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pelleting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2초

황갈색 고원 토양에 있어 근류균 접종, pellleting 및 석회시용이 Lucerne(Medicago sativa L.)의 근류형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eed Inoculation, Pelleting, and Liming on the Nodulation and Growth of Lucerne(Medicago sativa L.))

  • 임병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0권
    • /
    • pp.79-83
    • /
    • 1971
  • 뉴지랜드의 황갈색 고원 토양에 있어 Lucerne의 근류형성 및 생육에 미치는 근류접종, pelleting 및 석회시용의 효과를 시험코저 5개 수준의 종자 처리(블접종, 접종, 접종 석회 pelleting, 접종인산 백운석 50/50 pelleting, 접종활석 pelleting과 석회시용(25kg/10are)을 비교하고 그들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성토양에서 Lucerne의 효과적 근류 형성에는 석회시용과 종자의 근류균 접종 및 pelleting이 필요하다. 2. 접종 종자를 적당한 재료로 싸면 근류헝성을 좋게한다. 3. Lucerne의 종자 pelleting은 석회시용 요구량을 감소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다. 4. 창갈색 고원 토양에서는 석회분말이 좋은 pelleting재료가 된다. 5. 종자에 접종하지 않거나 pelleting을 하지 않은 종자의 파종시는 석회시용이 효과적이다. 6. pelleting 종자 사용은 석회시용에 소요되는 품과 경비를 절감시킬 것이다.

  • PDF

직파용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Rice Seed Pelleting Machine for Direct Seeding in Rice Cultivation)

  • 박종수;유수남;최영수;유대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5호
    • /
    • pp.381-390
    • /
    • 2002
  • Direct seeding of rice-seed pellets i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for solving problems in current direct seeding cultivation of rice. but mass production of rice-seed pellets is prerequisite for practical application. Design.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experimental rice seed pelleting machine were carried out for mass production of rice-seed pellets. The pelleting machine intended to make a ball type rice-seed pellet, which have 3∼5 rice seeds and diameter of which is 12 mm. Pellet materials ; rice seeds, soil, and binder were mixed and kneaded by the mixer. The designed rice seed pelleting machine fed pellet materials by screw conveyor to forming rolls and made rice-seed pellets. Capacity, ratio of perfect rice-seed pellets, seed and pellet material loss were investigated as mixing ratio of soil to rice seed and feeding rate of pellet materials. The pelleting machine showed up to 37,000 pellets/h of pelleting rate, 61∼71% of weight ratio of perfect rice-seed pellets to pellet materials supplied, 17∼48% of seed loss ratio. Average weight and average diameter of the pellets were 1.66 g and 12.0 mm. respectively. More than 3 rice seeds were included in most pellets at 6 : 1 of mixing ratio of soil to rice seed. And compression strength of the pellets was in the range of 88-130 N.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pelleting machine, improvements of the forming rolls, feeding mechanism, and discharging mechanism for reducing loss of pellet materials and seeds damage are needed.

직파용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 개선 연구(I) - 장치 제작과 성능분석 - (Improvement of a Rice Seed Pelleting Machine for Direct Seeding in Rice Cultivation(I) - Construction and its performance -)

  • 유대성;유수남;최영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5호
    • /
    • pp.403-410
    • /
    • 2003
  •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a rice seed pelleting machine and the quality of rice-seed pellets made, improvement of the rice seed pelleting machine developed previously(Park, 2002) was tried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pelleting machine, a feeding mechanism of pellet materials to the forming rolls was changed from screw conveyor to hydraulic cylinder for proper feeding, rings were installed among rows of semi-spherical forming grooves on the forming rolls for reducing pellet materials loss and seeds damage, and discharging air nozzles were added for complete discharging of the pellets made. Through performance tests, capacity, pelleting ratio, and seed loss ratio of the pelleting machine were investigated at the mixing ratios of soil to rice seed of 6 : 1, 7 : 1, and 8 : 1, and rotating speeds of the forming rolls of 7 rpm, 10 rpm, and 13 rpm. As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pelleting ratios were in the range of 77 ∼ 89 %, and maximum pelleting ratio increased by 18 %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previous machine. Maximum capacity was about 110 kg/h(about 63,000 pellets/h), which was increased by 70 %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previous machine. But, ratios of seed loss were in the range of 24 - 49 %, which were not improved.

Pelleting 소재와 크기가 지황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Pelleting Materials and Size on Germination of Rehmannia glutinosa $L_{IBOSCH}$)

  • 윤성탁;한종관;주문갑;박충헌;성낙술;박춘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5-300
    • /
    • 2001
  • 지황 pelleting 종자의 발아특성을 구명코자 온도에 따른 발아율, 채종 후 기간, pelleting물질의 종류, pelleting 크기에 따른 발아율 조사한 결과 온도 및 채종 후 기간에 따른 발아율은 명조건, 암조건 모두 $25^{\circ}C$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당년에 채종한 종자에 비해 채종 후 1년 경과한 종자가 발아율이 높았다. Pelleting 물질별 발아율은 talc처리에서 82.5%로 가장 높았다. Pelleting 종자 크기에 따른 발아율은 2.0mm 크기가 발아율이 높았으며, 특히 talc 2.0 mm에서는 100%의 발아율을 보였다. Pelleting 물질 조합처리에서는 talc + vermiculite, zeolite + vermiculite 모두 대조구보다 발아율이 낮았으며, pelleting 크기별 발아율은 0.7 mm에서 가장 높았다.

  • PDF

더덕 종자의 펠렛팅을 위한 소재 탐색 및 기술개발 (Selec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Seed Pelleting Material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최경구;이윤수;차광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0-133
    • /
    • 2006
  • 더덕 종자의 파종시 산파에 의한 종자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입모 후 잡초 발생에 의한 제초 관리가 어려워 재배 농가에서 어려움이 많아 발아 미세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화 점파 및 멀칭 재배가 가능하고 제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더덕 종자 펠렛팅 연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피복물질을 이용한 펠렛팅 종자의 발아율은 PID처리가 가장 높았으며 Illite, PIT, Diatomite, BT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접착물질은 PVP 처리가 가장 발아율이 높았으며 PVA, XG, CMC, A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펠렛팅 종자의 피복소재별 성형율, 강도는 PID 가 가장 좋았으며, 발아율에 가장 좋은 물리적 특성은 수분 접촉시 split형의 1/2 균열이 생기고 수분 흡수력은 S자형의 흡수 양상을 보였다. 토양함수량에 따른 발아율은 50% 조건에서 PID처리가 가장 좋았으며, 수분함수량이 높을수록 펠렛팅 종자의 발아율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상추 펠렛종자의 피복물질 탐색과 영양물질 첨가가 발아력에 미치는 영향 (Identification of Pelleting Materials and Effect of Nutrient Addition on the Germination of Pelleted Lettuce Seeds)

  • 강점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15
    • /
    • 2004
  • 상추종자는 크기가 불균일하여 기계화 파종이 어렵다. 펠렛의 목적은 종자크기를 증가시켜 기계화 파종을 가능하게 하여 파종과 솎음노력을 절감하고 종자를 절약하는데 있다. 펠렛 접착제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발아율과 발아일수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사용된 접착제 가운데 polyvinyl alcohol(PVA)에서 전반적으로 발아가 원활하였고 다음이 polyvinyl pyrrolidone(PVP), hydroxyethyl cellulose(HEC), methyl cellulose(MC), tween 80 순으로 나타났다. 펠렛 파복물질의 종류에 따라 발아율이 달랐는데 전반적으로 diatomaceous earth 및 talc + calcium carbonate가 다른 펠렛 피복물질에 비해 발아율도 높고 발아일수도 다눅되어 상추의 종자 펠렛에 적합한 피복물질이었다. 반면 Limestone, calcium oxide, bentonite 등은 발아율이 저조하였다. 상추종자는 펠렛 후 종자의 크기가 33배 증가되었다. 펠렛종자에 영양물질 첨가는 발아율이 약간 감소되었고, 발아일수도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첨가되는 영양물질의 급원에 따라서도 펠렛종자의 발아력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적으로 MS medium이 monosodium phosphate 보다 발아억제 정도가 낮았다. Priming 후 펠렛된 종자는 무처리 종자를 펠렛한 경우에 비해 발아율이 높았고 조기발아 하였다.

벼 및 배추종자 Pelleting을 물질채색 및 기술개발 (Development of Seed Pelleting Technology for Rice and Cabbage)

  • 민태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78-684
    • /
    • 1996
  • 기계화 파종으로 파종작업의 생력화를 위하여 배추종자 및 볍씨 pelleting에 대해서 Pelleting 물질과 접착제에 대한 기초적인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중 pellting 재료와 접착제에 따른 pellet의 모양형성, 경도, 발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ellet 종자의 모양형성은 접착제를 pelgel, AG-11을 사용하고 재료로는 paper clay, lime, PLL-11, coal ash등을 사용할 때 가장 우수하였다. 2. Pellet 종자의 경도는 pelleting 물질에 따라, 또는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공히 영향이 켰다 3. 모양형성과 경도를 함께 고려할 때 가장 우수한 pelleting 재료는 PLL-11 및 paper clay이었고, 접착제로는 pelgel과 AG-11이 었다. 4. Pelgel을 접착제로 하고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한 pellet 종자의 발아는 대체적으로 다양한 발아저해 현상을 보였으나 PLL-11을 재료로하고 여러 가지 접착제로 pelleting한 종자에서는 발아에 지장이 없었다. 그 중 PLL-11을 재료로 한 pellet 종자에서 가장 발아을이 우수하였고 zeolite를 재료로 한 종자에서 발아억제 현상이 가장 심했다. 5. AG-11과 PLL-11을 재료로 한 볍씨 Pelleting 종자의 발아는 무처리와 같았다 6. PLL-11을 재료로 하고 여러 가지 접착제를 이용한 pellet종자에서는 발아저해가 피의 나타나지 않았다. 7. Pellet 물질의 추출물을 이용한 발아에서 zeo-lite와 bentonite추출물에서 약간의 발아저해현상이 나타났다. 8. Pellet 물질의 추출물 산도는 zeolite와 ben-tonite에서 가장 높았고, 전기전도도도 역시 zeolite와 bentonite에서 가장 높았다.

  • PDF

겉뿌림을 위한 알팔파의 종자펠렛팅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Seed Pelleting Technique for Surface Sowing of Alfalfa)

  • 김종덕;권찬호;김수곤;김종관;허삼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475-480
    • /
    • 2005
  • Surface sow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to establish and improve grassland. An interest in seed-coating technique for surface sowing has been increased tremendously in the world toda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pelleting seeds for pasture production in woodlands. Results showed that pelleting seeds was a better technique than coating seeds because the pelleting reduced coating time of seeds, and it increased the amounts of coated seeds per hour. The pelleting technique was able to minimize damage to seeds through the lower temperature processing and by reducing time for drying, thus, germinating energy, and germination rate of pelleted alfalfa seeds improved. Emergence,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alfalfa from pelleted seeds were also improved in woodlands. Based on this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the seed-pelleting is a very useful technique for the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alfalfa in woodlands.

파 펠렛종자 생산을 위한 접착제 및 피복재료 선발 (Selection of Binder and Solid Materials for Pelleting Welsh Onion(Allium fistulosum L.) Seeds)

  • 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21-730
    • /
    • 2002
  • 본 연구는 파 종자의 발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생장조절제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며, 파 종자 펠렛용으로 적합한 접착제 및 피복재료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생장조절제 종자처리는 발아율을 증진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50%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T_{50}$)와 MDG는 단축되어 조기발아 하였다. 생장조절제 최적 처리조건은 500$\mu$M의 $GA_3$로 1일간 처리였다.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는 발아적온보다는 저온인 $15^{\circ}C$에서 뚜렷하였다. 종자 펠렛의 접착제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발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발아속도는 대조구 종자에 비해 약 0.3~0.5일 지연 되었다. 종자 펠렛용 접착제의 농도가 증가하면 발아율이 약간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Carboxymethyl cellulose (CMC) 및 Methyl cellulose(MC)에서 뚜렷하였다. 종자 펠렛 접착제 가운데 Polyvinyl alcohol(PVA)와 Polyvinyl pyrrolidone(PVP)에서는 처리농도가 증가하더라도 발아를 크게 억제하지 않아, 파 펠렛종자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 접착제였다. 펠렛 피복재료 중 kaoline, bentonite + kaoline 혼합물질 및 bentonite + CC + DME #300 혼합물질로 펠렛된 종자에서 높은 발아율과 발아세를 보여 파종자의 펠렛에 적합한 피복재료였다.

잔대 종자 펠렛처리가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lleting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in Adenophora triphylla)

  • 임동현;남주희;김종혁;이민주;노일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8-135
    • /
    • 2020
  • Background: Sowing seeds of Adenophora triphylla is known to be difficult owing to their small size and irregular seed shap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ed pelleting technique to save labor during sowing. Methods and Results: To identify the optimal germination temperature for A. triphylla seeds, the temperature range was set from 17℃ to 32℃. Germination surveys were conducted in plastic greenhouse conditions in March, April, and May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owing time. The optimal germination temperature for A. triphylla seeds was 29℃ and May was the optimal sowing time in plastic greenhouse conditions. Covering materials for seed pelleting used talc (T), kaolin (K), calcium carbonate (C), and vermiculite (V). The pellet binder used agar (A), pectin, xanthan gum, polyvinyl alcohol (PVA), and sodium alginate (S). The best suited treatment mixture were the best suited in kaolin / calcium carbonate / vermiculite (KCV), talc / calcium carbonate / vermiculite (TCV) mixture treatment for covering material, and sodium alginate (S), agar (A) as pellet binder, respectively. The germination rate was the best in TCV mixed with S. Conclusion: The mixture of TCV (2 : 1 : 3) + 1.5% S (TCVS), was found to be the best pelleting materials for A. triphylla seeds, and seed pelleting can be labor-saving during sow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