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에서 건강 및 구강건강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6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366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구강건조정도를 파악하고 자가 구강증상을 측정하여 직무스트레스 및 구강건조정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 차이 결과 남성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상위 50%에 속해 있었으며. 여성은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직장문화에서 상위 50%에 속해있었다. 2.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구강건조감과 자가 구강증상의 차이 결과, 구강건조감은 직장문화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강증상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구강건조감은 직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구강증상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직무스트레스, 구강건조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직장문화, 보상부적절은 구강건조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건조감, 직무불안정, 조직체계는 구강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 개인의 구강건강증진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스트레스로 인한 구강 내 증상을 인지하고 관리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e Effect of Postural Yinyang Corre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 Lee, Seung-Jeong;Ryu, Hye-Min;Kim, Su-Gyeong;Park, Eun-Jin;Lim, Jae-Eun;Lee, Young-Jun;Song, Choon-Ho;Yoon, Hyun-Min;Kim, Cheol-Ho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129-137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ostural Yinyang correc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Methods: Medical records of 21 outpatients were reviewed who were diagnosed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unspecified (K0769) and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Dong-Eui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May $1^{st}$, 2017 to April $30^{th}$, 2018. Patients received more than 10 treatments of upper cervical manipulation and performed self-exercise therapy more than 3 times a day and wore an accurate balancing appliance in the oral cavity for more than 8 hours per day. To estimate the efficacy, visual analogue scale (VAS), numerical rating scale (NRS), maximum mouth opening (MMO), symptom intensity scale (SIS), max SIS (MSIS), symptom frequency scale (SFS), mandibular function impairment questionnaire (MFIQ) and 5-point Likert scale were used. Results: NRS and MSI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each period. VAS, MMO, SIS, and SF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each period, except the period from the $8^{th}$ to $10^{th}$ visit. MFIQ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1^{st}$ to $10^{th}$ visit. In the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showed a high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 using an accurate balancing appliance, may be useful for reducing th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