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dry weight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6초

몇가지 잡초(雜草)들의 Allelopathy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llelopathic Effects of the Several Weeds)

  • 심상인;손정규;이상각;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1-218
    • /
    • 1991
  • 본(本) 실험(實驗)은 농경지(農耕地)에서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잡초(雜草)들의 allelopathic effect를 조사하기 위해서 잡초(雜草)들의 수용성(水溶性) 물질(物質)과 건조(乾燥)시킨 잡초(雜草)의 조직(組織)을 여러 농도(濃度)로 처리하여 지표식물(地表植物)의 발아(發芽)의 초기생육(初期生育)을 조사(調査)하였다. 실험(實驗)에 쓰인 여러가지 잡초종중(雜草種中)에 에서 쇠비름과 명아주의 allelopathic effect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명아주의 증유수(蒸溜水) 추출액(抽出液)은 지표(指標)가되는 식물(植物)의 발아속도(發芽速度)를 대조구(對照區)와 비교할때 감소(減少)시켰으나 쇠비름의 경우는 4.7% 증가(增加)시켰다. 온실(溫室) 실험(實驗)에서 쇠비름은 대맥(大麥), 대두(大豆), 무우, 옥수수 유묘(幼苗)의 출현속도(出現速度)를 대조구(對照區)의 30, 49, 36, 68%로 감소시켰다. 쇠비름과 명아주의 토양내(土壤內) 첨가물(添加物)은 지표식물(地表植物)의 초장(草長)과 건물중(乾物重)을 감소(減少)시켰다.

  • PDF

담배종자의 파종 전처리가 발아 및 묘의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wing Treatments of Tobacco Seed on Germination and Seedling Uniformity)

  • 민태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07-512
    • /
    • 1993
  • 담배종자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육묘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 또 담배종자는 보통 2월 하순경부터 조기에 파종하는 경향이므로 저온조건에서의 발아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저온조건에서 발아가 촉진되고 또한 균일한 묘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은 담배종자를 묘상에 직파했을 경우에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 된다. 따라서 본시험에서는 파종 전에 담배종자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처이하여 발아속도의 촉진 및 묘의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여 육묘의 성력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파종 전 처리로 인하여 최종 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발아속도, 온실에서의 출현속도는 SMP, PEG, DPI처리에서 모두 향상되었으며 특히 SMP처리에서 월등하였다. 2. SMP처리에서 묘의 생장도 가장 켰고 아울러 묘가 가장 균일하였다. 3. SMP처리시 처리재료로 사용된 Agro-Lig의 수분함량은 일정량이상일 경우에 전처리효과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처리시의 온도는 높은 온도(2$0^{\circ}C$)에서 처리한 것이 낮은 온도(15$^{\circ}C$)에서 처리한 것보다 정의 방향으로 발아속도 및 출현속도에 영향이 켰다.

  • PDF

온도, 종자수분 및 삼투처리가 대두의 발아와 묘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Level during Preconditioning on Germination and Seedling Elongation of Soybean Seeds with and without Osmoconditioning)

  • Seong, Rak-Chun;Minor, Harry C.;Park, Keun-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66
    • /
    • 1987
  • 삼투처리와 무처리의 대두종자(품종 :Williams)에 대하여 두가지 온도(15, 3$0^{\circ}C$)에서 두가지의 종자수분함량(30%, 50%)으로 조절된 조건으로 0. 2, 4 및 8일간 전처리함에 있어서 시간별 세세구배치법 4반복으로 배치하여 발아와 묘신장을 조사하였던 바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의 묘신장은 30에서 2일간 전처리함으로서 촉진되었으나 같은 온도에서 전처리기간이 길수록 억제되었다. 2. 삼투처리후 전처리된 종자는 수분흡수와 묘신장이 떨어졌다. 3. 종자수분함량이 50%로 조절된 뒤 전처리된 것은 체의 수분함량을 증가시켰으며 4일간까지의 전처리는 묘신장을 크게 하였다. 4. 묘의 건물중에서는 전처리온도가 3$0^{\circ}C$ 일때와 종자수분함량이 50%로 조절되어 8일간 전처리하였을 때 감소되었다.

  • PDF

산수유 열매의 화학성분과 건조에 따른 과육분리특성 (Chemical Compositions of Corni Fructus and Separating Properties of Its Flesh by drying)

  • 이영철;김영언;이부용;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47-450
    • /
    • 1992
  • 산수유의 가공식품화를 위한 기초실험으로 산수유의 식품화학적 일부 성분과 산수유 건과류 제조시 건조에 따른 과육분리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수유 과육의 주성분은 수분과 당질로 각각 73.5%와 18.6%였고, 씨의 주성분은 조섬유와 수분으로 각각 40.2%와 29.9%였다. 산수유 과육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건물량으로 183.0mg/100g이며, 산수유 과육의 유리당은 포도당과 과당이 각각 7.9%와 9.0%였고, 사과산으로 환산한 적정산도는 3.6%로, 이중 사과산과 호박산이 각각 1.9%와 0.5%였고, 산수유 착즙액의 pH는 3.19였다. Blanching에 의한 산수유 전처리방법은 부적당하였으며, 과육과 씨를 분리하기 위한 적정 무게감소율은 $30{\sim}35%$로, 이때 적정건조온도는 $60^{\circ}C$였다.

  • PDF

흰민들레 잎조직으로 부터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via Organogenesis from Leaf Explant Culture of Taraxacum coreanum Nakai)

  • 이현화;김영순;박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2-66
    • /
    • 2007
  • 한국의 전통적인 민간 약재로 사용되어져온 흰민들레의 잎절편체로 부터 기관형성을 통한 재분화를 시도하였다. 잎 절편체를 BA (0-4mg/L)와 2,4-D (0-1mg/L)가 혼합 첨가된 MS 기본 배지에 치상하여 배양한 결과, 배양 3주후부터 신초가 발생되었다. 신초 분화율은 2mg/L BA 첨가된 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배양 4주째 4mg/L BA 첨가된 조건에서는 캘러스가 유기되었다. 잎령에 따른 부정아 형성율, 발생빈도, 건량, 생중량을 조사한 결과, 발아 후 7주된 잎 절편체에서 평균 11.5개의 신초를 형성하였다. 유도된 신초는 0.5mg/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발근되었으며, 화분에 옮겨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 되었다.

곰소만 갯벌에서 양식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성장 (Growth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cultured in Gomso tidal flat, Korea)

  • 임현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9-195
    • /
    • 2016
  • 2000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한반도 남서연안 곰소만 바지락 양식장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성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조사기간동안 서식밀도는 평균 1,224 개체/$m^2$ 로서 2000년 11월에 최고 밀도를 보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월별 각장 빈도분포는 단일 모드형으로 중앙값은 시간경과에 따른 각장 성장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하였다. 바지락의 각장 성장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2001년 7월 이후부터 2002년 2월까지는 성장이 둔화하였고 2002년 3월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무게 또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002년 3월 이후 증가폭이 컸다. 각장과 각고와의 상관관계는 직선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으며, 각장과 전중, 육질습중량, 건육중량 및 AFDW와의 관계식은 지수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다. 비만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01년 4월 이후에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2002년에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비만도 증감으로부터 2001년도 곰소만 양식장 바지락의 산란은 연 1회 5-10월 중으로 파악된다. 또한 곰소만 양식 바지락은 종패 살포이후 24개월 이후부터는 여름철 이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논밭 재배지 조건에 따른 양파 채종용 모구의 수량 및 저장력 변화 (Effect of Paddy and Upland Conditions on Yield and Storage of Onion Bulbs)

  • 조상균;이을태;오영진;최인후;김영진;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01-407
    • /
    • 2006
  • 본 시험은 논과 밭재배에 따른 양파생육 및 채종용 모구 생산, 저장력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전후 토양의 화학적 성분을 보면 질소, 인산, 칼리는 밭토양에서 많았으며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은 논토양에서 많았다. 토양수분은 논토양에서 많았고 지중온도는 밭 토양에서 높았다. 2. 양파의 지상부 생육은 밭재배가 양호했으나, 구의 발달은 월동이후 초기에는 논재배에서 빨랐으나 구 비대기 이후에는 밭재배가 더 컸다. 3. 구의 평균 무게는 밭재배가 무거으며, 양파구의 수분함량은 밭재배가 더 많았다. 경도는 논재배가 더 단단했으며 당도는 밭재배에서 더 높았다. 4. 양파의 무기성분 함량은 질소, 인산, 칼리는 밭재배에서 많았고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은 논재배에서 많았다. 5. 구중 분포를 보면 밭재배에서는 구가 큰 양파가 많이 분포했으며 논재배에서는 작은 크기의 양파가 많이 분포하였고 양파 채종에 알맞은 모구 생산 비율은 논재배가 $63{\sim}70%$로 밭재배에 비해 $8{\sim}26%$ 더 많았다. 6. 부패율은 논재배가 $27.2{\sim}34.6%$이고 밭재배가 $37.5{\sim}51.4%$로 논재배가 $8.7{\sim}24.2%$ 적었다.

야산(野山) 개간지(開墾地) 토양(土壤)에서 땅콩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석회시용효과(石灰施用效果) (Effect of Lime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of Peanut at Newly Reclaimed Upland Soil)

  • 김희권;전장협;김대향;정지호;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0-187
    • /
    • 1990
  •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 토양(土壤)에서 땅콩재배시(栽培時) 공협방지(空莢防止)를 위(爲)해 전북(全北) 김제(金堤)에서 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 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 1.5배(倍), 석회고토중화량(石灰苦土中和量), 석회고토중화량(石灰苦土中和量) 1.5배(倍)를 처리(處理)하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량(收量)은 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231kg/10a)에 비(比)하여 석회고토중화량(石灰苦土中和量) 1.5배시용구(倍施用區)가 27% 증수(增收)하였으며, 공협수(空莢數)도 석회고토중화량(石灰苦土中和量) 1.5배시용구(倍施用區)가 10.5개로 가장 적었다. 2. 성숙기(成熟期) 식물체중(植物體中)의 MgO함량(含量)은 주당분지수(株當分枝數), 건물중(乾物重), 협수(莢數), 100입중(粒重)과 유의적(有意的) 정(正)의 상관(相關)이었으나 공협수(空莢數)와는 유의적(有意的) 부(負)의 상관(相關)이었다. 3. 성숙기(成熟期) 건물체중(植物體中)의 CaO, MgO함량(含量)은 협(莢)의 부피, 협(莢)의 표면적, 협 (莢)의 두께, 협(莢)의 무게와는 유의적(有意的) 정(正)의 상관(相關)이었다. 4. 성숙기(成熟期) 토양중(土壤中) Ca, Mg와 수량(收量)과는 각각(各各) $r=0.572^*$, $r=0.556^*$으로 유의적(有意的) 정(正)의 상관(相關)이었다.

  • PDF

닭에서 고추씨박의 사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 임호중;강창원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24-39
    • /
    • 2001
  •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and feeding value of red pepper seed oil meal (RPSOM) as local vegetable protein ingredients for poultry feeding. In the first experiment, nutritional values of RPSOM were evaluated by analyzing chemical compositions and determin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 nitrogen corrected TME (TMEn) and true available amino acid (TAAA) contents. According to the chemical analysis, RPSOM contained 22.50% of crude protein, 4.75% of ether extract, 27.70% of crude fiber, 0.34 mg/g of capsaicin and 49.97 ppm of xanthophylls. The values of TME and TMEn determined by force-feeding 16 roosters (ISA-Brown) were 1.73 kcal/g and 1.63 kcal/g on dry matter basis, respectively. The average TAAA value of 16 amino acids measured by the force-feeding technique was 81.70%. These values were used for formulating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RPSOM for broiler chicks and laying hens. Two feeding trials were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incorporation of RPSOM into chicken feed performances of broiler chicks and laying hens. In the broiler feeding (Exp. 2), a total of two hundred twenty-five, 4 wk old male broiler chicks (Ross) were randomly divided into 9 groups of 25 birds each and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5 and 10% RPSOM. The birds were fed ad libitum the diets for 3 wk and feed intake,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the feeding, the blood level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holesterol, and the body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leg muscle were measur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e, body composition, serum levels of GOT, GGT and BUN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blood cholesterol level was lower (P<0.05) in 10% RPSOM diet group than those in the other. The dietary RPSOM at 5 and 10% levels increased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P<0.05) in leg muscl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RPSOM can be used for broiler feed up to 10% without an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broiler performance. In the layer feeding (Exp. 3), the effects of dietary RPSOM on the performances of laying hen were investigated by feeding ninety 45 wk old laying hens (ISA-Brown) with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5 and 10% RPSOM for 4 wk (30 birds per treatment). Measurements were made on egg production rate, egg weight, feed intake, Haugh unit, egg shell strength which was higher (P<0.05) in layers fed 10% RPSOM diet compared to those fed 0 and 5% RPSOM diets.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RPSOM can be included into laying hen feed up to 10% without any harmful effects.

  • PDF

서양등골나물의 환경적응력 : 중금속 축적과 Phenolic Compounds의 관계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Eupatorium rugosum : Relationship between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and Phenolic Compounds)

  • 김용옥;박종야;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5-12
    • /
    • 2003
  • 서양등골나물의 잎 추출액을 미국자리공을 비롯한 5종의 식물에 처리하여 종자발아와 유식물생장을 조사하였고, total phenolic compounds와 중금속 이온을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에 따라 잎과 토양에서 분석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의 잎 추출액에 의한 미국자리공의 초기생장은 10%와 25%농도에서 촉진되었고, 토양 추출액의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잎 추출액의 total phenolic compound 보다 낮았다. 토양의 total phenolic compounds는 대조구와 10%, 25% 농도로 처리된 토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연상태에서 잎 추출액 25%가 threshold 농도임을 확인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의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신갈나무림 임상에서 1.66 mg/1, 임연에서는 1.09 mg/l로 조사되었으므로 상부식생에 따른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각 토양에서는 상부식생에 따라 total phenolic compounds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양등골나 물의 잎 추출액 처리시 애기수영과 강아지풀의 발아율은 50% 이상의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차풀의 발아율은 추출액의 농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유묘와 유근생장은 귀화종 그룹보다 자생종 그룹이 2배 이상 억제되었으며, 특히 서양등골나물의 추출액 농도 10%와 25%가 처리된 서양등골나물의 종자발아와 건중량은 대조구보다 촉진되었다. 서양등골나물의 phenolic compounds를 HPLC로 분석한 결과 caffeic acid (460.9 mg/1), benzoic acid (109.7 mg/l), protocatechuic acid (7.3 mg/l), ρ-hydroquinone (6.0 mg/l), cinnamic acid (2.7 mg/l), hydroquinone (0.23 mg/1) 순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서양등골나물의 phenolic compounds 각각에 대한 미국자리공의 발아율은 caffeic acid (460.9 mg/l)치 농도가 높을지라도 이것이 낮은 cinnam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에서 현저한 억제현상을 보였다. 서양등골나물 임상의 토양보다 서양등골나물이 분포하지 않는 토양의 중금속 함량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특히 Al, Fe 및 Mn의 함량이 높았으며 이들 중금속은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이 높은 잎에 대부분이 축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