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 quality guideline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1초

Distribution and Origi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Surface Sediments Inside Hallim Harbor of Jeju Island, Korea

  • Moon, Sang-Hee;Lee, Min-Gyu;Kam, Sang-Ky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1호
    • /
    • pp.1145-1157
    • /
    • 2003
  • The surface sediments inside Hallim Harbor, one of the major harbors of Jeju Island, were sampled three times (June, September and December, 2001) and analyzed for 16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recommended by US-EPA as priority pollutants, to assess their distribution levels and to suggest their possible origins. The concentrations of PAHs ranged from 19 to 496 ng/g on a dry weight basis with a mean value of 245 ng/g, and the levels were low to moderate in comparison with other areas in the world. Based on comparisons of individual and total PAH concentrations with effects-based and equilibrium partitioning-based on sediment quality guidelines, the potential for the biological effects were expected to be low. The sedimentary PAHs may be correlated with organic carbon and mud contents to some extent. From the examinations of the four PAH origin indices, such as LMW/HMW (low molecular weight 2-3 ring PAHs over high molecular weight 4-6 ring PAHs), phenanthrene/anthracene ratio, fluoranthene/pyrene ratio, chrysene/benzo〔a〕anthracene rati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diment PAH contaminations were ascribed to both pyrolytic and petrogenic origins.

안동호 퇴적물 중 수은 및 중금속의 분포특성 연구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and mercury in sediment from the lake An-dong)

  • 박진주;김기준;유석민;김은희;석광설;허인애;김영희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441-4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안동호 퇴적물 중의 총 수은, 메틸수은, 중금속 농도를 조사하고 퇴적물과 수체간의 수은 이동량을 산정하였다. 안동호 퇴적물 중 수은 농도는 2009~2011 년에 각각 $155.0{\pm}71.9$ ng/g, $211{\pm}62$ ng/g 및 $198{\pm}6.88$ ng/g이었으며, 메틸수은은 2009 년 및 2011 년에 각각 $1.85{\pm}1.09$ ng/g, $3.49{\pm}1.79$ ng/g이었고, 총수은에 대한 메틸수은의 분율인 %메틸수은은 $1.17{\pm}0.39%$$1.77{\pm}0.94%$로 나타났다. 퇴적물 중 아연, 카드뮴, 납, 구리의 농도는 644 mg/kg, 7.3 mg/kg, 67 mg/kg, 42 mg/kg 으로 모두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에서 제시한 퇴적물 기준(SQGs, Sediment Quality Guidelines)중의 최소 무영향 농도(ERL, Effect Range Low) 수준을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안동호에서 퇴적물로의 수은 이동량은 83.7 $ng/cm^2{\cdot}$년, 퇴적물에서부터 수체로의 수은 확산속도는 1.24 $ng/cm^2{\cdot}$년으로 추정되었다.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오염도 평가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 and quality assessment of surface sediments in Sihwa Lake)

  • 주재식;손문호;조현서;김평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33-338
    • /
    • 2016
  • 시화호 표층퇴적물 중 지구화학적 특성과 미량금속의 오염도 평가를 위해 입도, 강열감량(I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미량금속(As, Pb, Cd, Cu, Cr, Zn, Ni, Mn, Hg, Fe, Li)을 분석 하였다.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는 2.94~6.35Ø의 범위로 분포하였으며, 퇴적상은 전반적으로 sandy silt(sZ)를 나타내었고, 이러한 표층퇴적물의 성상은 유기물 및 미량금속의 농도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0.05). 특히, 표층퇴적물 중 As, Pb, Cd, Cu, Cr, Zn, Fe, Hg은 평균입도와 상관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IL(Ignition Loss)과도 높은 상관성을 보여 이들 원소의 농도가 입도와 유기물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화호의 표층퇴적물 관리에 있어서 미량금속의 유입 뿐 만 아니라 유기물의 유입을 병행하여 조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오염도 평가에 있어서 표층퇴적물 중 미량금속 함량의 농축계수와 농집지수는 대부분 약간 오염된 상태를 나타낸 가운데, As의 경우 농축계수와 농집지수 가 오염된 상태를 보였다. 이는 특정 중금속에 의한 농축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아울러 비교적 공단지역 및 배수갑문에 근접한 지역은 오염도가 높은 반면, 시화호 중앙부분은 오염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지역적 편차를 고려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시 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새만금호 유입 하천 하상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오염도 분석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Pollution Potential in the Sediments of the River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 오경희;유미나;조영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861-867
    • /
    • 2011
  •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상 퇴적물의 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퇴적물 중 강열감량, COD, 총질소, 총인 및 중금속(As, Cd, Cr, Pb, Zn)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강열감량, COD, 총인의 농도는 각각 평균 2.40 (${\pm}2.18$)%, 2.97 (${\pm}3.06$)mg/g sediment, 0.370 (${\pm}0.351$) mg/g sediment이었으며, 이들 물질에 의한 퇴적물의 오염도가 높지 않았다. 하지만 2008년에 비해 2009년의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퇴적물의 오염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총질소의 경우에는 0.59~13.11 mg/g sediment로 채취 지점 및 채취 시기에 따라 변이가 컸으며, 국내 하천 및 호소의 퇴적물 준설 기준과 비교할 때, 질소 오염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새만금호의 수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만경강과 동진강의 질소오염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의 수립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중금속의 경우에는 크롬을 제외하고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아 오염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크롬의 경우, 만경강 상류의 일부 지역에서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높은 농도가 측정되어,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대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살포식 패류양식해역인 진주만 표층 퇴적물의 오염도 (Pollution Status of Surface Sediment in Jinju Bay, a Spraying Shellfish Farming Area, Korea)

  • 이가람;황현진;김정배;황동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2-402
    • /
    • 2020
  • 살포식 패류양식해역인 진주만의 퇴적물 중 유기물과 금속의 분포 특성 및 오염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8월에 산휘발성황화물(AVS), 강열감량(IL),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금속원소(As, Cd, Cr, Cu, Fe, Hg, Mn, Pb, Zn)를 조사하였다. 퇴적물 중 유기물과 금속원소의 농도는 패류양식장이 밀집해 있는 만의 남쪽 해역에서 높고, 우리나라 남해안의 다른 해역과 비슷하거나 낮았다. C/N비(5.7~8.0)를 기초로, 진주만 퇴적물의 유기물은 해역 자체에서 생성된 해양기원성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퇴적물 오염평가 결과, 유기물(AVS, TOC)과 금속원소(As, Cd, Cr, Cu, Hg, Pb, Zn) 농도는 우리나라의 퇴적물 기준보다도 상당히 낮았다. 또한, 금속원소 전체 농도를 고려한 오염부하량지수(PLI)와 생태계위해도지수(ERI) 결과는 패류 양식장이 밀집해 있는 남쪽 해역에서 높은 오염도를 보이지만, 대부분의 해역에서 저서생물에 약간 부정적인 생태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염 상태였다. 그러므로, 진주만 퇴적물은 현재 유기물에 대해서는 오염되지 않았고, 금속원소에 있어서는 약간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상최종처리장 건설사업의 해양환경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for Marine Environmentsin Construction Projects of Offshore Waste Disposal Landfills)

  • 이해미;손민호;강태순;맹준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3호
    • /
    • pp.312-331
    • /
    • 2019
  • 해상최종처리장은 육상에서의 폐기물 처리 공간 부족 문제 해소와 친환경적인 해양공간 조성 및 개발을 목적으로 육 해상 폐기물 소각재 등 안정화된 무기성 고형 폐기물을 해상에서 최종 매립하는 폐기물 처리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국내 조성 사례가 없는 해상최종처리장의 건설 시 해양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 예측 평가하고 환경영향에 대한 저감과 피해를 최소화하여, 사업 초기단계에서부터 충분한 환경적 고려가 반영된 해상최종처리장 건설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외 유사사례 환경영향평가서 및 기존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 사례 분석과 포럼 운영을 통한 전문가 검토 및 합의과정을 거쳐 해상최종처리장 건설에 특화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국내 유사사례 환경영향평가서 검토를 위해서 총 17건의 준설토 투기장 및 발전소 회처리장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서(2005~2016년)를 대상으로 해양 동 식물 및 해양수질 및 해양저질, 해양물리 항목의 조사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본 가이드라인을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환경영향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해양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사업과 관련한 협의기간 단축 및 사회적 갈등 해소와 제반 경제적 비용 절감 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남해안 패류양식해역(여자만과 강진만)의 퇴적물내 미량금속 분포특성 및 오염도 평가 (Distribution and Contamination Status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Shellfish Farming Areas in Yeoja and Gangjin Bays, Korea)

  • 최민규;이인석;김형철;황동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789-797
    • /
    • 2015
  • The concentrations of trace metals (As, Cd, Cr, Cu, Fe, Hg, Mn, Pb, and Zn) were determined in 49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in Yeoja and Gangjin Bays on the south coast of Korea, which contain many shellfish farms, in order to assess the contamination level and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The averag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both bays decreased in the order Fe > Mn > Zn > Cr > Pb > Cu > As > Cd > H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etal concentrations between shellfish farms and reference sites. The meta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angjin Bay than in Yeoja Bay. Notably, the Cu, Cd, and Hg concentrations were nearly twice as high in Gangjin Bay as in Yeoja Bay. A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among Fe, Mn, Zn, Pb, and Cr in the sediments of both bays, implying that th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were mainly dependent on natural processes, such as crustal components and diagenesis. Based on the geoaccumulation index and marine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QGs), the surface sediments in Yeoja and Gangjin Bays are not polluted by trace metals.

새만금 해양환경에서의 잔류성 유기염소계 농약의 분포 및 특성 (Contamin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ersistent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Saemangeum Environment)

  • 홍상희;심원준;이동호;임운혁;오재룡;김은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17-329
    • /
    • 2006
  • To assess the contamination statu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marine environment of Saemangeum, surface seawater and sedi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Saemangeum environment, with DDT, HCH and endosulfan II contamination being particularly prevalent. The overall concentrations of DDTs, HCHs, and endosulfan II in surface seawater were in the rage of 0.03-0.65ng/l (mean value: 0.36ng/l), 1.31-4.54ng/l (2.63 ng/l), and not detected (ND)-0.96ng/l (0.49ng/l), respectively. Among the target organochlorine pesticides, endosulfan II showed the hi띤est level at the river mouth flowing into the Saemangeum. Additionally, its negative gradient from the rivers to the outside and a good correlation with $NO_3^-$ indicate that endosulfan ll inflows to the Saemangeum through the river; this conclusion is also supported by the elevated levels of endosulfan II in sediments at the river mouth. In sediment, the concentration of DDTs, HCHs, CHLs, and endosulfan II were in the range of 0.05-1.96 ng/g, 0.03-0.31ng/g, 0.01-0.13ng/g, and ND-0.62ng/g, respectively. Levels of contamination in Saemangeum are relatively lower than the median concentrations previously observed at the Korean coastal regions and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uggested by NOAA (Long et at. 1995).

마산만 봉암갯벌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for Bongam Tidal Flat Sediments in Masan Bay, Korea)

  • 이찬원;전홍표;이성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20
    • /
    • 2010
  • 마산만유역의 창원시 수계에서 발생한 오염부하는 차집관로를 통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운반되거나 창원시 하천을 거쳐 봉암갯벌을 경유한 후 마산만으로 유입된다. 즉 마산만 하구 갯벌인 봉암갯벌은 도심에 위치하여 있고 민관산학의 협력으로 보존되어 생태학습장으로 이용되는 귀중한 갯벌이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조개류, 어류와 물새 등 다양한 생물이 관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마산만특별관리해역 연안오염총량관리의 중심 지역에 해당한다. 1970년에 시작한 창원기계공업단지의 가동으로 마산만의 하구와 내만은 중금속으로 오염되었음이 보고되었다. 봉암갯벌의 저서생물의 서식지인 퇴적물에 존재하는 잔류성이 강한 주요 중금속 오염물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아연, 구리, 납이 오염퇴적물 기준의 상위 기준 또는 심한 오염 기준을 초과하였고 인근 지점 별로도 95% 신뢰구간에서 차이를 보였다. 2006년과 2009년의 자료를 비교할 때 모든 중금속 농도가 점차 감소하고 있었다.

소양댐 상류 유역 내 어류상의 시⋅공간 분포와 부유성 퇴적물 영향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Suspended Sediment Effects on Fish Flora in the Upper Basin of Soyang-Dam)

  • 유은진;안종호;이문환;전동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29-342
    • /
    • 2023
  • Turbid water and suspended sediment (SS) load are having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water quality degradation and ecological damage, thus necessitating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guidelines to reduce their impact. The present work investigates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fish species and the effects of turbid water from 2011-2016 in the upper reaches of Soyang-Dam. The family Cyprinidae is the largest population in the study area, among which Zacco platypus and Zacco koreanus are the dominant species. The diversity of species is relatively abundant in the upper watershed, while the seasonal effect o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remains unclear. Using two main common components of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 analysi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27 species at five survey sites are revealed. Zacco koreanus is found to be predominant at the upstream A-Naerincheon, while Zacco platypus and Rhinogobius brunneus are found to be predominant at the upstream B-Bukcheon. Disturbance of an aquatic ecosystem has a relatively greater impact in the downstream, as-compared to the upper area-the high proportion of forest area is decreased whereas that of agricultural and urbanized areas is increased. The patterns of representative specie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mid- to long-term effects of turbid water and SS. Accordingly,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S load and fish distribution EOF analysis indicates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alternative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mpact assessment on turbid water to the Fish Assessment Index (FAI). A comprehensive study examining the long-term effects of SS load to the fish ecosystems with a systematic statistical analysis of sufficiently accumulated data at the national level is needed as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