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size

검색결과 681건 처리시간 0.023초

대두 종자크기에 대한 간접선발지표로써 잎 크기의 이용 (Use of Leaf Size for Indirect Selection of Seed Size in Soybean)

  • 정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10-813
    • /
    • 1997
  • 대두 종자크기에 대한 간접적인 선발형질로써 잎크기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알기 위하여 종자크기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는 12개의 line을 선발하여 2년간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종자크기와 잎크기의 차이에 있어서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개화전 종자크기에 대한 간접선발로써 잎크기의 이용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 PDF

대두 종자크기에 대한 QTL의 consistency (Consistency of QTLs for Soybean Seed Size across Generations)

  • 정종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58-360
    • /
    • 1997
  • 대두 종자크기에 대한 QTL의 consistency을 알아보기 위하여 F$_{2}$, F$_{3}$ 세대에서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댜음과 같다. 세 개의 마크 OTL09a, OPM07a, OPAC12 가 F$_{2} 세대에서 종자 크기에 대한 QTL과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F$_{3}$ 세애데는 네 개의 마크 OTL09a, OPG19a, OPL09b, OPP11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두 개의 마크 OPL09a, OPL09b 가 두 세대에서 유의성을 나타애어 종자 크기에 대한 QTL의 consistency가 인정되었다.

  • PDF

Brassica rapa Sec14-like protein gene BrPATL4 determines the genetic architecture of seed size and shape

  • Kim, Joonki;Lee, Hye-Jung;Nogoy, Franz Marielle;Yu, Dal-A;Kim, Me-Sun;Kang, Kwon-Kyoo;Nou, Illsup;Cho, Yong-Gu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32-340
    • /
    • 2016
  • Seed size traits are controlled by multiple genes in crops and determine grain yield, quality and appearance.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controlling the size of plant seeds remain unclear. We performed functional analysis of BrPATL4 encoding Sec14-like protein to determine the genetic architecture of seed size, shape and their association analyses. We used 60 $T_3$ transgenic rice lines to evaluate seed length, seed width and seed height as seed size traits, and the ratios of these values as seed shape traits. Pleiotropic effects on general architecture included small seed size, erect panicles, decreased grain weight, reduced plant height and increased sterility, which are common to other mutants deficient in gibberellic acid (GA) biosynthesis. To test whether BrPATL4 overexpression is deleterious for GA signal transduction, we compared the relative expression of GA related gene and the growth rate of second leaf sheath supplied with exogenous $GA_3$. Overexpression of BrPATL4 did not affect GA biosynthesis or signaling pathway, with the same response shown under GA treatment compared to the wild type. However, the causal genes for the small seed phenotype (D1, SRS1, and SRS5) and the erection of panicle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in mRNA accumulation compared to the wild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verexpression of BrPATL4 can control seed size through the suppression of those genes related to seed size regulation. Although the molecular function of BrPATL4 is not clear for small seed and erect panicles of BrPALT4 overexpression line, this study provides some clues about the genetic engineering of rice seed architecture.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Seed Size and Weight in Soybean

  • Kim, Hong-Sik;Lee, Suk-Ha;Park, Keum-Yong;Lee, Yeo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27-231
    • /
    • 2000
  • Small seed size is one of the major traits of soybean cultivars for sprouts with regard to high sprout y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for seed size and weight in a set of F 6 seeds of 89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Pureunkong', a soybean cultivar developed for sprouts and 'Jinpumkong 2', a soybean cultivar with no beany taste in seed due to the lack of lipoxygenases. The genetic map of 25 linkage groups with a total of 98 markers including RFLP, RAPD, SSR and classical markers was constructed from this F/sbu 5/-derived population and was used for QTL analysis. 'Pureunkong' was significantly smaller (P<0.01) than 'Jinpumkong 2' in seed size and seed weight. Genetic variation was detected and transgressive segregation was common in the population for these traits. Seven DNA markers including opT14-1600 in LG A2, opF02-400 in LG B2, Satt100, opC09-700, opG04-730 and opQll-650 in LG C2, and opY07-1100 & 1000 in LG(unknow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and accounted for 4.7 to 10.9% and 5.1 to 10.1 % of the phenotypic variation in seed size and seed weight, respectively. 'Pureunkong' alleles increased seed size and seed weight at the all four significant marker loci on the LG C2. These marker loci in LG C2 were closely linked and were presumed to be a single QTL. Overall, at least three independent QTLs from 3 linkage groups (A2, B2, and C2) were putatively involved in the control of seed size and seed weight.

  • PDF

$F_{2}\; and\; F_{3}$ 세대에서 대두 종자크기에 대한 빈도분포 (Frequency Distribution for Soybean Seed Size in $F_{2}\; and\; F_{3}$ Generation)

  • 정종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55-357
    • /
    • 1997
  • 대립종자와 소립종자의 cross부터 F$_{2}$와 F$_{3}$ 세대에서의 종자크기에 대한 빈도분포의 다음과 같다. 두 세대에서 모본의 크기와 같은 progeny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각 세대의 평균치는 양 모본의 평균치 보다 낮았다. 소립종자 크기에 비해 우성적인 유전양상을 나타 내었다.

  • PDF

종자의 크기가 묘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Size on Seedling Performance in Panax g.inseng)

  • 김종만;이성식;김요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85-91
    • /
    • 1981
  • Ginseng seeds were gathered from 3,4,5 and 6 years of age and were classified into four qroups (below 4mm, 4∼5mm, 5∼6mm and above 6mm in across sieve). They were sown in seedling bed and some characters were investigated in each qroup of seed size. 1. The distribution of seed size of below 4mm, 4-5mm, 5-6mm and 6mm were 23.7%, 60.8%, 12.4% and 4.5%, respectively. 2. The ratio of seed coat dehiscence was not affected by seed size but emergence ratio and emerging vigor were superior in large seed. 3. The large seed showed superiority in stem length, stem diameter, leat and also in root length, root diameter and root weight. but diseased root was not affected by seed size. The effect of age(seed harvest) was not significant on all those characters.

  • PDF

수박 종자크기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Seed Size in Watermelon)

  • 김용재;양태진;박영훈;이용직;강순철;김용권;조정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12-419
    • /
    • 2009
  • 수박에서 종자크기의 유전분석을 위해 종자크기가 다른 6계통을 양친으로 한 교배집단을 조사하였다. 전체 6계통 중 3계통은 수집 계통으로 giant seed(GS)인 'PI525088' big size(BS)인 'Charleston Gray' 그리고 medium seed(NS)인 'NT'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3계통은 보통 크기와 가장 작은 크기 계통간($^{\prime}NT^{\prime}{\times}^{\prime}TDR^{\prime}$) 교잡 및 여교잡으로부터 육성되어 종자크기만 상이한 near isogenic line으로서 small seed(SS)인 'NTss' micro seed(MS)인 'NTms' tomato seed size(TS)인 'NTts'가 이용되었다. 각각의 종자크기에 관련한 유전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인접한 종자크기를 가진 계통들간의 조합인 $GS{\times}BS$, $BS{\times}NS$, $NS{\times}SS$, $MS{\times}TS$, 그리고 종자크기가 비교적 차이가 계통들간 큰 두 조합인 $NS{\times}TS$, $GS{\times}NS$에 대하여 P1, P2, $F_1$, $F_2$, $BC_1F_1(P1)$, $BC_1F_1(P2)$를 작성, 전개하여 종자크기의 분리를 관찰하여 유전양식을 판단하였다. $GS{\times}BS$, $NS{\times}SS$, $MS{\times}TS$ 의 경우 1개의 유전자 차이가 발견되었고, 유전양식은 부분우성이었고, $BS{\times}NS$의 경우 2개 이상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GS{\times}TS$에서는 분리후대에서 매우 넓은 범위의 종자크기를 가진 개체들이 관찰되어 이들 두 계통들간에는 6개 이상의 유전자, $NS{\times}TS$의 경우에는 3개의 유전자가 종자크기의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양한 종자크기를 가진 Near Isogenic 수박 계통 육성 및 종자관련 특성 분석 (Development of Near Isogenic Lines with Various Seed Sizes and Study on Seed Size-related Characteristics in Watermelon)

  • 김용재;양태진;박영훈;이용직;강순철;김용권;조정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3-411
    • /
    • 2009
  • 수박에서 종자크기가 다른 각 계통들간의 종자특성과 종자크기의 변화에 따른 과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박 유전자원 353 점을 대상으로 종자의 크기를 조사하고 6가지 대표적인 종자크기 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종자크기가 큰 순서부터 giant seed(GS), big seed(BS), medium size(NS), small size(SS), micro seed(MS), tomato seed(TS)라고 명명하였다. 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종장, 종경이 작아졌고, 종자 모양은 큰 변화가 없지만 과당 종자수는 많아지고, 과당 종자중은 감소하였다. 종자크기가 과중, 발아율, 48시간 발효처리 후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종자크기가 NS형인 수박 계통 'NT'로부터 종자크기형이 각각 SS, MS, TS인 3계통의 near isogenic line(NIL)s과 'S55'로부터 종자크기형이 TS인 1계통의 NIL을 육성하였다. 종자크기가 상이한 NIL간의 과중을 조사한 결과 NS, SS, MS형에서는 각각 과당 6.4, 6.3, 5.9 kg으로 유사하였고, TS인 경우에는 4.2 kg으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종자크기형이 NS인 계통들에서는 양호한 발아율을 보였지만, TS인 경우에는 매우 낮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48시간 발효처리에 의하여 TS 계통들에서 발아율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여전히 낮은 발아율을 보였다. 전체 종자중에 대한 배와 종피의 무게 비율을 보면 NS, SS, MS의 경우에는 50% 이상의 배 비율을 보였지만, TS의 경우에 44.4%의 비율을 보여 이로 인해 낮은 발아율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박에서 다양한 종자크기의 유전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TS는 종자크기 뿐 아니라 과중 또한 작은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두 12 모본의 half diallel cross로부터 생성된 66 $F_2$ 분리집단에서의 종자크기와 잎 크기에 대한 관계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Seed size and Leaf Size in 66 $F_2$ Populations Derived from Mating of 12 Soybean Strains)

  • 정종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37-442
    • /
    • 1998
  • 대두에서 종자크기와 앞 크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형질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12 strain을 선택하여 half diallel mating system으로부터 만들어진 66개의 $F_2$ 분리집단을 대상으로 양 형질에 대한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크기 (g/100 seed)는 6.7에서 43.8의 변이를 보였고, 잎의 넓이와 길이(cm)에서는 각각 5.7에서 8.6과 9.4에서 12.9의 변이를 보였다. $F_2$ 집단에서의 잎의 넓이와 길이는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종자 크기와 잎 크기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 잡종집단 및 germplasm 내에서 일반적으로 큰 잎 형질과 대립종자 형질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대두 잡종집단에서나 germplasm내에서 어린 식물체를 대상으로 하는 생육초기에서 대립종자를 가진 genotype를 선발하기 위해서 큰 잎을 가진 genotype의 선발은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Confirmation of SSR Markers and QTLs Associated with Seed Size and Water Absorbability in Soybean (Glycine max) Cultivars for Fermented Product, Saengcheonggukjang

  • Inhye Lee;Namgeol Kim;Yo-Han Yoo;Hong-Tae 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3-223
    • /
    • 2022
  • Saengcheonggukjang, known as Natto in Japan, is a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 that has various bioactive compounds for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The development of soybean (Glycine max L.) cultivars for saengcheonggukjang production relies on the selection of seed traits that influence the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One of the important traits for cultivars is seed characteristics such as seed hardness and size. In order to select the lines for breeding good quality saengcheonggukjang varieties, several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and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related to seed quality of Korean cultivars, Pungsannamulkong, Socheongja, Pungwon, Heawon, and Hoseo, were analyzed. Based on the many studies to detect stable QTLs for seed traits, we tested several QTLs related to seed size and water absorbability using SSR markers on Korean cultivars. The results showed that two regions for water absorbability of Pungsannamulkong and one region for seed size traits of Haewon and Hoseo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could have applications to soybean breeding for seed size and hardness and it is necessary to narrow it down through further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