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ity threats

검색결과 1,420건 처리시간 0.032초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the security control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to nuclear power plant

  • Han, Sang Min;Lee, Chanyoung;Chae, Young Ho;Seong, Poong 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1245-1252
    • /
    • 2022
  • As regulatory bodies require full implementation of security controls in nuclear power plants (NPPs), security functions for critical digital asset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For the ultimate introduction of security controls, not alternative measur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sible cyber threats to NPPs and security controls to prevent them. To address the effectiveness of the security control implement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of cyber threats that can be prevented when the security controls are implemented through the mapping of the reorganized security controls in RS-015 to cyber threats on NPPs. Through this work, the cyber threat that each security control can prevent was confirmed, and the effectiveness of several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he security controls were compared. This study will be a useful reference for utilities or researchers who cannot use design basis threat (DBT) directly and be helpful when introducing security controls to NPPs that do not have actual security functions.

사용자 직무와 활동패턴 기반의 내부자위협통합관리체계 설계 (Designing of The Enterprise Insider-Threa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Tasks and Activity Patterns)

  • 홍병진;이수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2호
    • /
    • pp.3-10
    • /
    • 2015
  • 최근 발생한 대규모 정보유출사고나 주요 보안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내부자에 의한 보안위협이 급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권한 있는 내부자에 의해 발생한 보안사고는 외부에서의 침입행위보다 훨씬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 내부자 위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정보유출이나 보안사고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체계 도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내부자위협통합관리체계(EITMS : Enterprise Insider-Threats Management System)를 제안한다. EITMS는 직무와 역할 및 개인 활동에 근거한 정상패턴을 추출하여 특정한 권한을 가진 내부자에 의해 발생 가능한 위협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관리한다. 또한, 위협행위를 가시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조기에 정보유출과 보안사고를 차단하기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도 포함한다.

해양안보 위협 확산에 따른 한국 해군의 역할 확대방안 (Strategic Approaches and the Role of Naval Forces to Counter Increasing Maritime Threats)

  • 박창권
    • Strategy21
    • /
    • 통권31호
    • /
    • pp.220-250
    • /
    • 2013
  • South Korean national security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to effectively handle and counter increasing maritime threats and challenges. There are three major maritime threats South Korea faces today; maritime disputes on the EEZ boundary and Dokdo islet issues, North Korean threats, and international maritime security. Maritime disputes in the region are getting intensified and turned into a military confrontation after 2010. Now regional countries confront each other with military and police forces and use economic leverage to coerce the others. They are very eager to create advantageous de facto situations to legitimize their territorial claims. North Korean threat is also increasing in the sea as we witnessed in the Cheonan incident and Yeonpyoung shelling in 2010. North Korea resorts to local provocations and nuclear threats to coerce South Korea in which it may enjoy asymmetric advantages. The NLL area of the west sea would be a main hot spot that North Korea may continue to make a local provocation. Also, South Korean national economy is heavily dependent upon foreign trade and national strategic resources such as oil are all imported. Without an assurance on the safety of sea routes, these economic activities cannot be maintained and expanded. This paper argues that South Korea should make national maritime strategy and enhance the strength of naval forces. As a middle power, its national security strategy needs to consider all the threats and challenges not only from North Korea but also to maritime security. This is not a matter of choice but a mandate for national survival and prosperity.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maritime security, changing characteristics of maritime threats and challenges, regional maritime disputes and its threat to South Korea's security, and South Korea's future security strategy and ways to enhance the role of naval forces. Our national maritime strategy needs to show middle and long term policy directions on how we will protect our maritime interests.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build proper naval might to carry out all the roles and missions required to the military.

  • PDF

정보보호위협하에서 경제적인 데이터백업 운영 정책 분석 (Economic Analysis of The Operational Policy for Data Backup with Information Security Threats)

  • 양원석;김태성;이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70-278
    • /
    • 2014
  •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정보보호위협이 급증하고 있어 데이터의 안정성 확보와 보안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데이터 백업은 데이터의 손상과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궁극적인 방법이므로 정보보호위협을 고려한 데이터백업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위협으로 인한 정보자산의 손실 비용과 데이터 백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고려한 경제성분석 모형을 개발한다. 주기적인 차분백업과 한번의 일괄백업으로 구성된 백업정책을 운영하는 정보시스템에서 정보보호위협의 발생 및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확률모형으로 모델링하고 경제성분석에 필요한 비용관련 성능지표를 유도한다. 백업비용, 데이터 복구비용, 유실비용을 고려한 비용구조 하에서 시스템 평균 비용을 분석하고 수치 예를 제시한다.

스마트워크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Security Threats of Smartwork Environment)

  • 나종회;최영진;신동익
    • 정보화연구
    • /
    • 제9권1호
    • /
    • pp.33-42
    • /
    • 2012
  • 오늘날 많은 조직은 노동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비용절감을 위하여 종래의 사무실 개념을 탈피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는 미래지향적인 업무환경인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워크의 본질은 일반적으로 조직 내부에서 접근하는 기술보다 위험하고 스마트워크 사용자가 원격 접근을 통해 내부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조직은 광범위한 외부 공격으로 부터 자신의 정보자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보안기술과 통제절차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안전한 스마트워크 서비스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에 대한 연구로 기존 문헌에 대한 분석과 분류 및 정의하는 탐색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로 단말, 소프트웨어/플랫폼, 네트워크 등 3가지 스마트워크 서비스 계층 관점에서 최종적으로 16가지의 스마트워크 보안 위협을 제시하였다.

사물 인터넷의 보안 위협 요인들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Security threat factors of the Internet of Things)

  • 전정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7-53
    • /
    • 2015
  • 최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 및 빅 데이터(big data)와 함께 IT분야에 이슈가 되고 있는 기술 중에 하나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 및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동향은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기반 기술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물 인터넷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실현되고 있는 만큼 보안 문제 또한 다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보안 위협(security threats)들에 대한 대응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물 인터넷 기술의 적용분야에 대한 사례와 이에 따른 보안 위협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사물 인터넷의 보안 대응 방안 마련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Security Technology of Real-time Biometric Data in IoT Environment

  • Shin, Yoon-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85-90
    • /
    • 2016
  • In this paper, the biometric data is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IoT environment is runoff, forgery, alteration, prevention of the factors that can be generated from a denial-of-service in advance, and the security strategy for the biometric data to protect the biometric data secure from security threats offer. The convenience of living in our surroundings to life with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computing and smart devices are available in real-time. And is also increasing interest in the IOT. IOT environment is giving the convenience of life. However, security threats to privacy also are exposed for 24 hours. This paper examines the security threats to biological data to be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IOT environment. The technology for such security requirements and security technolog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hreat. And with respect to the biometric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on the IoT environment proposes a security strategy to ensure the stability against security threats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its efficiency.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에서의 보안위협 및 보안요구사항 분석 (An Analysis of the Security Threats and Security Requirement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 강성구;서정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027-1037
    • /
    • 2012
  • 지구 온난화에 대한 대응 노력으로 스마트그리드가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정부는 CO2 배출량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수송 분야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으로 전기자동차 및 충전 인프라 구축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는 지능화를 위해 IT기술을 접목하고 있어 기존 IT기술이 가지고 있던 보안위협들을 그대로 상속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보다 안전한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에 대한 논리적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생 가능한 보안위협들을 식별하였다. 또한, 이러한 보안위협들을 대응하기 위한 보안요구사항을 분석 및 제시하였다.

Fifteen Deadly Cybersecurity Threats Aimed Covid-19

  • Alaboudi, Abdulellah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123-130
    • /
    • 2021
  • Cybersecurity has been vital for decades and will remain vital with upcoming ages with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Every new day brings advancement in technology, which leads to new horizons, and at the same time, it brings new security challenges. Numerous researchers around the globe are continuously striving hard to provide better solutions for the daily basis of new arising security issues. However, the challenges are always there. These challenges become new norms during the current Covid pandemic, where most industries, small industrial enterprises, education, finance, public sectors, etc. were under several attacks and threats globally. The hacker has more opportunities during the pandemic period by shifting most of the operations live. This research enlightened the several cybersecurity attacks and threats during this pandemic time globally. It provided the best possible recommendations to avoid them using the cyber awareness and with appropriately linked training. This research can provide a guideline to the above stated sector by identifying the related attacks.

챗봇서비스 구현 모델의 보안요구사항 분석 (Analysis of the Security Requirements of the Chatbot Service Implementation Model)

  • 조규민;이재일;신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67-176
    • /
    • 2024
  • 챗봇서비스는 AI서비스와 연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AI에 대한 보안 연구는 초기 단계이고, 이를 이용한 서비스 구현단계에서의 실질적인 보안 연구는 더욱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AI서비스와 연계된 챗봇서비스에 대한 보안요구사항을 분석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표된 AI보안에 대한 논문과 자료들을 분석한다. 시장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있는 챗봇서비스를 조사하여 일반적인 구현 모델을 정립한다. 구현 모델에는 챗봇관리시스템과 AI엔진이 포함된 5개의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정립된 모델에 기반하여 쳇봇서비스에 특화된 보호자산과 위협을 정리한다. 위협은 실제 운영중인 챗봇서비스 담당자 설문을 통해 챗봇서비스에 특화된 위협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10개의 주요 위협이 도출되었다. 정리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보안 영역을 도출하였고, 영역별로 필요한 보안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는 챗봇서비스 보안 수준을 검토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보안평가 기준으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