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coating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8초

벼 담수토중직파재배시 종자분의 재료에 따른 입모향상 효과 (Improvement of Rice Seedling Emergence by Seed Coating Materials in Direct Seeding into Flooded Paddy Soil)

  • 원종건;최충돈;이외현;이상철;김칠용;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6-291
    • /
    • 1997
  • 벼 담수토중직파시 산화제 종자분의에 의한 초기 출아입모 향상 효과를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환원전위차는 무처리가 가장 낮게 경과하였으며, KNO$_3$가 대체로 높으면서 산화 기간이 오래 지속되었던 반면 CaO$_2$는 타처리에 비해 약간 낮게 경과하는 경향이었고, 산화제처리로 출아기간동안 종자주위의 토양환원억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2. 토양 pH변화는 무처리에서 7이상으로 가장 높게 경과하여 논토양의 환원된 상태를 보였으며, 산화제 처리구에서는 초기에 낮았다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무처리보다 낮아 일시적으로 토양을 산성화 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3. 입모수는 CaO$_2$가 파종후 8일경에 60%이상의 출아율을 보였고, 특이산성토 처리는 CaO$_2$ 보다는 낮았지만 무처리에 비해 입모율은 많이 향상되었다. 4. 초기생육에서 초장은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엽령차이는 CaO$_2$ 및 특이산성토에서 7.6매로 무처리의 6.2매에 비하여 1.4매 정도 많아 잎의 전개가 더 빨랐으며 근장 또한 CaO$_2$ 분의종자에서 10.2cm로 가장 길었고, 경수는 CaO$_2$와 특이산성토 피복종자에서 가장 많았다. 5. 본 실험에서 CaO$_2$는 입모가 균일하고 출아 소요 기간도 짧아 담수토중 직파재배에서 벼 종자 분의 재료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특이산성토분의에서도 양호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 PDF

Sinapine누출을 이용한 십자화과 채소의 퇴화종자 선별법 (Screening Method for Non-viable Seeds in Brassicaceae Vegetable Crops by Sinapine Leakage)

  • 민태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73-479
    • /
    • 1994
  • 종자가 수분을 흡수할 경우 종자의 내용물이 밖으로 누출되는데 일반적으로 퇴화종자에서 건전종자보다 월등하게 많이 누출되는 특성이 있다. 십자화과 식물의 종자는 형광물질인 sinapine을 함유하고 있어서 수분을 흡수할 경우 퇴화종자에서 다량의 형광물질을 밖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종자를 cellulose로 코팅하여 sinapine을 Cellulose층에 흡착토록 함으로써 퇴화종자를 쉽게 종자 개개의 단위로 선별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국내에 재배되는 십자화과 채소종자에 대해서 이러한 새로운 종자선별법을 이용하여 종자를 선별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십자화과 채소종자의 퇴화종자에서 건전종자 보다 많은 양의 형광물질이 누출되었다. 2. 종자코팅을 통하여 형광종자와 무형광종자를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3. 형광종자의 비율은 퇴화종자가 많은 품종일수록 높았다. 4. 형광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하므로써 발아율이 약 5∼35%까지 향상되었다. 5. 무형광종자는 건전한 종자로써 발아율 및 종자세가 무처리종자보다 월등하였고, 형광종자는 대부분 발아하지 않았으며 발아한 묘는 거의가 비정상묘 였다.

  • PDF

Several factors affecting on seed germination of Dracocephalum argunense Fischer ex Link

  • Chang, Young-Deug;Lee, Cheol-Hee;Song, Jeong-Seob;Hwang, Ju-Kwa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6-241
    • /
    • 2009
  • Dracocephalum argunense Fischer ex Link (Labiatae)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used as valuable materials for ornamentals, honey production, and pharmaceutics. Since seed germination of this species was quite difficult, present studie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by subjecting the seeds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and light) and treatments (scarification, priming and seed coating). Optimum temperature for adequate germination was 20$^{\circ}C$ though it ranged from 15$^{\circ}C$ to 25$^{\circ}C$,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 improved germination rate. Light was required for higher germination rate in this species. The scarification of seeds resulted in much higher germination, especially by the physical treatment with sandpaper or chemical treatment with sulfuric acid for 30 seconds. Various primer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treated on the seeds and it was demonstrated that low temperature enhanced germination rate, regardless of kinds and concentrations of the primers. Three treatment combinations of the primers, 0.5 mM $GA_{3}$ treated for 48 hours, 0.5 mM IAA for 24 hours, and 1.0 mM IAA for 24 hours, increased the seed germination rate profoundly. Soaking treatment of inorganic salts, $KNO_{3}$ and $KH_{3}PO_{4}$, promoted germination when seeds were subjected to low temperature. Water soluble primers such as sucrose at 0.5 and 3% concentration and solid primer talc powder were effective in enhancing germination rate.

비파괴적 방법에 의한 종자의 활력 검정 (Nondestructive Vigor Test of Seed)

  • 이석순;홍승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14-321
    • /
    • 1995
  • 유채, 배추, 무 종자를 인위적으로 퇴화시켜 종자활력과 침지할 때 아미노산, 단백질, sinapine의 분비량과 분비속도와의 관계를 구명하여 비파괴적으로 활력이 낮은 종자를 선별해 낼 수 있는 방법의 기초를 확립하고, 또 cellulose를 코팅하여 불량종자를 선별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 배추, 무의 죽은 종자는 침지 4~8시간 이후부터 아미노산, 단백질, sinapine을 많이 분비하였으나, 건전한 종자는 24시간까지 거의 분비하지 않았다. 2. Cellulose를 코팅한 무형광 종자 중 유채, 배추, 무의 건전묘의 비율은 각각 96, 96, 74%이었으며, 형광 종자의 건전묘 비율은 각각 8, 9, 1%이었다. 3. Cellulose 코팅은 배추와 유채종자의 발아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무 종자는 건전묘 비율이 6% 저하되었다. Cellulose 코팅 한 배추와 유채의 무형광 종자는 온도 16$^{\circ}C$, 상대습도 60 및 75%에서 3개월간, 90%에서 2개월간 활력이 저하되지 않았으나, 무는 상대습도 60, 75, 90%에서 3개월간 저장하면 건전묘 비율이 각각 63, 64, 2%이었다.

  • PDF

벼 무논골뿌림재배시 최아장, 과산화석회 처리 및 파종심도가 입모수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out Length, $Ca0_2$ Coating and Seeding Depth on Seedling Stand and Early Growth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of Rice)

  • 김상수;박홍규;최원영;이선용;조수연;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95-301
    • /
    • 1996
  •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입모향상을 위한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1995년에 발아시험기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최아장, 과산화석회 (CaO$_2$) 종자분의 및 파종(매몰)심도에 따른 출아, 입모 및 초기 생육을 검토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율 및 입모율은 최아장이 길수록 향상되었고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저하되었는데 입모율이 l0% 이하로 현저히 저하된 최아장별 파종심도는 무최아 0.5cm, 2mm 최아 1.0cm, 4mm 및 6mm 최아는 2.0cm이었다. 2. 최아장이 길수록, 파종심도가 말을수록 초장이 크고 건물중이 무거웠으며 입수도 많았다. 3. 최아장 6mm에서는 파종이 불균일하고 파종립수가 매우 적어 입모수 및 입모의 균일도가 매우 낮았으나 최아장 4mm에서는 파종이 균일하고 입모율 및 입모의 균일도가 높았다. 4. CaO$_2$종자분의로 출아율 및 입모율이 향상되었으며 CaO$_2$분의에 의한 입모향상 효과는 최아종자보다 무최아종자에서 컸다. 5. CaO$_2$ 처리로 입모율 50% 이상을 보인 파종심도는 무최아종자, 최아종자 모두 1.0cm까지이었으며 파종심도 3cm에서는 모든 처리 에서 전혀 입모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벼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최아장은 3~4mm라고 생각되며 CaO$_2$를 분의 하더라도 입모의 안정을 위하여는 종자가 출아전에 1cm 이상 매몰되지 않도록 파종 전후 물관리를 적절히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erminability of Film-Coated Snap Bean Seed as Affected by Oxygen Diffusion Rate under Different Soil Moisture Contents

  • Kim, Seok-Hyeon;Alan G. Taylor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6-51
    • /
    • 2004
  • The film coated snap bean (Phaseolus vulgaris) seeds with five different coating materials treated with 3% increase in seed weight were planted at sandy loam soil controlled moisture content of 18, 19, 20 and 21 %. The oxygen diffusion rate (ODR) was calculated from the different moisture content soil. The number of normal seedlings, seedling vigor, and seedling capability in field (seed vigor x dry matter weight) were observed at 9 days after planting and compared to the changes of ODR. The germination rate and ODR were sharply decreased simultaneously in the seeds planted at 21 % soil moisture content. Seedling emergence did not occur at all as the soil moisture content increased above 22 %. Hence this valu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hreshold of soil moisture content for seedling emergence. An ODR value under 20% did not influence the percent emergence significantly. The certain difference observing in the emergence at the same ODR was not related clearly to the condition of soil. So it can be assumed that the limit of soil moisture content for the emergence of snap bean was approximately 20%. The value of 18% soil moisture content may be considered as the optimum for snap bean emergence. There wa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value of ODR in different soil moisture contents and the emergence. The germination rates of the seeds coated with the different materials were quite different when the seeds were planted at 21 % soil moisture. Dry weight of the seedlings from film coated seeds was decreased slightly, but the germination rate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non-treated control under relatively higher soil moisture content (21 %). Major factor lowering emergence rate was oxygen stress while film coating act as a minor constraint for snap bean sown in excess soil moisture condition.

가식성 필름 코팅에 따른 홍화씨 가공제품의 품질 변화 (Changes on the Quality of Safflower Seed Products Coated with Edible Films during Storage)

  • 김남우;주은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2
    • /
    • 2005
  • 본 연구는 홍화씨 가공제품의 산패방지 및 품질 향상을 위하여 가식성 필름을 코팅하여 저장 중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의 색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명도 L 값과 적색도 a 값은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황색도 b 값은 감소하였다. 코팅한 홍화정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의 증가보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산가는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의 산가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점 증가를 보였으나 저장 30일째에 $25^{\circ}C$$50^{\circ}C$의 sodium caseinate와 k-carraggenan으로 코팅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 50\%$낮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는 두가지의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이 대조구에 비해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k-carrageenan으로 코팅한 홍화정이 sodium caseinate로 코팅한 것 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관능검사와 유지 산패 측정의 주요 인자인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홍화정의 산패취를 방지하고 품질의 보존을 위한 방법으로 가식성 코팅제인 caseinate와 k-carrageenan 용제로 코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

Zinc oxide seed layer 형성 조건 제어를 통한 나노 구조체 형상 조절 연구

  • 이재혁;김성현;이경일;이철승;조진우;김선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86-386
    • /
    • 2011
  • sol-gel 및 hydrothermal growth method를 이용한 zinc oxide nanorod는 제작 시 고가의 장비가 필요치 않기에 저비용 대면적 박막을 제작하는데 적합하지만 rod들의 array 및 density 조절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nanorod array 형상 조절을 위하여 zinc oxide seed layer 형성 과정 중 precursor solution에 이종 나노 입자를 첨가하였다. 첨가한 seed precursor solution을 spin coating한 이후에 후처리 하여 hydrothermal method를 이용해 성장시켰다. 합성한 rod들을 optic과 FE-SEM으로 측정해 rod들의 density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nhancing the Biological Control of Rice Seedling Disease by Adding Specific Carbon Sources into the Bacillus cereus D324 Formulation in Water-Seeded Rice

  • Sim, Jung-Bo;Chung, Ill-Min;Ku, Han-Mo;Choi, Hyoi-Won;Lee, Jong-Moon;Chun, Se-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58-62
    • /
    • 2008
  • Utilization of carbon sources by Bacillus cereus D324, a biological control agent, and Pythium species, which causes rice seedling disease, was studied with the objective of increasing the efficacy of biological control by providing the biological control agent with specific beneficial carbon sources. D-galactose, D-sorbitol, and D-mannitol were poor carbon sources for Pythium spp. growth but were good for B. cereus D324 growth. Growth in a growth chamber of rice seeds coated with B. cereus D324 amended with specific carbon sources, such as D-galactose and D-sorbitol, showed significantly enhanced seedling emergence compared to seeds coated only with B. cereus D324. Field trials showed that both seedling emergence and yield increased, when the above specific carbon sources were added to B. cereus D324 in seed coating formulations. This result indicated that amending seed coating formulations with specific carbon sources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seedling emergence and yield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