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ret Puzzl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9초

모바일 뱅킹에서 비밀퍼즐을 이용한 비밀증명방법과 거래승인방법 (Password Authentication and Transaction Confirmation Method Using Secret Puzzle on Mobile Banking)

  • 맹영재;양대헌;이경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87-199
    • /
    • 2011
  • 모바일뱅킹에서 사용자인증과 거래승인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비밀을 얻어내거나 거래내용을 조작하여 사용자에게 승인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비밀과 거래승인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들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비밀을 보호하고 문서의 내용을 조작하는 공격에 대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PRaCto: Pseudo Random bit generator for Cryptographic application

  • Raza, Saiyma Fatima;Satpute, Vishal 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2호
    • /
    • pp.6161-6176
    • /
    • 2018
  • Pseudorandom numbers are useful in cryptographic operations for using as nonce, initial vector, secret key, etc. Security of the cryptosystem relies on the secret key parameters, so a good pseudorandom number is needed.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new approach for generation of pseudorandom number. This method uses the three dimensional combinational puzzle Rubik Cube for generation of random numbers. The number of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cube approximates to 43 quintillion. The large possible combination of the cube increases the complexity of brute force attack on the generator. The generator uses cryptographic hash function. Chaotic map is being employed for increasing random behavior. The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ed can be used for cryptographic applications. The generated sequences are tested for randomness using NIST Statistical Test Suite and other testing methods. The result of the tests and analysis proves that the generated sequences are random.

강한 프라이버시와 연산 효율성을 제공하는 암호 퍼즐 기반 RFID 경계 결정 프로토콜 (An RFID Distance Bounding Protocol Based on Cryptographic Puzzles Providing Strong Privacy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 안해순;윤은준;남인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9C권1호
    • /
    • pp.9-18
    • /
    • 2012
  • 2010년에 Pedro등은 WSBC 암호 퍼즐 기반 RFID 경계 결정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edro등이 제안한 프로토콜이 공격자에 의한 비밀키인 유출 공격으로 인해 태그의 프라이버시 침해와 위치 트래킹 공격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제한적인 자원을 가지는 수동형 태그에서 대칭키 기반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연산 효율성 저하 및 리더와 태그 간에 많은 통신 라운드가 필요함을 지적한다. 더 나아가 위와 같은 보안 취약점과 연산 및 통신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보안성을 강화하고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암호 퍼즐 기반의 RFID 경계 결정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프로토콜은 수동형 태그의 특성을 고려하여 안전한 해쉬 함수 연산만을 수행함으로써 연산 효율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일방향 해쉬 함수의 성질을 기반으로 연산된 값을 리더와 태그 간에 안전하게 송수신하기 때문에 공격자에 의한 비밀키 유출 공격이 발생되지 않는 강력한 안전성을 보장한다.

디지털 컨텐츠 보호를 위한 메트릭스 퍼즐 암호화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ncrypted Matrix Puzzle for Digital Contents Protection)

  • 민소연;김정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936-944
    • /
    • 2008
  • DRM 시스템은 저작권 보호 기술을 이용하여 저작원자의 권리 및 이익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DRM 시스템에서의 암호화 키 전송과 암 복호화 처리시간에서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첫째, 기존의 단순 One-path XOR 방법보다 안전한 다차원 배열 기법을 이용한 Key 전송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생성된 다차원 배열은 서버에 저장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시스템보다 보안성이 높은 방법을 제안한다. 셋째, 클라이언트에서 복호화 할 때 OTP와 함께 다차원 배열을 복호화 하는 클라이언트 복호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넷째, 다차원 배열기법과 OTP를 조합으로 보다 안전한 키 전송을 제안한다.

전자기밀문서 유출봉쇄 유통시스템 구조 연구 (Study of Document Distribution System Architecture for Digital Secret Document Leakage Prevention)

  • 최정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43-158
    • /
    • 2010
  • 기업의 전자기밀유출은 생존을 위협하는 피해를 입힌다. 중소기업은 유출사실을 알아도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추적 불가능한 유출을 원천봉쇄하는 전자기밀보호 시스템으로만 전자기밀정보는 보호된다. 현재 DRM 기반 문서보호 시스템은 전자기밀 보호에 여러 보안 취약점을 보인다. 본 논문은 전자기밀정보의 불법유출 경로 및 취약점을 분석하여, 가장 위험한 내부자 유출시도조차 불가능하게 하는 보안조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성능저하가 없는 그룹통신 기반 시스템의 구조를 연구하였다. 구조의 핵심은 암호화 상태로 유통, 암호키와 기밀정보파일의 분리원칙, 다중 엔티티(entity)의 DSA 기반 다중 인증기법으로 간단한 정보도용으로는 기밀정보를 얻을 수 없는 시스템의 기본 구조의 설계를 논의한다.

영상매체에 형상화 된 시인 '이상' 표상 연구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Yi Sang Representation in Media -Focusing on the cinema and the drama )

  • 손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9-36
    • /
    • 2019
  • 이상의 시와 그의 표상은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매체 및 장르의 특성에 따라 시인 이상의 표상과 그의 시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선택되며 변주된다. 문학이 다양한 매체들과 통섭하는 현대에서 한 시인의 초상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은 텍스트가 한 인물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읽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시인 이상의 표상이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활용된 양상을 검토하였으며, 각 텍스트들에서 시인 이상이 표상화되는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과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에서는 이상의 시를 사건의 단서가 숨겨진 퍼즐로 활용하고 있다. 이 영화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상의 '천재' 표상을 활용하여 이상의 비밀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서사를 전개하였다. 이로 인해 이 영화는 추리스릴러라는 장르의 관습에 충실한 방식으로 이상을 표상화하고 있다. 이에 비해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은 시인 이상을 내면에 열정을 지닌 청년으로 새로이 표상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냉소적인 태도 또한 민족과 시대를 향한 애정의 이면으로 재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로 다른 표상의 방식은 '이상'이라는 문학가의 대중적 인식과 새로운 표상화 시도의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