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um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韓國産) sedum속(屬) 식물(植物)의 화학적(化學的) 분류(分類) (Chemotaxonomy on the Sedum Plants in Korea)

  • 고경수;신관석;김창민
    • 생약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31-136
    • /
    • 1983
  • The composition of the phenolic compounds of 14 species, 2 varieties and I taxon of the Sedum plant in Korea were studied to identify their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nd their taxonomical position. The phenograms and contour diagrams obtained from the HPLC of EtOAc soluble fraction of these plants were classified into 7 alliances according to their chemical patterns. These chemical patterns agreed with Satake's classification except for Sedum aizoon. These plants were subdivided into 5 alliances in the Sedum section and 2 alliances in the Hylotelephium section. I type of the Sedum spectabile showed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tamens, it could be trated as another category above variety according to this result.

  • PDF

민간약 기린초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Korean Folk Medicine 'Ki Rin Cho')

  • 박종희;권대근;김미희
    • 생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7-141
    • /
    • 2008
  • Korean folk medicine 'Ki Rin Cho' has been used to cure stanching and counteracting poison.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never been studied pharmacognostically.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Ki Rin Cho',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Sedum species growing in Korea, i.e. S. aizoon, S. kamtschaticum and S. latiovalifolium were studied. As a result, 'Ki Rin Cho' was proved to be Sedum kamtschaticum and Sedum aizoon.

한국산 돌나물과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A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Crassulaceae)

  • 신진환;유영기;박기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45-360
    • /
    • 2002
  • 한국산 돌나물과 식물 4개 속 22종 23개 표본의 화분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발아구연의 유무, 과립상 돌기의 유무는 속간의 유연 관계를, 유선상 돌기의 모양은 Sedum속내 분류군의 한계를 설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한국산 돌나물과의 화분립 모양은 소립-중립이고, 세잎꿩의비름이 가장 작고 섬꿩의비름이 가장 컸으며, 화분의 극면상립은 원형이며, 적도면상은 약장구형-장구형, 발아구는 3 공구형이었다. 표면 무늬는 유선상이었고, Hylotelephium, Meterostachys, Orostachys는 발아구연과 표면에 과립상 돌기를 가진 분류군으로 기존의 분자적, 형태학적 결과와 마찬가지로 위 분류 군들이 매우 유연 관계가 깊은 군임을 지지한다. 유집분석 결과, Sedum속은 유선상 돌기 상면이 둥근 군과 평평한 군으로 나누어지고, 유선상 돌기 상면이 둥근 군 중에서 표면에 과립상 돌기를 가진 군인 섬기린초, 애기기린초와 과립상 돌기를 가지지 않은 군으로 뚜렷하게 나누어진다. 또한 Sedum속에 속하는 종들이 여러개의 유집으로 흩어져 있어 Sedum속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고 있다. 종간의 유연 관계에 있어서도 Aizoon아속 내 기린초와 애기기린초는 유일하게 과립상 돌기가 표면에 존재하고 있어 이들이 매우 가까운 유연 관계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Sedum아속에 포함시켰던 S. polytrichoides 가 Meterostachys, Hylotelephium, Orostachys속 종과 유집 되고 있어 본 종의 분류학적 위치가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동진에서 채집된 O. malacophyllus의 경우, 현재까지 한국에 보고된 동일종의 집단과 형태적으로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화분 형태적으로도 뚜렷한 차이가 있어 두 집단이 서로 다른 종일 가능성이 있다 고 판단된다.

Acetic acid와 UV-C 병합처리가 돌나물의 저장 중 미생물 성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acetic acid and UV-C irradiation treatment on the microbial growth and the quality of sedum during its storage)

  • 성기현;강지훈;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1-586
    • /
    • 2014
  • 수확 후 돌나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1% acetic acid 침지 세척과 $10kJ/m^2$ UV-C 조사를 병합처리하여 $10^{\circ}C$에서 6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색도, 비타민 C 함량,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돌나물에 병합처리 후 총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3.28 log CFU/g, 효모 및 곰팡이에서는 4.22 log CFU/g 감균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저장 6일 동안 유지되었다. Acetic acid와 UV-C 병합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돌나물의 저장 중 Hunter 색도 값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또한 비타민 C 함량과 항산화능은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와 대조구 모두 감소하였으나, 처리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acetic acid와 UV-C 병합처리가 수확 후 돌나물의 저장, 유통 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 유지에 효과적인 hurdle technology라고 판단된다.

둥근잎비름(돌나물과): 국내 미기록종 (Sedum makinoi Maxim. (Crassulaceae): an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 박선주;박성준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3-199
    • /
    • 2005
  • 경상북도 경산시 사정동 성암산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종, Sedum makinoi를 보고한다. 이 종은 꽃이 달리는 줄기에서 잎이 대생하고, 잎은 편평하며 원형인 특징으로 국내에 분포하는 Seda-genuina절의 다른 종과는 뚜렷이 구별된다. 이 종은 형태적 특징과 도해 및 생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쓰레기 매립지 녹화에 적합한 자생식물 조사 및 선발 (Selection and Survey of Native Plants for Waste Landfill Greening)

  • 김귀순;이정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2-73
    • /
    • 2008
  • This paper was conducted to acquire the scientific data for the waste landfill greening. The native plant flora was investigated in waste landfill at Nanjido. As a result, total 40 species, 22 families, 32 genus were classified. The dominant species were Robinia pseudoacacia (15%), Populus euramericana (3%), and Populus monilifera (1%), ect. Naive plant of 6 species (Zoysia japonica, Aster koraiensis, Liriope platyphylla, Hemerocallis fulva, Sedum kantschaticum, Indigofera pseudotinctoria) were planted in waste landfill in one species per 1 $m^2$ for greening purpose. After One year planting, the ornamental optimum value was showed in Zoysia japonica, Aster koraiensis, Hemerocallis fulva, Hemerocallis fulva, Sedum kantschaticum. The covering rate after nine months planting was 85% and 80% for Zoysia japonica and Hemerocallis fulva, respectively. While Aster koraiensis(a) 13 %, Liriope platyphylla 8 % and Sedum kantschaticum appeared 22 % were obtained. Aster koraiensis (a) has highest height and Sedum kantschaticum was the shortest plant.

옥상녹화용 식생매트에 적합한 토양과 토심 선정 (Soil Mixtures and Depths Selection for Mat-Type Rooftop Greening)

  • 이은희;강규이;신상희;남미아;이광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2-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suitable planting base for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in order to popularize rooftop greening system easil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2004 June to 2005 May under several conditions; 4 soil depths under mats(2cm, 5cm, 10cm, 15cm), two soil mixtures(natural soil 80%+leaf mold 20%, artificial soil) and two light conditions(full sun place, 20% shaded place). In this experiment, 3 types of mats were used ; the herbaceous plants mat(11 plants inclusive of Lotus corniculatus L., Silene armeria L.), the lawn mat with Festica arundinacea and Sedum mat with Sedum kamtschaticum, Sedum sarmentosum, Sedum oryzifolium, Sedum middendorffianum. The result is as follows; in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the herbaceous plants mat, lawn mat and sedum mat are the similar number of plant and effect of greening on soil depth 2cm, 5cm and 10cm, 15cm. So suitable soil depth of rooftop greening is 10cm for the load and economical factor. Thus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possible planting base depth of all 13cm as soil depth 10cm and mat depth 3cm. As soil mixtures, the number and growth of plants were better mat and 'natural soil 80% +leaf mold 20%' than mat and artificial soil. In herbaceous plants mat, Silene armeria L., Dianthus chinensis, Centaurea cyanus L., Lotus corniculatus L. are survival in full sun place and Silene armeria L., Dianthus chinensis, Centaurea cyanus L. are survival in 20% shaded place. In conclusion, selection of suitable soil mixtures and plants is possible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with effect of continuous greening.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are lightweight and simple preparation without management and can popularize readily.

C$_3$ 식물과 CAM 식물에서 수분 스트레스의 효과 (The Effects of Water Stress on C$_3$ Plant and CAM Plant)

  • 안두환;김용택;김대재;이준상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271-278
    • /
    • 2008
  • 본 연구는 C$_3$식물인 닭의장풀과 CAM식물인 돌나물이 수분스트레스에 대해 어떠한 생리적인 반응의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식물은 정상적인 환경 조건하에서 보여주는 대표적인 특징은 생장이다. 닭의장풀은 수분스트레스에 처해졌을 때 생장이 거의 멈추었으나 돌나물은 생장에 커다란 영향을 받지 못하였다. 닭의장풀의 수분함유량의 변화는 3주 째 12% 감소하였다. 수분 함유량의 변화는 식물의 고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돌나물의 수분함유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는 돌나물은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저항 반응을 보여주었으나 닭의장풀은 그렇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진 실험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의 변화, 광합성 II의 활성을 나타내는 형광 Fv/Fm 비율수치는 닭의장풀에서 심각한 감소가 일어났다. 아울러 기공의 형태적인 특성과 생리적인 반응도 두 종이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돌나물은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저항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닭의장풀은 수분 스트레스에 취약했다. 수분 스트레스 전 닭의장풀의 수분 함유량은 돌나물보다 약 6% 많으며, 생장률이 매우 빠르며 열매를 맺는다. 반면에 돌나물은 생장이 느리며, 줄기의 길이 증가도 닭의장풀에 비해 작았다. 잘 성숙된 닭의장풀은 키가 1m에 이르는 것도 있으나, 돌나물은 포복경의 특성으로 인해, 실제 줄기의 생장은 30cm를 넘지 못한다.

국내에 도입된 Sedum album L.의 생육 특성 및 저토심 옥상 녹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hallow Green-Roof Systems of Sedum album L. Introduced in Korea)

  • 김인혜;허무룡;허근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69-82
    • /
    • 2005
  •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1)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edum album L. in the field, (2) to propose a suitable shallow peen roof system for this plant, and (3) to evaluate plant growth in the proposed system over the long term. The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morphological properties, growth habit, shade tolerance, and flowering, were surveyed. In experimental shallow green-roof systems, the effects of drainage type, substrate type, and soil depth on plant growth were investigated. Then drought tolerance was investigated. After planting Sedum album L. in the proposed system survival rate, cover, and resistance to insects, heal and cold were evaluated for about 2 year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summarized below. 1. In the field, the aboveground part of Sedum album L. did not die back during the winter. Plant height was 4$\sim$7 cm. Roots were distributed to a depth of 5$\sim$7 cm. Sedum album L. is a compact ground-cover plant that spreads vigorously. Shading condition of less than $30\%$ of full sunlight didn't cause any trouble, but shading conditions above $87\%$ made the shape of the shoots and leaves abnormal. The plant bloomed from June to August and had a rather large compound umbel of white, star-shaped flowers. 2. Two systems, a drainage-blend-10 cm soil depth and a reservoir$\cdot$drainage-blend-15 cm soil depth, performed best in terms of cove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The first has an advantage for green roofs because it is lighter than the latter. 3. In drainage-blend-10 m soil depth and modified reservoir · drainage-blend-10 cm soil depth system no plants died for about 4 months after stopping the irrigation. The visual quality of the latter system was above 5 for 4 months and that of the former was under 5 after 2 months. In the field, however, the drought tolerance of Sedum album L. grown in the former would be enough to withstand the dry season. Considering the urban ecosystem and the importance of healthy growth the modified reservoir $\cdot$ drainage-blend-10 cm soil depth system was finally recommended. This system was composed of a 4 cm thick drainage layer and drain outlets placed at a height of 2.5 cm. 4. In the proposed system, the survival rate was $100\%$, and there was no injury induced by insects and heat. The leaf density decreased a little in winter. Cover increased throughout the year. Sedum album L. was planted with a cover of 72$cm^{2}$ on 3 April 2003; on 16 June 2003 and 15 June 2004, cover was $132.66\pm$5.87 $cm^{2}$(1.8 times) and $886.98\pm$63.51 $cm^{2}$(12.3 times), respectively.

돌나물추출물에 의한 사람 각질형성세포에서의 Hyaluronan Synthesis 촉진과 인체 피부의 보습력 증진 (Sedum sarmentosum Enhances Hyaluronan Synthesis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s and Increases Water Content in Human Skin)

  • 심관섭;김진화;이동환;나영;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돌나물추출물이 각질형성세포에서 hyaluronan synthase (HAS) mRNA 발현과 hyaluronan (H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돌나물추출물이 가지는 인체 피부에서의 보습력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돌나물추출물 처리에 따른 각질형성세포에서의 HAS-1, -2, -3 mRNA 발현 변화는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해 살펴보았고, HA의 생성량 변화는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인체 피부에서의 수분함량 및 피부 수분 손실량에 미치는 영향은 Corneometer와 Tewa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돌나물추출물은 사람 각질형성세포의 HAS-2, -3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HA의 생성량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사람 피부에서는 수분 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 손실량 또한 감소시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돌나물은 피부에서 HA 생산을 촉진시키며,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화장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