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exual dimorphis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 I. An Analysis on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 from Cheongju

  • Koh, Hung-S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3-134
    • /
    • 1983
  • 청주에서 채집한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의 4종류의 외부형태 형질과 27가지의 두골형질의 연령에 따르는 변이와 암,수간의 제2차 성적이형현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표본들은 미성체, 어린성체, 중간 연령층의 성체, 그리고 늙은 성체로 구분을 하였으며, 이들 연령군에 속하는 표본들간의 형태적 형질들의 변이는 현저하게 나타났다. 동일연령군에 속하는 암컷과 숫컷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국산 등줄쥐의 형태적 형질의 지리적변이를 밝히기 위한 분석에서는 동일 연령군에 속하는 표본들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밀어, Rhinogobius brunneus (Pisces: Gobiidae)의 성적 이형 및 수컷의 이형 (Sexual and Males Dimorphism of Rhinogobius brunneus (Pisces: Gobiidae))

  • 송호복;백현민;손영목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95-303
    • /
    • 2005
  • 밀어의 성적 이형과 수컷 사이의 이형에 대하여, 2005년 5월에 강원도 춘천시 서면 오월리의 지암천에서 채집한 개체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emale과 maleL의 체장 분포와 성비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males는 40 mm이하의 개체들이 대부분으로 female과 maleL에 비하여 소형 개체들이었으며, maleL : maleS의 비는 1 : 0.46이었다. Female(N=79)과 maleL(N=79)의 계측형질 중 18개 형질(SNL, AHD, PHD, ML, DL, MW, AHW, IFW, PHW, ED, HL, FDFL, SDFB, CFL, AFB, VFL, PFL, PFB)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으며, 이들 중 SNL, AHD, ML, DL, MW, AHW, IFW, PHW, HL, FDFL, CFL, PFB 등 12개 형질은 현저한 차이(P<0.001)를 나타내었다. Female(N=36)과 maleS(N=36)의 비교 결과 8개 형질(SNL, ML, DL, MW, HL, CR, VFL, PFL)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으며, 이들중 ML, DL, HL 등 3개의 측정 형질에서는 현저한 차이(P<0.001)가 있었다. Male(N=36)과 maleS(N=36)의 측정 형질 중 SNL, AHD, PHD, ML, DL, MW, AHW, IFW, PHW, HL, FDFL 등 모두 11개 형질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으며, 11개 형질 중 ML., DL, MW, AHW, HL, FDFL 등 6개 형질은 큰 차이(P<0.001)가 있었다.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Acheilognathinae)의 성적 이형과 이차 성징 (Sexual Dimorphism and Secondary Sexual Characters of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Acheilognathinae))

  • 백현민;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1-147
    • /
    • 2006
  • A. signifer의 성숙한 암수는 외형적으로 형태와 체색이 다르며, Hubbus and Laglar(1964)의 방법에 따라 계측한 11개의 형질 중에서 체장에 대한 두장 및 체고의 백분비, 두장에 대한 문장 및 양안간격의 백분비에서 암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혼인색은 전체적으로 녹색계열의 색이 가장 폭넓게 분포하며 몸통부분은 녹색과 푸른색계열, 배 부위에는 노란색계열이 대부분이었고, 미병부는 붉은색계열과 노란색계열이 분포하였다. A. signifer의 추성은 입의 바로 위 양쪽으로 각질 위에 밀집되어 형성되어 있었다. 한쪽에 25~30개 정도의 추성이 있었고, 비산란기인 9월에 추성은 대부분 사라지고 양 끝부분에 일부만이 흔적으로 남아 있었다.

제주도에서 채집된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의 서식지 유형과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Types of Rattus norvegicus and R. tanezumi Collected in Jeju Island)

  • 김태욱;주상민;오아름;박소진;한상현;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0-560
    • /
    • 2013
  • 한국산 집쥐속(Rattus)에 속하는 동물들을 2005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제주도의 각처에서 채집하여 형태학적, 유전학적 종 동정과 형태적 특성, 2차 성적이형, 서식지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제주도에서 포획된 Rattus 속 야생쥐들은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로 확인되었고, R. rattus는 확인되지 않았다. R. norvegicus는 제주도 내 각처에서 특히, 주택 밀집지역의 인가 내-외부에서 채집되었고, 일부는 자연환경인 해안이나 경작지, 산림에서 관찰되기도 하였다. R. tanezumi는 동물 사육 농장의 내외부에서만 확인되었다. 형태적 특성으로 R. norvegicus는 꼬리길이(TL)와 귀의 길이(EL)가 R. tanezumi에 비해 짧고, 이들 형질의 머리-몸통 길이의 비율인 T_HR, E_HR 등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인구밀집 지역인 도심과 농촌 지역의 R. norvegicus와 개체군 사이에서는 도심지역 개체군의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R. norvegicus에서는 2차 성적이형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R. tanezumi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결과와는 다소 다른 종의 분포와 서식환경을 보여주고 있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추가연구를 통해 제주도와 한반도 포유류상의 재검토와 함께 서식지 분포 양상과 생태적 특성 등을 명확하게 구명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낙지 Octopus minor 수컷 생식기관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scopic Anatomy of Male Reproductive Organ in the Long Arm Octopus Octopus minor (Cephalopoda: Octopodidae))

  • 김성진;김현진;신소령;서명교;김평우;김은하;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8-185
    • /
    • 2023
  • 본 연구는 낙지의 생식생태 이해에 필요한 수컷 생식기관과 정포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기재하였다. 낙지는 교접완의 유무를 통하여 성을 구별할 수 있는 성적이형을 갖는 종이다. 수컷 생식기관은 정소, 일차수정관, 저정낭, 이차수정관, 정포선, 정포낭으로 구성된다. 정소는 조직학적으로 정세관형이었으며, 수컷 생식세포들은 층상배열상을 보였다. 일차수정관은 정소와 저정낭을 연결하는 관으로 상피층과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저정낭은 일차수정관과 이차수정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피층은 상피세포와 점액세포로 구성된다. 점액세포는 AB-PAS (pH 2.5) 반응에서 푸른색, AF-AB (pH 2.5) 반응에서 보라색으로 반응하였다. 이차수정관은 저정낭과 정포선을 연결하는 짧은 관으로 내강에 주름이 발달하였다. 정포선은 다수의 관상선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분비세포는 호산성 과립을 가지고 있었다. 정포낭은 주머니 모양으로 내강에 주름이 발달하였으며, 상피층에 공포상의 분비세포가 존재하였다. 정포는 길이 약 83.5 mm로 전방부의 당김사, 중간부의 발사체와 고정체, 후방부의 정자 저장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 (Tscherskia triton)의 외부형태 및 두개골 특징 (External and Cranial Characters of the Tscherskia triton in Jeju Island, Korea)

  • 박준호;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389-397
    • /
    • 2017
  •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의 외부형태 형질과 두개골의 크기를 비교하여 종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채집된 암컷 9개체, 수컷 5개체는 모두 성체였고, 암수의 체중 및 외부형태 형질 비교에서 체중, 머리와 몸통의 길이, 귀의 길이, 뒷발의 길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p>0.05), 꼬리 길이에 있어서는 암컷 우성의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3). 채집한 비단털쥐의 2차 성적이형 (secondary sexual dimorphism)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머리 - 몸통 길이를 기준으로 B_HR, T_HR, E_HR, H_HR을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오직 꼬리 길이에 대한 머리 - 몸통 길이 (T_HR)에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03). 두개골 크기의 암수 평균값과 성적이형을 비교한 결과, 전체 21가지 형질 중 GLS (p=0.020)와 ONL (p=0.014)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LIF는 유의수준 90% 기준으로 할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지만 이 이외의 18가지 형질은 암수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머리뼈 최대 길이 (GLS), 코 - 후두부 길이 (ONL), 눈확 사이의 폭 (IB)과 대후두공횡경 (BOF)을 제외한 나머지 17가지 부위인 뒤통수뼈관절융기 - 치조점 사이 길이 (CL), 머리뼈 바닥길이 (BL), 코뼈의 길이 (NAL), 앞머리뼈의 길이 (FL), 뒷머리뼈의 길이 (PrL), 절치공의 길이 (LIF), 고포뼈의 길이 (ABL), 협골공의 폭 (ZB), 입술의 폭 (BR), 위턱어금니열의 길이(LUM), 위턱이틀 사이 모서리길이 (LUD), 아래턱뼈의 길이(LM), 아래턱뼈의 높이 (HM), 아래턱어금니열의 길이 (LLM), 앞니 길이 (LUI), 관절 높이 (AH), 뇌함 최대 너비 (MWB)는 암컷 편향적 성적 크기 차이 (female-biased SSD)가 있었다. 이에 따라 비단털쥐의 암컷이 수컷에 비해 꼬리 길이가 길고, 두개골 또한 암컷 편향적 성적 크기 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의 외부형태 형질과 두개골의 특징을 분석한 것으로 비단털쥐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 등 국한된 지역에 서식하며, 단일 종으로 알려진 비단털쥐의 특징을 비교하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지리적 조건, 기후 영향, 서식환경에 따른 비단털쥐의 생물지리학 및 생태학적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olecular Systematics of Korean Cobitids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

  • Kim, So-Young;Kim, Chang-Bae;Kim, Ik-Soo;Park, Jong-Young;Park, Ho-Yo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1호
    • /
    • pp.45-51
    • /
    • 2002
  • We compared the complet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s of Korean and European cobitids to provide independent evidence for assessment of systematic and biogeographic relationships of species in the genus Cobitis. The data suggested monophyly of the genus Cobitis and the inclusion of Korean Cobitis species within the group having one lamina circularis, a primitive condition. Also, all the phylogenetic analyses using maximum parsimony, maximum likelihood, and neighbor joining methods showed a monophyletic relationship among Cobitis. The basal position of the Caspian C. cf. sibirica reported here reflects the eastern Asiatic origin cf. the European Cobitis and establishes C. cf. sibirica as an independent lineage. The Korean C. pacifica diverged next to C. cf. sibirica in basal group from the genus Cobitis. This result is in agreement with the hypothesized Asiatic origin of some European freshwater fish lineages.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is study showed a close affinity between C. zanadreai and C. sinensis. Two new species, C. tetralineata and C. pacifica in Korea also are closely related to monophyletic group clustering the type species of the Acanestrinia subgenus (C. elongata) with all the endemic Italian species (C. bilineata and C. zanandreai). This may suggest that the affinity between the Korean and Danubian-Italian imply genetic convergence or genetic plesiomorphic state between allopatric species that are separated for the Miocene. The mtDNA-based phylogeny for the species of the genus Cobitis from Kores and Europe permits phylogenetic assessment of the morphological transitions of Iamina circularis.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수컷 생식기관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anatomical Structure of Male Reproductive Organ in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 신소령;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2023
  • 연구에서는 두족류의 생식생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두족류인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수컷의 생식기관과 정포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기재하였다. 살오징어는 자웅이체로 외투막에 투과되는 생식기관의 색과 교접완을 통하여 암, 수를 구분할 수 있는 성적이형을 가진다. 수컷 생식기관은 정소, 1차 수정관, 정포선, 정포낭, 2차 수정관으로 구성된다. 살오징어의 수컷은 정포 형성기관인 정포선과 같은 특수화된 생식기관을 가진다. 정소는 조직학적으로 정세관형이었다. 1차 수정관은 정소의 후방부터 정포선까지 연결된 가늘고 긴 역삼각형의 용수철 형태였다. 내부에는 H-E 염색에서 호염기성으로 반응하는 정자가 가득 차 있었다. 정포선은 1차 수정관과 정포낭에 연결된 불규칙한 타원형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관상선이 존재하였다. 정포낭은 정포선과 2차 수정관 사이에 위치하는 관 구조로 내강에서는 다수의 정포가 확인되었다. 2차 수정관은 정포낭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정포를 갖고 있었다. 정포는 길이 약 22 mm의 길고 투명한 관 형태로 내부에는 정자 덩어리를 갖고 있었다.

줄종개 Cobitis tetralineata (Pisces; Cobitid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Korean Sand Loach Cobitis tetralineata (Pisces; Cobitidae) in the Seomjin River, Korea)

  • 김익수;고명훈;박종영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77-286
    • /
    • 2006
  • 줄종개, Cobitis tetralineata의 생태를 섬진강 지류인 추령천에서 조사하였다. C. tetralineata는 하상이 모래이고, 유속이 $10{\sim}20cm/see$, 수심은 $30{\sim}150cm$인 곳에 대부분 서식하였다. 활동은 낮에만 활동하는 주행성 어류로 3월부터 10월까지 활동하였고, 이후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는 바닥 속으로 파고들어가 월동하였다. 성비는 암컷과 수컷이 1 : 0.57로 나타났고, 암컷이 수컷보다 $20{\sim}30mm$(TL)이 더 컸다. 줄종개(암컷)의 연령은 $20{\sim}40mm$가 당년생, $45{\sim}65mm$가 1년생, $65{\sim}90mm$가 2년생, 90 mm 이상이 3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부화 후 $13{\sim}14$개월 이후에 수컷 가슴지느러미 제2기조에 골질반이 형성되어 암수가 구별되었으며, 또한 수컷은 산란시기에 반문변 이가 일어났다. 산란시기는 수온이 $22{\sim}26^{\circ}C$인 6월 말부터 7월 중순으로 추정되었고, 포란수는 $1,288{\pm}583(474{\sim}2,976)$개, 난경은 $0.98{\pm}0.1mm$이었다. 섭식은 주로 깔다구류, 꽃병벌레류, 물벼룩류, 조류 등을 섭식하였으며, 섭식률은 4월과 9월에 높게 나타났고 월동기에는 섭식하지 않았다.