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curity Devices

검색결과 1,590건 처리시간 0.023초

단일 선로고장시 정적 안전도 향상을 위한 유연송전기기 운전 방안 (A Security-oriented Operation Scheme of FACTS Devices to Cope with A Single Line-faulted Contingency)

  • 임정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49-15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상정사고 해석을 통해 결정된 가장 심각한 단일 선로고장에 대하여 부하차단이나 재급전을 하지 않고, 유연송전기기의 운전만으로 안전도를 향상시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직렬, 병렬, 직병렬보상기기 등 유연송전기기의 각 종류별로 정적 안전도 여유를 최대화하고 안전도 지수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하여 각 유연송전기기의 최적 운전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여기서, 정적 안전도 지수는 선로 조류 및 모선 전압에 관한 안전도를 정량화하여 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안전도 지수가 작아지면 안전도 여유는 커지는데, 본 논문에서는 안전도 지수를 반복계산법으로 최소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방법은 IEEE 57모션개통에 적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정당성을 수치적으로 입증하였다.

Feasibility of Societal Model for Securing Internet of Things

  • Tsunoda, Hiroshi;Roman, Rodrigo;Lopez, Javier;Keeni, Glenn Mansfiel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8호
    • /
    • pp.3567-3588
    • /
    • 2018
  •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concept, devices communicate autonomously with applications in the Internet. A significant aspect of IoT that makes it stand apart from present-day networked devices and applications is a) the very large number of devices, produced by diverse makers and used by an even more diverse group of users; b) the applications residing and functioning in what were very private sanctums of life e.g. the car, home, and the people themselves. Since these diverse devices require high-level security, an operational model for an IoT system is required, which has built-in security. We have proposed the societal model as a simple operational model. The basic concept of the model is borrowed from human society - there will be infants, the weak and the handicapped who need to be protected by guardians. This natural security mechanism works very well for IoT networks which seem to have inherently weak security mechanism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quirements of the societal model and examine its feasibility by doing a proof-of-concept implementation.

Towards Choosing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Communication Security in Sensor Networks

  • Youn, Seongwook;Cho, Hyun-chong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1307-1313
    • /
    • 2017
  • Sensor networks are composed of provide low powered, inexpensive distributed devices which can be deployed over enormous physical spaces. Coordination between sensor devices is required to achieve a common communication. In low cost, low power and short-range wireless environment, sensor networks cope with significant resource constraints. Security is one of main issu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because of potential adversaries. Several security protocols and models have been implemented for communication on computing devices but deployment these models and protocols into the sensor networks is not easy because of the resource constraints mentioned. Memory intensive encryption algorithms as well as high volume of packet transmission cannot be applied to sensor devices due to its low computational speed and memory. Deployment of sensor networks without security mechanism makes sensor nodes vulnerable to potential attacks. Therefore, attackers compromise the network to accept malicious sensor nodes as legitimate nodes. This paper provides the different security models as a metric, which can then be used to make pertinent security decisions for securing wireless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산업용 무선통신기기 사이버 보안위협 및 보안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yber Security Threat and Security Requirements for Industri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 이지섭;박경미;김신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757-770
    • /
    • 2020
  • 산업제어시스템(ICS)은 분산된 다양한 자산을 측정, 감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화학, 교통, 수처리, 제조 공장 등의 산업 시설 및 국가기반시설에서 사용된다. 산업제어시스템의 특성상 보안위협에 노출되면 오동작, 중단 등으로 인해 막대한 인명, 자산 피해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산업제어시스템의 보안위협을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산업제어시스템의 경우 보안위협을 고려하여 무선통신기기의 사용을 제한하였으나 최근에는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비용의 장점으로 인해 산업용 무선통신기기 도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WirelessHART와 ISA100.11a를 지원하는 산업용 무선통신기기의 보안위협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산업용 무선통신기기의 도입 및 운영에 필요한 보안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보안요구사항을 활용하여 국가기반시설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분야의 산업용 무선통신환경 구축 시 보안위협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 홈 사물인터넷 기기(IoT)의 원격제어 시 사용자 권한 탈취 및 이상조작 방지를 위한 클라우드 보안인증 플랫폼 설계 (Cloud security authentication platform design to prevent user authority theft and abnormal operation during remote control of smart hom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 유용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99-107
    • /
    • 2022
  • 최근 스마트 홈 가전 및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의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으나 모바일 서비스들을 통해 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해킹, 신분도용, 정보유출, 개인 프라이버시의 심각한 침해 및 비정상 접속, 사용자의 오조작이 증가되고 있으며, 그 사실 여부를 확인하거나 입증할 방법이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특히, 스마트 홈에서 사용하는 IoT기기에서는 사양과 환경 등 많은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컴퓨터에서의 인터넷 보안 수준을 똑같이 제공하기 어렵다. 이러한 스마트 홈 IoT기기에서도 해킹 및 사용자 권한 탈취, 이상 조작으로 인한 사고예방, 기기조작에 대한 감사기록을 강화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과 IoT기기 간에 보안인증의 관리기능을 가지는 클라우드 보안인증 플랫폼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산자동화설비의 종단보안 시스템 구조 (Edge Security System for Factory Automation Devices)

  • 황호영;김승천;노광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51-258
    • /
    • 2012
  • 기존의 공장 자동화 및 각종 생산설비 시스템의 전통적인 보안 개념은 네트워크의 경계선, 즉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의 접점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최근 외부뿐 아니라 네트워크의 경계선을 우회하여 내부에서 침입할 수 있는 소위 신종 Day-zero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NAC(Network Access Control)의 문제점인 1) 표준화 지연 및 복잡성으로 인한 설치와 운영의 어려움, 2) 인증 위주의 제품특성상 내, 외부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불편함 초래, 3) 높은 구축 비용으로 인한 부담 등을 보완할 수 있는 저가형의 자동화설비 보안 솔루션으로서 내/외부의 다양한 경로로 유입되는 위협이나 유해트래픽을 차단하기 위한 사전 방역체계(Proactive Security) 구조를 제안하고, 생산설비에 특화된 밀착된 보안, 환경설정, 시스템 관리의 통합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신개념의 종단보안(Edge Security)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Telebiometrics Applic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 Shin, Yong-Nyuo;Kim, Jae-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34-40
    • /
    • 2014
  • Today, with the wide use of mobile devices, the amount of business transactions conducted through such devices is increasing drastically.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the area of authentication for mobile use, which requires strong authentication mechanisms to satisfy security and convenience requirements. The proposed model and application system provide a framework to ensure the security and reliability of the flow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elebiometric applications using mobile devices. We also specify protocols for each model and implement a mobile telebiometric application to improve security vulnerabilities compared to storage in a microSD match on card (MOC) based on the proposed model. As a consequence of this implementation, we propose substantial guidelines for security countermeasures from both technical and managerial perspectives in order to establish a safe mobile environment for the use of telebiometric systems.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부가적인 암호모듈의 구조 분석 (Analyses of additive Crypto-module Architecture for a Sensor Network)

  • 김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795-798
    • /
    • 2005
  • In this paper, we analyses of additive crypto-module architecture for a sensor network. Recent research in sensor networks has raised security issues for small embedded devices. Security concerns are motivated by the development of a large number of sensor devices in the field. Limitations in processing power, battery life, communication bandwidth and memoryconstrain devices. A mismatch between wide arithmetic for security and embedded data buscombined with lack of certain operations. Then, we compared the architecture of crypto-module in this paper.

  • PDF

IoT 인프라 공격 확산 방지 기술 성능 검증을 위한 악성코드 고속 확산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High-Speed Malware Propagation Method for Verification of Threat Propagation Prevent Technology in IoT Infrastructure)

  • 황송이;김정녀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617-635
    • /
    • 2021
  •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기는 보안 솔루션이 적용되지 않아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인프라의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전락했다. 더군다나 IoT 기기의 특성상 자원제약이 많아 기존의 보안 솔루션을 적용하기 어렵다. 그 결과 사물인터넷 기기는 사이버 공격자의 공격 대상이 됐으며, 실제로도 사물인터넷 기기를 대상으로 한 악성코드 공격이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IoT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보안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지만, 기능이 검증되지 않은 보안 솔루션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기엔 큰 위험이 따른다. 따라서 보안 솔루션의 기능과 성능을 검증할 검증 도구도 필요하다. 보안 솔루션이 다양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방법도 다양하므로, 각 보안 솔루션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최적의 검증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oT 인프라에 빠른 속도로 악성코드를 전파하는 악성코드 고속 확산 도구를 제안한다. 또한, IoT 인프라에서 확산하는 공격을 빠르게 탐지하고 차단하는 보안 솔루션의 기능과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개발된 악성코드 고속 확산 도구를 이용한다.

모바일 오피스 개인정보 보호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untermeasure for privacy in mobile office)

  • 박용준;이윤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78-188
    • /
    • 2015
  • The proliferation of devices such as tablets and smart phones, which are now used by many people in their daily lives, has led to a number of companies allowing employees to bring their own devices to work due to perceived productivity gains and cost savings. However, despite many advantage, security breaches (e.g., information leakage) can happen for various reasons (e.g., loss or theft of devices, and malicious code) and privacy breaches can happen by using personal devices for business. We should carefully scrutinize security threats in this area. We present the security threats analysis and the technical approach in this area, and discuss privacy threats and counter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