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elongation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2초

대두(Glycine max) 유식물에서 하배축의 신장과 유관속전이 (Vascular Transition and Hypocotyl Elongation in Soybean(Glycin max) Seedlings)

  • 강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4호
    • /
    • pp.274-281
    • /
    • 1991
  • The relationship between elongation of hypocotyl and its vascular transition was studied with seedling of Glycine max. the hypocotyl elongation proceeded acropetally from the base of hypocotyl toward the cotyledonary node. The vascular transition did not occur in the basal region of the hypocotyl, which did not nearly elongate, with exarch radial vascular bundles. However, the vascular transition was almost comple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hypocoty, more or less elongated, with endarch collateral vascular bundles. Such bundles also appeared in the uppermost region of the hypocotyl, in which the elongation was the most strik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vascular transition was related to the hypocotyl elongation and that the transition of primary vascular system in Glycine max seedling was established by rather rapid process. Our observations of the serial sections from root to hypocotyl revealed that the vascular system through the root-hypocotyl-cotyledon was a unit, to which one of the epicotyl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ransition was superimposed.

  • PDF

건답직파에서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벼 품종의 출아특성 (Seedling Emergence of Dry-seeded Rice Varieties under Two Soil Moisture Regimes)

  • 이변우;명을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02-511
    • /
    • 1994
  • 벼 건답직파에서 벼 품종들의 출아·입모 특성과 유아의 신장 특성과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국내의 재래종, 육성종 및 샤레벼, 미국 직파재배품종, 이태리 품종 등 98개 품종을 토중 4.5cm에 파종하여 적습과 과습조건하에서 출아율, 입모율, 평균출아일수, 중배축장, 하위절간장, 초엽장, 불완전엽장 등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습조건에서 입모율은 9∼92.5%, 평균출아일수는 12∼25일 범위였고, 과습조건에서의 출아율은 0∼90%, 평균출아일수 27∼34일로 양조건 모두 품종간 변이가 매우 컸으며, 대부분의 품종은 과습조건에서 출아율이 낮아지고 출아속도가 늦어졌다. 2. 출아·입모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인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초엽장, 불완전엽장이었고,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제1, 2절간장, 초엽장, 불완정엽장이었다. 3. 평균발아일수는 중배축장, 초엽장, 불완전엽장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표준편회귀분석결과 출아·입모의 품종간 차이에 가장 유의적으로 기여하는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과 초엽장,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과 제2절간장이었다. 5. 평균출아일수의 품종간 차에 유의적으로 기여하는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불완전엽장으로 회귀계수는 부의 방향이었으며, 제1,2절간장은 정의 방향이었다.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만이 유의적 기여를 하였는데 회귀계수는 부의 방향이었다. 6.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건답직파조건에서 출아율이 높고 출아속도가 빠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중배축, 초엽 및 불완전엽의 신장이 잘되는 특성의 선발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벼 어린모 뿌리의 분화 및 신장에 미치는 Metalaxyl의 종자침청처리 효과 (Effect of Exogenous Metalaxyl Seed-Soaking on Root Initiation and Elongation of Young Rice Seedling)

  • 김제규;박광호;이문희;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45-553
    • /
    • 1993
  • 벼 기계이앙을 위한 어린모 육묘에서 뿌리엉킴촉진에 탁원한 효과가 있는 metalaxyl의 묘 뿌리분화 및 신장생장에 관한 일부 생리적 기작을 밝히고자 metalaxyl 침지처리에 따른 어린모의 근활력, 발근력, 아미노산 함량 변화, 광합성 및 엽록소함량등을 조사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etalaxyl(25%, 수화제) 200ppm에 침지처리한 어린모는 무처리에 비하여 전육묘기간중에 근활력이 높았으며 특히 파종후 10~13일에 현저하게 높았다. 2. metalaxyl 200ppm에 종자를 침지처리한 어린모에서 재발생된 관근의 길이는 무처리보다 유의적으로 길었으며, 뿌리의 신장을 촉진시켰다. 3. metalaxyl 200ppm에 종자를 침지처리한 어린모에서 재발생된 관근의 수는 무처리와 비슷한였으나, 관근에서 발생된 분지근(측근)의 수는 2~3배 증가되어 분기근의 분화를 촉진시켰다. 4. 어린모 뿌리의 alanine함량은 metalaxyl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alanine 함량과 근활력, 또 metalaxyl 농도와 분지근수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metalaxyl 침지처리는 어린모 뿌리에서 거의 모든 종류의 아니노산 함량을 증가시켰다. 6. metalaxyl처리는 어린모 체내의 엽록소 및 전질소 함량을 높이고, 광합성량을 증가시켰다.

  • PDF

당귀속 2종 식물의 수용추출액과 휘발성물질이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and Volatile Substances of Two Angelica Plan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 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9-173
    • /
    • 2006
  • 참당귀와 일당귀의 수용추출액과 휘발성물질이 식물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실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당귀의 수용추출액에 의한 참당귀의 종자발아율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일당귀는 추출액의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일당귀의 수용추출액에 의해서는 참당귀와 일당귀의 종자발아가 억제되었다. 참당귀의 수용추출액에 의한 참당귀와 일당귀의 유묘생장은 10%농도에서는 대조구보다 높았으나 50%와 100% 농도에서는 농도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였고, 일당귀의 추출액에 의한 참당귀와 일당귀의 유묘생장은 수용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참당귀와 일당귀의 휘발성물질에 의해서 상추의 종자발아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참당귀와 일당귀의 휘발성물질로 처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실험구의 상추의 유근신장이 억제되었지만 농도에 따른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식물생장조절제 처리가 벼기계이앙 어린모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Growth of Rice Seedling for Machine Transplanting)

  • 이주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60-365
    • /
    • 1993
  • 벼 기계이앙 어린모 육묘시 생장조절제가 묘의 초장신장 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화성벼를 공시하고 6가지의 생장조절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종 효과와 6가지의 생장조절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종 효과와 묘 생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ibberellin과 Metalaxyl은 어린모의 초장신장을 촉진시켰으며, Tetracycle은 초장을 억제하였다. 2. Gibberellin의 엽면분무처리가 종자침종처리보다 어린모의 초장신장에 더 효과적이었다. 3. 어린모의 초장신장 촉진을 위한 Gibberellin의 엽면분무처리의 적정농도는 약 10ppm이었다. 4. Gibberellin의 엽면분무의 적정처리시기는 파종후 3~4일 이었다.

  • PDF

대두 유식물의 배축에 있어서 유관속형성층의 기원 (Origin of the Vascular Combium in the Developing Hypocotyl of Glycine max Seedling)

  • 강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1권4호
    • /
    • pp.289-298
    • /
    • 1988
  • The pattern of elongation in the developing hypocotyl of Glycine max shows that the elongation generally proceeds from base to the cotyledonary node in acropetal diredtion, although earlier elongation takes place through the entire hypocotyl. Because the differentiation of the vascular cambium in the hypocotyl advances also acropetally, it can be seen that the acropetal wave of hypocotyl elongation is associated with the acropetal differentiation of the cambium in the hypocotyl elongation is associated with the acropetal differentiation of the cambium in the hypocotyl elongation is associated with the acropetal differentiation of the cambium in the hypocotyl. The elongation of procambial cells occurs not only during active elongation but also after cessation of elongation of the hypocotyl. In tangential view, the procambium of the hypocotyl in early stage has homogeneous structure composed of short cells. Subsequently, these procambial cells elongate actively and then become elongated long cells. These long cells eventually become fusiform initials, while some of elongated long cells are transversely divided and then converted into ray initi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scular cambium are entirely acquired some time after hypocotyl elongation is completed, and the transitin from procambium to vascular cambium in the hypocotyl is a rather gradual process.

  • PDF

Characterization of Biomass Production and Seedling Establishment of Direct-Seeded Nogyangbyeo, a Whole Crop Rice Variety for Animal Feed

  • Yang, Woon-Ho;Choi, Kyung-Jin;Kwak, Kang-Su;Park, Tae-Shik;Oh, Min-Hyuk;Shin, Jin-Chul;Kim, Jong-G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49-258
    • /
    • 2007
  •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ims to (1) estimate the biomass yield potential, (2) characterize the biomass and digestible dry matter production, and (3) reveal the characteristic seedling establishment of a whole crop rice variety, Nogyangbyeo, in dry- and wet-seeded rice. Maximum aboveground total biomass of Nogyangbyeo was 18 t $ha^{-1}$ in dry-seeded rice and 20 t $ha^{-1}$ in wet-seeded rice. Biomass yield potential of Nogyangbyeo was lower than that of Dasanbyeo. Comparatively, Nogyangbyeo was straw-dependent and Dasanbyeo was grain-dependent for biomass accumulation. Percentage of digestible dry matter (DDM) was higher in panicles than straw. Digestible dry matter yield was determined mainly by biomass yield rather than DDM percentage. Number of seedling establishment in Nogyangbyeo was $73m^{-2}$ in dry-seeded rice and $109m^{-2}$ in wet-seeded rice. Poor seedling establishment of dry-seeded Nogyangbyeo in the field condition was the result of low seed germination under low temperature and poor seedling emergence by deep sowing. Low seedling emergence rate of Nogyangbyeo was attributed mainly to slow elongation growth by slow leaf development and partly to mesocotyl and 1st internode lengths, not to genetically defined leaf length. The slow elongation growth of Nogyangbyeo was the same even in the high daily mean temperature of $24^{\circ}C$. Results suggest DDM yield in rice can be improved simply by increasing biomass and whole crop rice varieties should be adaptable to direct-seeding.

상치의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휘발성 화학물질과 식물호르몬의 상호작용 (The Interaction of Volatile Chemicals and Phytohormone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Lettuce)

  • 윤경원;길봉섭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4호
    • /
    • pp.233-238
    • /
    • 1997
  • To evaluate allelopathic effect of volatile chemicals and phytohormones,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test of Lactuca sativa have performed in laboratory experiments. Among used chemicals terpienen-4-ol was the most inhibitory to seed germination of lettuce. ABA and GA inhibited seed germination at $5{\times}10^{-6}M$ concentration but promoted germination at $2.5{\times}10^{-5}M$ and $5{\times}10^{-5}M$. ABA and GA alleviated volatile chemical-induced inhibition of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elongation of lettuce.

  • PDF

온도ㆍ토양수분 포텐셜 및 삼투처리가 옥수수와 대두의 발아 및 묘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Soil Water Potential and Osmoconditioning on Germination and Seedling Elongation of Corn and Soybeans)

  • 성락춘;해리 씨 마이너;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6-61
    • /
    • 1986
  • 옥수수품종 (Dekalb XL 72B)과 대두품종 ( Willi -ams)의 발아와 묘신장을 두 온도, 세 토양수분 포텐셜 및 네 polyethylene glycol(PEG) 8,000 수준에서 측정하였다. 각 품종의 20처리종자를 0.2% Thiram에 처리하여 가비중 1.20으로 압축된 살균사양토에 2.0cm 깊이로 파종 분할구배치법 사반복으로 실시하였다. 1. PEG로 한 삼투처리는 고온에서나 저토양수분포텐셜 조건에서 효과가 거의 없었다. 2. 대두는 옥수수보다 높은 묘수분함량을 보였고 두 작물 모두 토양수분 포텐셜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흡수가 증가되었다. 3. 옥수수의 묘장이 35$^{\circ}C$에서는 대두보다 길었으나 15$^{\circ}C$에서는 짧았다. 4. 옥수수의 건물중은 35$^{\circ}C$에서 감소되었고 대두의 건물중은 토양수분 포텐셜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었다.

  • PDF

Acclimation responses of Tamarix chinensis seedlings related to cold stress

  • Joo, Young-Sung;Lee, Eun-J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3호
    • /
    • pp.251-25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climation responses of Tamarix chinensis to cold stress. We evaluated the acclimation responses by measuring biomass, daily elongation rate, chlorophyll content, and total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The plant samples comprised leaves from seedlings of 2 different ages (8 and 12 weeks); the leaves were collected 0, 2, and 4 weeks after cold treatment. We found that the cold-treated samples showed reduced daily elongation rates and chlorophyll content. Further, these samples showed more than 8-fold increase in the total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However, the seedling ag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rowth of cold-treated seedling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we can conclude that T. chinensis seedlings aged less than 1 year old show acclimation to cold stress by accumulating soluble carbohydrates. This study may help us understand how T. chinensis seedlings acclimatize to their first cold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