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ion method of small bridg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이원분류기법을 이용한 소규모 교량 상부형식선정 모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odel for Selecting Superstructure Type of Small Size Bridge Using Dual Classification Method)

  • 윤수영;김창학;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1413-1420
    • /
    • 2015
  • 중 소규모의 교량 설계단계에서는 교량 상부형식을 결정할 수 있는 관련 기준이 미흡한 관계로 설계자들은 일부 전문 기술자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여 교량상부형식을 선정하는 경향이 많다. 또한, 최근에는 교량상부형식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고려해야할 조건들이 많아짐에 따라 의사결정과정도 더욱 복잡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도공사 등에 빈번히 시공되는 경간장 50m 내외의 중 소교량의 상부형식 선정을 위해 기존의 통상적인 현장에 적용가능한 공법의 비교방식 및 경험과 직관에 의존한 방법이 아닌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교량상부형식을 선정하고자 한다. 이에 인공지능 기법중 하나인 SVM기법을 이용한 교량상부형식 선정 모형을 구축하여 제안하고, 실제사례의 검증을 통해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소규모 공공시설 조사 시 소교량의 위험성 평가 방법 개선 (Improvement of the Risk Evaluation Methods for Small Bridges When Investigating the Small Public Facilities)

  • 신재성;전계원;노정수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3-47
    • /
    • 2023
  •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관리 등에 관한 법률(2015 제정)」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소규모 공공시설을 선정하고, 매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소규모 공공시설 중 소교량은 세천과 더불어 재해위험성이 높고 마을주민의 공공이용성이 높은 시설이나, 그 개소수가 매우 많아 지자체의 한정된 인원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시설에 해당한다. 따라서 지자체의 관리능력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선정방법이 필요하며, 객관적 위험도 평가를 통한 위험시설의 선정 및 정비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관리능력을 고려하여 소교량의 구조적, 기능적 분류를 통한 선정방법을 제시하고, 위험도 평가 10개 항목의 정량적 평가지표를 제시함으로써 객관적인 위험도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진 관측데이터 기반 지반응답스펙트럼 추정 알고리즘 제안 및 평가 (Proposal and Evaluation of Ground Response Spectrum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Seismic Observation Data)

  • 안진희;정진우;홍유찬;박재봉;최형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3-22
    • /
    • 2019
  • 본 연구는 지진계측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중소형 교량의 지진손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 중소형 교량 인근에 위치한 지진관측소의 지진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교량위치에서의 지반응답스펙트럼을 추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중소형 교량의 내진설계 및 성능평가는 동적해석법 중 응답스펙트럼해석법이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으므로 대상 중소형 교량에 대한 평가 지진력으로 지반응답스펙트럼을 적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한 프로그램 알고리즘도 제안하고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실제 지진계측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서의 지반응답스펙트럼 추정 예를 나타내었다.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효율적 적용 방안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for Pollution Mitigation Facility of Highway Runoff)

  • 이용복;최상일;정현규;배세달;정선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64-1271
    • /
    • 2011
  • To build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ways, we testes suitability for unique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mitigation facility around the highways by evaluating optimal selections and implementation methodologies to minimize loan of non-point pollution substances into water-ways. To do this we categorized EIA target highways into three types ; big drainage basin, small drainage basin, and bridge section as to minimize non-point pollution of highway runoff. The terms of selected facility test based on the Natural and Manufactured Treatment Device were removal efficiency of TSS, BOD, COD, T-N, T-P, compatibility of site selection, economic feasibility, maintenance convenience, and the final mitigation facility.

One-step deep learning-based method for pixel-level detection of fine cracks in steel girder images

  • Li, Zhihang;Huang, Mengqi;Ji, Pengxuan;Zhu, Huamei;Zhang, Qianbing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9권1호
    • /
    • pp.153-166
    • /
    • 2022
  • Identifying fine cracks in steel bridge facilities is a challenging task of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This study proposed an end-to-end crack image segmentation framework based on a one-st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for pixel-level object recognition with high accuracy. To particularly address the challenges arising from small object detection in complex background, efforts were made in loss function selection aiming at sample imbalance and module modif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generalization ability on complicated images. Specifically, loss functions were compared among alternatives including the Binary Cross Entropy (BCE), Focal, Tversky and Dice loss, with the last three specialized for biased sample distribution. Structural modifications with dilated convolution, Spatial Pyramid Pooling (SPP) and Feature Pyramid Network (FPN) were also performed to form a new backbone termed CrackDet. Models of various loss functions and feature extraction modules were trained on crack images and tested on full-scale images collected on steel box girders. The CNN model incorporated the classic U-Net as its backbone, and Dice loss as its loss function achieved the highest mean Intersection-over-Union (mIoU) of 0.7571 on full-scale pictures. In contrast, the best performance on cropped crack images was achieved by integrating CrackDet with Dice loss at a mIoU of 0.7670.

다목적 시스템식별을 이용한 모우드 불확실성이 있는 구조물의 강인 최적 감쇠기 설계 (Robust Optimal Damper Design of Structures with Modal Uncertainty Using Multi-Objective System Identification)

  • 정성운;옥승용;박원석;고현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6-85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robust damper design technique for adjacent structures against model uncertainty. This approach introduces multi-objective optimization based system identification using measurement information which enables reasonable selection of the perturbation range in the robust design.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numerical efficiency in sampling the structural models required for the robust design of large structures, we define new objective functions which enable us to minimize the number of candidate models suitable to the purpose of the robust design. In addition, the performance index is newly employed to evaluate the robust performance of the sampled structural models, and the robust design has been perform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index. As a numerical example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5-story and 10-story two adjacent buildings are taken into account, and the existing and newly proposed robust design approache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pproach can guarantee more robust damper system only using small number of samples of the structural models because of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which leads to improvement in the numerical efficiency, compared with the existing robust design methods.

압전 변압기를 이용한 인버터식 네온관용 변압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rter Type Neon Power Supply Using a Piezoelectric Transformer)

  • 변재영;김윤호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504-51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네온 변압기를 세라믹 계열의 압전 변압기를 이용한 인버터식 네온관용 변압기를 제안하였다 인버터식 네온관용 압전 변압기의 주요 구성은 정류부, 발진부, 공진형 하프브릿지 인버터회로부 및 압전 변압기부로 구성 제작하였다. 네온관용 변압기는 지금까지 개발된 압전 변압기 용량 보다 대부분 큰 용량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압전 변압기의 용량 증가를 위해 병렬 구동하였다 이때 병렬로 연결된 단층형 압전 변압기간 내부 임피던스 값의 불일치로 발생하는 불평형 전류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압전 변압기별로 LC 필터값을 분석 부착하여 전압의 왜곡율을 최소화 하여 안정된 정현파 출력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이를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과 실제 네온관 부착 실험을 통하여 전력 밀도와 절연 레벨이 높고, 누설 자속이 없는 소형, 경량화된, 압전 변압기를 적용한 인버터식 네온관용 변압기가 기존의 자기식 네온관용 변압기 보다 우수함을 비교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