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gmental demyelin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당뇨환자에서 하치조신경 전달마취와 턱관절 탈구후 유발된 안면신경 마비 치험 1예 -증례보고- (The Care of Facial Palsy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location in Diabetic Mellitus Patient -A Case Report-)

  • 이천의;유재하;최병호;김종배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5-50
    • /
    • 2011
  • Bell's palsy is an isolated facial paralysis of sudden onset caused by a neuritis of the seventh nerve within the facial canal. It occurs often in the adult man with a history of recent exposure to local cold, such as sleeping next to an open window, or in some cases it occurs after infections of the nasopharynx or masticator spaces. Especially, this neuropathy have linked with the major collagen disorders (diabetes mellitus). A segmental demyelination develops rapidly, with vascultitis in microinfarcts and ischemia to the nerve segment. The authors experienced about the bizarre neurological symptom of Bell's palsy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and TMJ dislocation in diabetic mellitus. The early and correct consultation with the multiple medical and dental departments was important to prevent the inadequate care & medicolegal problems.

랫드의 신경조직에 미치는 Tellurium의 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urotoxic Effects of Tellurium on Murine Nervous System)

  • 김기석;정문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4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athological changes of rat peripheral nervous system during exposure to tellurium known to be a demyelinating agent by using teasing nerve fiber method and quantitative light microscopic analysis by image analyzer. The pellet containing 1.2% of tellurium were fed for 3, 5, 7, 9, 13 days to male wistar rats (21 days old) and then neurologic symptom and the feature of nerve fiber myelination were studied. From this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3 days treated group, it showed various neurologic symptom and teased nerve fiber showed slight irregularity of the myeline sheath. In 5 days and 7 days treated groups, it showed the segmental demyetination in larger size fiber and widening of nodes of ranvier. In 9 days and 13 days treated groups, the remyelinated fibers were observed and it was generally small in size. We consequently suggest that teasing nerve fiber method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nerve fiber were useful pathologic screening method of neurotoxicit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 PDF

고양이의 납중독에 관한 실험적 연구 1. 임상증상 및 실험실적 평가 (Experimental Studies on Lead Toxicity in Domestic Cats 1. Symptomatology and Diagnostic Laboratory Parameters)

  • 홍순호;한홍율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130
    • /
    • 1993
  • 고양이에서 납의 중독량을 결정하고 행동과 임상병리학적인 변화를 밝히고, 납 투여용량과 혈중 납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42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체중에 따라 0(대조군), 10, 100(저용량), 1000, 2000, 4000(고용량) ppm의 lead acetate를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납독성을 평가하였다. 고투여용량(1000, 2000, 4000ppm)을 투여한 어떤 고양이는 분출성 구토, 활동항진 그리고 발작을 보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성장율은 변화가 없었다. 고양이의 정상 혈중 납농도는 사람, 개 그리고 소의 혈중 납농도 보다 낮았다. 고양이에서 준임상형 납중독의 혈중 납농도는 3~20$\mu\textrm{g}$/100$m\ell$이었고, 임상형 납중독의 혈중 납농도는 20~l20$\mu\textrm{g}$/100$m\ell$이었다. Zinc protoporphyrin 농도는 납 투여용량에 비례하였으며 50$\mu\textrm{g}$/100$m\ell$ 이상으로 ZPP농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경우는 임상형의 납중독을 의미하였다. 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는 모든 납 투여용량에 역비례 관계를 보였고, 고양이의 납노출에 대한 유용한 진단적 지표로 나타났다. 오줌의 aminolevulinic acid 농도는 대개 납투여용량에 따라서 증가하지만 측정치는 개체에 따라 다양하였다. 피모의 납농도는 납투여용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최소한 고용량에서 납은 PMN세포와 단핵구의 화학주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모글로빈, 적혈구, 백혈구, 호중구, 임파구, 단핵구 그리고 호산구에서는 투여용량에 대한 반응이 일정하게 관찰되지 않았고 또한 총단백, 혈장단백, BUN그리고 ALT치에서의 용량에 따른 일정한 변화가 없었다. 망상적혈구수는 대부분의 납투여용량수준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양이 납중독의 진단적 가치는 거의 없었다. 신경전달속도의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납섭취로 인한 대상성 탈여(Segmental demyelination)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양이의 치사량은 체중 kg당 60~150mg이었다. 납중독 진단에 신뢰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혈중 납농도, ZPP. ALAD 그리고 피모의 납농도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