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gment

검색결과 4,692건 처리시간 0.052초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쇼핑가치에 따른 의류점포속성 중요도 비교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of Apparel Store Attributes for Shopping Valu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 박나리;장영실;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62-18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복쇼핑가치 유형을 밝히고 쇼핑가치 유형에 따라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의 의류점포속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세분집단에서 한국과 중국에 대학생들에 따라 의류점포속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한국의 경우 고 관여 쇼핑 집단의 응답자들은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 편의성, 판매원의 행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쾌락적 쇼핑 집단인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를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고 관여 쇼핑 집단이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 점포 서비스, 제품의 구색과 편의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쾌락적 쇼핑 집단에서 한국 응답자들은 중국 응답자들 보다 서비스를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중국의 응답자들은 점포의 편의성 더 한국의 응답자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저 관여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은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분위기와 서비스, 다양한 상품의 구색을 갖추고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고 관여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은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판매원의 행동 부분들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중국의 응답자들은 한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거리와 같은 편리성 부분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실용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이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서비스, 상품구색, 판매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Energy Lining Segment 적용성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y for Evaluation on Application of Energy Lining Segment)

  • 한상현;박시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43-147
    • /
    • 2013
  • 지열 에너지는 지구에 저장된 활용하기 쉬운 재생에너지 이며, 열교환 배관 시스템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주변 라이닝에 지열 에너지를 포집할 수 있는 열교환 파이프 루프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터널 세그먼트에 결합된 열 교환 파이프 루프 시스템은 수송 유체 순환을 통해, 지중 주변의 열을 인근 구조물 또는 지역의 냉난방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터널 세그먼트에 통합 연결된 열 교환 파이프 루프 시스템을 에너지 라이닝 세그먼트(Energy Lining Segment)이라고 명하도록 하겠다. 유럽에서는 터널 라이닝에 열 교환 파이프 루프 시스템을 통합한 수차례의 사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라이닝 세그먼트에 대한 적용성 평가를 위해, 독일 사례와 유럽 도시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또한, 에너지 라이닝 세그먼트의 열 전도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산유체해석(CFD)을 수행해 보았다.

방송을 위한 MMT 환경에서의 DASH 콘텐츠 사용을 위한 MMTP 기반 DASH segment 전송 방안 (Method of Delivering DASH Segments based on MMTP for Re-use of DASH Contents under MMT Broadcasting Environment)

  • 안효민;강동진;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48-559
    • /
    • 2017
  • 최근 들어, UHDTV같은 고품질 AV서비스가 증가하면서 방송 기술도 진화하게 되었으며, 방송 표준 또한 새롭게 정의하게 되었다. 현재 한국에서는 지상파 UHD 방송을 위해 북미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규격 표준화 기구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 제정한 ATSC3.0 규격 기반으로 국내 표준을 제정하였다. 지상파 UHDTV 표준에는 다양한 방송 표준 중에서 대표적인 전송표준으로는 DASH/ROUTE와 MMTP이 있다. DASH/ROUTE와 MMTP는 현재 한국에서 지상파 UHD 방송을 시작하면서 전송표준으로 DASH/ROUTE와 MMTP를 채택하였다. DASH segment와 MPU는 각기 DASH/ROUTE 및 MMTP를 통하여 전송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segment 단위이다. 본 논문에서는 DASH segment와 MPU의 구조를 분석하고, DASH segment를 MPU로 변환하여 MMTP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는 검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고강도 콘크리트와 고장력 철근을 적용한 쉴드 세그먼트의 역학적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cal behavior of shield segment with high-strength concrete and high-tension rebar)

  • 이규필;박영택;최순욱;배규진;장수호;강태성;이진섭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15-23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세그먼트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설계강도가 60 MPa인 고강도 콘크리트와 항복강도가 600 MPa인 고장력 철근을 사용하여 철근량을 저감시킨 고강도 철근보강 세그먼트 시작품을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작된 고강도 세그먼트와 기존 철근보강 세그먼트의 역학적 거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세그먼트의 실물 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철근량이 약 26%가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고강도 철근보강 세그먼트의 파괴하중은 일반 철근보강 세그먼트보다 약 30% 크게 나타나 고강도 콘크리트와 고장력 철근으로 인해 세그먼트의 내하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Short-segment Pedicle Instrumentation of Thoracolumbar Burst-compression Fractures; Short Term Follow-up Results

  • Shin, Tae-Sob;Kim, Hyun-Woo;Park, Keung-Suk;Kim, Jae-Myung;Jung, Chul-K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2권4호
    • /
    • pp.265-270
    • /
    • 2007
  • Objective : The current literature implies that the use of short-segment pedicle screw fixation for spinal fractures is dangerous and inappropriate because of its high failure rate, but favorable results have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short term results of thoracolumbar burst and compression fractures treated with short-segment pedicle instrumentation.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all surgically managed thoracolumbar fractures during six years were performed. The 19 surgically managed patients were instrumented by the short-segment technique. Patients' charts, operation note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sagittal index, sagittal plane kyphosis, anterior body compression, vertebral kyphosis, regional kyphosis), computed tomography scans, neurological findings (Frankel functional classification), and follow-up records up to 12-month follow-up were reviewed. Results : No patients showed an increase in neurological defici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patients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follow-up sagittal index, sagittal plane kyphosis, anterior body compression, vertebral kyphosis and regional kyphosis. One screw pullout resulted in kyphotic angulation, one screw was misplaced and one patient suffered angulation of the proximal segment on follow-up, but these findings were not related to the radiographic findings. Significant bending of screws or hardware breakage were not encountered. Conclusion : Although long term follow-up evaluation needs to verified, the short term follow-up results suggest a favorable outcome for short-segment instrumentation. When applied to patients with isolated spinal fractures who were cooperative with 3-4 months of spinal bracing, short-segment pedicle screw fixation using the posterior approach seems to provide satisfactory result.

볼링 투구 동작 시 손목 지지대 착용에 따른 몸통과 상지 분절의 움직임 변화 (Motion Change of the Trunk and Upper Extremity Segment to Putting the Wrist Support on Throwing in Bowling)

  • 김태삼;이훈표;한희창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41
    • /
    • 2006
  •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ree dimension angle of the upper extremity segment and trunk to putting the protector in women bowlers. For this study, the subjects selected 4 players of national and university team. All subjects putted in the same wrist support to satisfy the experiment conditions. To get three dimensions position coordination of swing motion used for 6 ProReflex MCU 240 camera produced by Qualisys. After position coordination calculation, Three dimension angle of the trunk and the upper extremity segment calculated for Matlab 6.5. the result is following; In the trunk motion,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in a flexion and extension change.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in motion change of the abduction-adduction and internal-external rotation, but the motion types translated to the adduction-abduction-adduction and from the internal rotation toward the external rotation. In the upper arm segment the Flexion and extension showed a consistent motion in the down swing and up swing phase. And the motion change of abduction-adduction and pronation-supination showed a abduction-adduction-abduction and pronation-supination change during swing phase. In the forearm segment changes, it showed a lot of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and a similar change with the upper arm segment. Especially, the hand segment showed a supination motion from the backswing apex to release phase, but for increasing a rotation velocity of ball, the hand segment translated toward pronation in follow throw phase.

조파판 수중운동의 근사해석과 조파기 설계에 응용 (Simplified Analytic Solution of Submerged Wave Board Motion and Its Application on the Design of Wave Generator)

  • 권종오;김효철;류재문;오정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461-469
    • /
    • 2017
  • A segment of the wave board has been expressed as a submerged line segment in the two dimensional wave flume. The lower end of the line segment could be extended to the bottom of the wave flume and the other opposite upper end of the board could be extended to the free surface. It is assumed that the motion of the wave board could be defined by the sinusoidal motion in horizontal direction on either end of the wave board. When the amplitude of sinusoidal motion of the wave board on lower and upper end are equal, the wave board motion could express the horizontally oscillating submerged segment of piston type wave generator. The submerged segment of flap type wave generator also could be expressed by taking the motion amplitude differently for the either end of the board. The pivot point of the segment motion could play a role of hinge point of the flap type wave generator. Simplified analytic solution of oscillating submerged wave board segment in water of finite depth has been derived through the first order perturbation method at two dimensional domain. The case study of the analytic solution has been carried out and it is found out that the solution could be utilized for the design of wave generator with arbitrary shape by linear superposition.

구간 분할 및 HMM 기반 융합 모델에 의한 온라인 서명 검증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Using Fusion Model Based on Segment Matching and HMM)

  • 양동화;이대종;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2-17
    • /
    • 2005
  • 기존의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을 비교하는 방법 쿵 분절 단위 비교 방법은 전역적 방법과 점 단위 방법에 비하여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분절 단위 비교 방법은 인식률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분절의 불안정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절 단위 비교 방법을 이용한 서명검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두 가지 형태의 모델을 구축하였다. 우선 기존에 사용된 구간 분할 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서명의 동적정보에 대한 매칭도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서명의 정적정보를 균일하게 분할한 후 분할된 영역을 주성분 분석 기법에 의해 특징 벡터를 산출하고 HMM에 의해 서명간의 매칭도를 산출하였다. 최종 융합단계에서는 SVM 분류기에 의해 서명의 진위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분절단위 기반의 구간 분할 매칭 기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다랑어의 미끼 섭취 습성 (The Biting Behavior of Tuna on Baits)

  • 박승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7-322
    • /
    • 1982
  • 꽁치를 통째로 미끼로 하는 다랑어 주낙으로 어획된 다랑어 위속에 들어있는 꽂치 토막의 어체부체별 빈도에서 다랑어의 섭취 습성을 추측하였다. 꽁치 토막을 머리와 꼬리의 유무에 따라 분류하여 꽁치 온마리(A토막) 머리 토막(B토막) 몸통 토막(C토막) 및 꼬리 토막(D토막)으로 구분하고 다랑어 위를 위속에 들어있는 꽁치 토막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A위 , B 위 및 C, D위로 정하고이 호정별로 3개의 소표본을 얻은 다음 소표본마다 그 유의특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위와 동-발인 꽁치 토막의 빈도에서 위와 동수만콤의 빈도를 제외한 나머지 빈도에서 위의 호정과 꽁치 토막의 부위와의 관련성을 $X^2$검정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꽁치의 머리 토막을 삼키고 어획된 다랑어는 먼저 꼬리 토막을 떼어 삼킨 다음 그 꽁치의 머리토막을 삼킨 것으로 인정되는 것이 많다. (2) 꽁치의 머리 토막을 삼킨 다랑어의 조획률은 꽁치 온마리를 삼킨 다랑어의 조획률보다 높아.(3) 꽁치의 머리(A토막과 B토막)를 삼킨 다랑어가 낚시에 낚이지 아니한 것은 아마 꽁치의 꼬리부를 먼저 물어서 그 미끼의 머리가 낚시에서 연도된 것을 삼켰을 것이다.

  • PDF

세그먼트 자동복구 기반의 네트워크 장애 복구 알고리즘 ((A Network Fault Recovery Algorithm based on a Segment Automatic Restoration Scheme))

  • Shin, Hae-Joon;Kim, Ryung-Min;Kim, Young-Tak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3호
    • /
    • pp.448-46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복구시간의 최소화 및 효율적인 복구자원 제공을 위해 세그먼트 자동복구 기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고장 복구 방안을 제안한다. 세그먼트 자동복구는 대규모 통신망을 다수개의 소규모 서브네트워크로 분할하여 각 서브네트워크에서 자동복구를 수행하는데, 그 성능은 서브네트워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장애를 서브네트워크 내부에서 복구할 수 있기 때문에 복구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네트워크의 분할에 있어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서브네트워크의 크기와 그에 따른 자동복구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링크와 노드장애가 발생하는 환경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제안된 세그먼트 자동복구 방법이 가장 짧은 복구 시간을 나타내었다. 특히 세그먼트 자동복구의 개념을 사용하는 SLSP(Shortest Leap Shared Protection) 방법과 비교했을 경우 복구 시간과 복구 자원 면에서 모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